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협력과 이벤트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지역관광산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지역주민협력 선행연구와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의 평가모델 도출
3.조사설계
4.결과와 분석
5.결론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수행해나간 것이다. 이러한 외국의 사례를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좀더 체계적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지역의 영향력있는 시민 단체들을 단순히 자문위원회성격으로 두는 것보다는 운영위 성격으로 포함하는 방안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고 하겠다(<그림 3>).
결론
이 연구에서는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4단계 평가모델이 사용되었으며 이에 근거하여 단계별로 엑스포의 진행과정과 엑스포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다. 분석의 중심이 된 기준은 지역주민의 엑스포에 대한 인식이었으며, 엑스포에 대한 지역사회의 협력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즉, 문헌연구를 통해 보듯이 관광개발에 필수적인 지역사회의 협력이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에서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와 엑스포행사에 협력적인 지역주민과 그렇지 않은 지역주민이 엑스포 행사에 대해 인식하는 시각이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분석한 뒤 분석결과에 따른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해 주려는 것이 이 연구의 의도이다.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의 4단계 평가모델은 제1단계인 문제설정단계, 제2단계 방향설정단계, 제3단계인 실행단계, 그리고 제4단계인 평가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4단계중 제2단계인 방향설정단계, 즉, 엑스포행사의 자원배치, 개발, 운영과 관련한 합동의사결정에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또한 제4단계인 영향평가중, 지역경제적 영향에 부정적인 의견들이 많았다.
반면, 제1단계인 문제설정단계에서 엑스포에 대한 홍보를 지역주민에게 잘했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으며, 제3단계인 실행단계에서도 지역사회의 엑스포행사 전반 (홍보, 참여정도, 자원봉사)에 관한 협력도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제4단계의 영향평가중, 사회문화적 영향에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따라서,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는 이 연구에서 사용된 4단계 평가모델을 근거로 분석했을 때 지역사회의 시각에서 제2단계의 방향설정과 제4단계중 지역경제적 영향이 취약했다고 나타난다.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의 4단계 평가모델에서 1,2,3,단계와 4단계의 관계분석결과는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에서 취약하다고 나타난 제2단계와 4단계의 일부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지를 시사해주고 있다. 제1단계에서 지역주민과 지방정부간의 대화시작에 대한 참여인지도가 높은 응답자들은 참여인지도가 낮은 응답자들보다 4단계 영향평가 중 사회문화적 영향에는 상당히 긍정적(10개 문항 모두)으로, 지역경제적 영향에는 어느 정도 긍정적(10개 문항 중 5개 문항에 대해)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단계인, 엑스포행사 준비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의견이 잘 반영되었다고 인식하는 응답자일수록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인식에는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10개 문항 중 9개 문항에 대해)이, 지역경제적 영향에는 아주 긍정적인 반응(10개 문항 중 9개 문항에 대해)을 나타내었다.
제3단계인, 엑스포행사 중에 지역사회의 협력과정(홍보, 참여정도, 자원봉사)에 참여한 지역주민들은 협력과정에 참여하지 않은 지역주민들보다 사회문화적 영향에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10개 문항 중 7개 문항에 대해)을, 지역경제적 영향에는 약간의 긍정적인 반응(10개 문항 중 3개 문항에 대해)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엑스포행사 활성화방안을 제시했으며 평가모델의 단계별로 시민단체들을 참여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어떠한 시민단체들을 어떻게 선별하여 어느 정도 참여시킬지 여부에 대해서는 좀더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국내에는 전혀 연구가 되어있지 않은 관광기획, 개발시 지역주민 협력이라는 주제로 이벤트 관광기획, 운영에 접근하여 엑스포행사 활성화 방향을 제시해주었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겠다. 하지만 연구결과 나타났듯이 이벤트관광 활성화방안에 대한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이 연구만으로 이벤트관광 전반에 대해 결론을 내리는 것은 무리라는 점을 밝혀두는 바이다.
참고문헌
강원도국제관광박람회 조직위원회(1999). 『'99 강원국제관광엑스포 자원봉사자 교육교재』.
고승익·윤동구·정승훈·박은아(2000). 축제 방문동기 세분화에 따른 지각된 성과와 만족 분석. 『관광학연구』, 23(2): 246~266.
오순환(1999). 지역축제의 실제와 경제적 효과.『관광학연구』, 22(3): 202 ~221.
이충기(1999). 2002 월드컵 개최에 따른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연관 분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2(3): 73~92.
이충기·이태희(2000). 경주세계문화엑스포에 대한 축제참가 동기 분석. 『관광학연구』, 23(2): 84~98.
최헌영(1988). '99강원도국제관광엑스포의 전망과 과제. 『강원비전포럼』, 1998.
Haywood, M.(1988). Responsible and responsive planning in the community, Tourism Management, 9: 105~118.
Jamal, T.B., & Getz, D.(1995). Collaboration theory and community tourism planning, Annals of Tourism Research, 22(1): 186~204.
Murphy, P.E.(1983).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decision making groups in tourism centers, Journal of Travel Research, 21: 8~12.
Murphy, P.E.(1988). Community driven tourism planning, Tourism Management, 9: 96~105.
Prentice, R.(1993). Community-driven tourism planning and. resident preferences, Tourism Management, 14: 218~227.
2000년 4월 3일 원고접수
2000년 5월 16일 수정본 접수
2000년 5월 29일 최종 수정본 접수
3인 익명심사 畢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0.0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