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식량난으로 인한 대내외적 변화와 새로운 모색 (북한문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북한 식량난과 농업경제 현황

Ⅲ. 북한 식량난으로 인한 대내외적 변화

Ⅳ. 북한 식량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97. 11.
김국신, "미국의 대북 지원정책 결정배경과 향후 전개방향", 『통일연구논총』 제5권 제1호, 민족통일연구원, 1996.
김병로, "북한의 식량난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통일연구논총』 제7권 1호, 민족통일연구원, 1998.
김상철, "탈북자 인권문제의 실상과 보호대책", 『21세기와 통일에 대비하는 인권보장 확립방안』, 1999년 한.불 국제학술대회, 명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9. 11. 25.
김연철, "북한의 식량수급 현황과 농업정책 전망",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31호, 평화문제연구소 99년 상반기, 1999.
김운근, "1999/2000년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KREI 북한농업동향』 제1권 제4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 "금강산 관광사업은 북한의 경제난 해소에 기여하고 있는가?" 『금강산 관광사업과 남북경협 ― 평가와 전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9.
김찬규, "북한의 식량부족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북한조사연구』 제1권 1호, 북한문제조사연구소, 1997.
김채수, "북한농업기반의 현황과 문제점", 『김정일 체제와 북한의 진로』, 북한연구학회 1999년 하계학술회의 논문집 4, 1999. 6. 25.
, "북한의 식량증산을 위한 생산기반정비 협력방안",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31호, 평화문제연구소, 1999.
, "북한의 쌀 생산기반 현황과 문제점", 『농어촌진흥』 통권 제130호, 농어촌진흥공사, 1999.
남문희, "미국과 일본의 박정희식 북한개발", 『통일경제』 통권 제35호, 현대경제사회연구원, 1997. 11.
남성욱, "북한의 식량난과 인구변화 추이, 1961-1998", 『현대북한연구』 2권 1호,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1999.
박경서, "북녘의 식량난과 그 실상", 『통일시론』 통권 제2호, 청명문화재단, 1999.
박기돈, "사회주의국가의 개혁사례를 통한 북한 유통관리체계의 변화 전망", 『민족발전연구』 제4호, 중앙대 민족발전연구원, 2000.
박종철, 『중국식사회주의론』, 동방도서, 1991.
배성인, "북한 식량난, 남북관계와 남북한 농업협력", 『북한연구』 제2권, 명지대학교 북한연구소, 1999.
부경생, "북한의 식량문제, 해결할 수 없을까?" 『새 천년 향한 남.북한 농업협력』, 백의, 1999.
염형민, "북한의 국토 개발 개관", 『토지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1993.
우리민족서로돕기 불교운동본부, 『북한 식량난 실태』, 1998.
유인수.오윤진.윤성호.최돈향, "북한의 주요 곡물 생산량 추정", 『북한농업연구』4.
윤여상, "탈북자 실태조사 보고서", 『생명과 인권』 제10호, 북한주민의 생명과 인권을 지키는 시민연합, 겨울호, 1998.
이민복, "북한의 식량난 구조개혁과 개방으로 해결하라", 월간 『북한』 1월호, 북한연구소, 2000.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0.
외, "북한의 경제난 실태와 전망", 『정책과제보고서』, 세종연구소, 1996.
정세진, "북한의 지하 경제 확산과 지배구조 변화", 『통일경제』 통권 제62호, 현대경제연구원, 2000. 2.
최진욱, "북한 농업생산기반 현황과 남북한 협력방안", 『북한농업기반』, 국제세미나, 농어촌진흥공사, 1998. 11. 19.
최춘흠.홍용표, "김영남 방중의 의미와 북한의 대내외정책 전망", 『통일정세분석』, 99-03, 통일연구원, 1999.
통계청,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1999. 11.
통일부, 『월간 남북교류협력 및 인도적 사업 동향』 12월호, 1999.
한국개발연구원, 『KDI 북한경제리뷰』, 10월, 한국개발연구원, 199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 북한농업동향』 제1권 제2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9.
황동언, "북한식량난과 남북한농업협력", 『화해와 협력의 신전개: 남북 경협의 환경변화와 대응』, 현대경제연구원, 1999.
통계청, http://www.nso.go.kr(검색일: 1999. 12. 21).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kr/load/c34/c3417.htm(검색일: 1999. 11. 16).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kr/load/c34/c3429.htm(검색일: 2000. 2. 27).
『경향신문』, 1996년 7월 19일.
내외통신, 제1103호(내외통신사, 1998. 4. 2).
『노동일보』, 1999년 12월 16일.
『동아일보』, 1999년 10월 7일, 1999년 12월 4일, 1999년 7월 26일, 2000년 2월 18일.
『세계일보』, 1998년 8월 13일.
『연합뉴스』, 제1167호(1999. 6. 18-6. 24), 제1169호(1999. 7. 2-7. 8), 제1170호(1999. 7. 9-7. 15), 제1187호(1999. 11. 18), 제1188호(1999. 11. 25), 제1189호(1999. 12. 2), 제1200호(2000. 2. 17), 제1201호(2000. 2. 24). 제1205호(2000. 3. 23), 제1207호(2000. 4. 6).
『월간조선』, 1997년 4월호(조선일보사, 1997).
『조선일보』, 2000년 2월 12일.
『한겨레신문』, 1997년 8월 4일, 1999년 8월 31일, 2000년 1월 4일.
姬田光義.阿部治平 외, 편집부 옮김, 『중국근현대사』, 일월서각, 1985.
Dori, John T. (Ed.), U. S and Asia Statistical Handbook 1999-2000, Heritage Foundation, 1999.
FAO, FAO / WFP Crop and Food Supply Assessment Mission 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98. 11. 12).
UNDP, Thematic Roundtable on Agricultural Recover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DPR Korea: Draft (Geneva, 28-29 May 1998).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2.10.0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