포스트모던 시대의 종교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근대의 반성
1. 근대의 문제점
2. 근대의 종교와 교육: 두 영역의 분리

III. 포스트모더니즘과 종교다원주의
1. 포스트모더니즘
2. 종교다원주의
3. 포스트모던 시대의 종교

IV. 포스트모던 종교교육: 상호이해, 삶의 탐구 및 초월의 길
1. 기본 입장
2. 교사와 교육과정

V. 결론

본문내용

교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원주의에서는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공감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Smart(Smart, 1969: 97-98)에 의하면 교사가 신앙을 공감적으로 그러나 그 신앙에 대한 代案들에도 존중을 표함으로써 공개적으로 묘사하는 것과 그 신앙에 대한 대안에 대해 침묵하거나 편파적으로 대하면서 그 신앙이 옳다고 가르치는 것은 완전히 다른 것이다 . 전자는 종교에 대한 이해를 표현하는 방식이고 후자는 전도나 전법의 방식이다. 다원주의적 종교교육을 위해서 교사는 종교 세계의 어떤 관점도 편견 없이 공정하게 그리고 공감적으로 묘사해야 한다. 그래야 종교에 관해 배우는 학생은 자기 신앙체계와 타 신앙체계에 대해 좀더 민감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포스트모던 시대의 학문적인 종교교육이다.
포스트모던 종교교육과정은 근대의 지식전수적 그리고 정보전달적 교육과정을 탈피하여 학생 각자 가 살아온 경험에 대한 재해석을 지향한다. 그래서 학습자가 "자신의 자서전을 재개념화하는 능력을 강조하고, 타인과의 관련을 인식하며, 과거를 회복하여 재구성하며, 미래의 가능성을 상상하고 창조하며, 더 큰 개인적 공동적 의식에 다가선다"(Slattery, 1995: 77). 곧 교육을 삶의 탐구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근대교육에서 텍스트는 학습자가 그 내용을 기억하고 시험에서 재생해야하는 언어적 기록물이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교육에서 텍스트는 기록자 또는 기록된 내용과 학습자의 현상학적 만남이 이루어져 학습자가 자기 삶을 반추하는 현장이 된다. 그리하여 커리큘럼은 지혜를 만나고 삶의 의미를 성찰하는 매체가 된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이 모형은 인간 삶이 다차원적임을 인식하고 그러한 모든 차원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즉 역사, 종교, 철학, 문학, 예술, 그리고 정치, 성, 인종 등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둘째, 교육과정 자체(교육경험)에 대한 질적 이해에 관심이 크다. 그리고 과거의 가치중립적 입장에 서기보다 가치지향적이다. 그렇다고 하여 교사가 특정 가치관을 학생에게 요구하는 것을 아니다. 학생이 교육과정을 통해 스스로 가치관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세째, 경쟁보다 공동체적 협동을 강조한다. 교사는 세상을 경쟁적, 기계적, 물질적 관점에서 보는 것에 도전하고 학교에서 지혜의 탐구, 민주적이고 경건하고 공정한 생활에의 참여를 추구한다. 넷째, 기존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체계를 거부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바라본다.
V. 결론
근대를 넘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에게 새로운 삶의 자세를 요구한다. 종교와 교육이 분리되는 길을 걸어왔던 근대를 반성하는 현대인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다원주의에서 크게 시사하는 바를 얻을 수 있다. 오늘의 시대에 다원주의적 종교교육은 사람들이 자신의 종교와 타인의 종교를 더 깊이 이해하도록 이끌어 갈 책임이 있다. 다원주의적 종교교육은 종교적으로 다원화된 세계에서의 종교교육으로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것은 다원주의적 종교교육이 타종교를 이해하게 하고 그리하여 결과적으로는 각자의 삶에 깊은 통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원주의적 종교교육은 다종교사회의 학교교육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이것이 학교가 종교적 가치를 반영할 때 학교교육의 본질이 되살아난다고 여기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종교와 교육에 대한 관점이기도 하다.
< 참고 문헌>
길희성(1994). 포스트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 서울: 민음사.
김욱동(199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현암사.
______ 편저(1990).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서울: 문학과 지성사.
세계신학연구원 역(1990). 포스트모던 신학. 서울: 조명문화사.
안기성(1978). 미국의 공교육제도와 종교에 관한 일고찰. 사대논집, 3. 고려대 학교 사범대학, 1978.
______(1987). 교육법제상의 정교분리. 국제크리스챤교수협의회 편, 학문과 종 교. 서울: 주류.
유혜령(1991).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정신문화연구, 제14권 제2호(통권 43호).
정웅섭(1991). 현대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방법.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한국기독교학회(1996). 포스트모더니즘과 탈식민주의시대의 신학. 서울: 한국 신학연구소.
황필호 역편(1989). 종교철학개론. 서울: 종로서적.
Race, A.(1982). Christians and Religious Pluralism. New York: Orbis Books.
Griffin, D. R. ed.(1988). Spirituality and Societ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ran, G.(1981). Interplay: A Theory of Religion and Education. Winona: Saint Mary's Press.
_________.(1989) Religious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Birmingham: Religious Education Press.
Lee, J. M.(1988). The Blessings of Religious Education. Thompson, N. H. ed. Religious Pluralism and Religious Education. Alabama: Religious Education Press.
Smart, N.(1969). Secular Education and the Logic of Religion. New York: Humanities Press.
Slattery, P.(1995).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Postmodern Era. New York: Gland Publishing, Inc.
Scott, Kieran.(1984). Three Traditions of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Vol. 79. No. 3.
Name: LEE, JAE IL
Title: Religious Education in The Postmodern Era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9.27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