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한국의 지형과 기후, 산업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위치와 영역
(1)위치
(2)영역

2.한국의 지형과 기후
(1)지형
1)지질
2) 고생대층
3) 중생대층
4) 신생대층
(2)토양

1-2 기후
(1)기온
1) 1월 기온의 분포 특색
2) 8월 기온의 분포 특색
3) 우리나라 겨울 등온선과 여름 등온선의 특색
4) 기온 연교차(한서차)의 분포 특색과 그 원인
5) 기온 남북차의 분포 특색과 그 원인
6) 기온 동서차의 분포 특색과 그 원인
(2)강수
(3)바람(Wind)

3.산업
(1) 성장과 구조
(2)농업
(3)축산업
(4)임업
(5)수산업
(6)광공업
(7)상업
3-4 교통

4. 인구 촌락 도시
(1)인구
1)변천
2)분포
3)구조
4)이동
5) 한국의 인구현황
(2)촌락
(3)도시

5 국토개발
(1)1차 국토종합개발
(2)2차 국토종합개발
(3)3차 국토 종합개발

본문내용

集積效果)가 큰 서울 ·인천을 중심으로 한 지역개발이었고, 1966년에 발효된 울산(蔚山) 특정지역은 공업단지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 역시 1966년에 시작된 제주도 특정지역은 관광자원 등 경제개발의 전략기지로서 개발이 진행되었다. 그 밖에 석탄개발 ·식량증산 ·발전소건설 등이 추진되었다.
1967∼1971년의 제2차 경제개발계획기간에는 1967년부터 태백산(太白山), 영산강(榮山江), 아산(牙山) ·서산(瑞山) 등 특정지역개발이 시작되었는데, 태백산 특정지역은 지하자원 ·에너지자원 개발을 위한 것이고, 나머지 두 특정지역은 토지개간 ·수자원개발(水資源開發)을 통한 식량자급화에 기반을 둔 개발로서 역시 공업화의 추진, 식량의 자급화, 수입대체산업의 육성에 중점을 둔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 입각한 개발이었다. 한편, 철도 수송능력의 한계점에 대비한 고속도로의 건설은 국토 공간구조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1)1차 국토종합개발
제 3 ·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1972~1981년)에 해당되는 이 계획은, 산발적인 하천유역개발이나 자원개발에서 탈피하여 경제 ·사회적인 권역(圈域)을 개발 대상으로 하는 지역개발로 전환하는 한편, 도로 ·철도 ·용수 ·전력 ·통신 등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의 확충으로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고, 또 공업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경제성이 높은 대규모사업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여 그 개발효과가 전국토에 연쇄적으로 파급되게 하는 거점개발(據點開發)의 방식을 취하였다.
그리하여 남동임해공업 벨트를 중심으로 한 창원(昌原) ·여천(麗川) ·온산(溫山) ·포항(浦項) ·옥포(玉浦) 등지에 중화학공업기지를 건설하고, 또 권역별로 선정된 인천(仁川) ·성남(城南) ·춘천(春川) ·원주(原州) ·청주(淸州) ·대전(大田) ·광주(光州) ·목포(木浦) ·대구(大邱) ·구미(龜尾) 등지에 지방공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332km2의 공업용지를 확충하고 그 결과 1977년에는 수출 100억 달러의 선을 돌파하게 되었다.
그와 같은 지방공업단지의 확충은 서울 ·부산을 비롯한 대도시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지역격차의 심화현상을 시정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또 인구 ·산업의 과밀화(過密化)에서 오는 병폐 및 안보(安保) 저해요인 제거를 위해 입안(立案)된 수도권(首都圈) 정비개발계획과도 상호 관련을 갖는 것으로, 특히 이 기간 중에 추진된 광주권(光州圈) 개발계획은 산업 재배치에 의해 지역간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려는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 밖에 지역개발사업으로 중점을 둔 것 중에는 문화유적을 바탕으로 관광기반시설을 확충하기 위한 경주(慶州)종합개발계획과 부여(扶餘)∼공주(公州) 개발계획이 있으며, 또 자연경관을 바탕으로 관광 주도적인 개발을 실시한 제주도 종합개발계획과 영동(嶺東) ·동해안(東海岸) 개발계획이 있다. 사회간접자본 확충에서 가장 두드러진 건설성과를 보인것은 고속도로로, 계획기간 종료와 함께 그 총연장이 1,225 km에 달하게 되어 전국토를 1일생활권화하기에 이르렀고, 또 소양강(昭陽江) ·안동(安東) ·대청(大淸) 등 대단위 다목적댐의 건설로 수자원의 종합적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런 개발실적은 총체적으로 계획목표의 90% 이상이 된다.
(2)2차 국토종합개발
제2차 계획(1982∼1991년)은 제2의 경제도약단계의 발판을 구축하고, 아울러 종래에 추구하여 왔던 개발성과를 거울 삼아 보다 새로운 국토개발과제, 즉 국민생활의 편익성 제공에 그 근본목표를 두고 있다. 그와 같은 근본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토의 균형된 개발이 전제되어야 하며, 특히 그 선행수단(先行手段)으로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야기된 수도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과밀화현상 및 국토의 양극화(兩極化)현상이 시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있어서는 1970년대의 집적이익추구(集積利益追求)의 방식에서 그것을 확산(擴散)하는 광역개발정책(廣域開發政策)으로 전환하고, 또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추구해 온 생산환경(生産環境) 중점개발에서 탈피하여 국민의 생활환경(生活環境)개발에 중점을 두고 지역생활권의 거점(據點)을 육성해 나가는 것을 주된 과제로 삼고 있다. 아울러 에너지난·토지자원 부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생활환경시설을 대폭 확충하여 국민생활의 최저복지수준(最低福祉水準)을 확보하는 한편 공업화과정에서 파생된 환경오염문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투자실적은 다음과 같다.
① 국토 공간구조 개편 부문(권역개발, 특수지역 개발, 도시 및 지역 개발)에 1985년 가격기준으로 9조 7,560억 원을 투자하여 전체 투자의 7.0%를 나타냈으며, ② 국토개발 기반확충 부문(도로·철도·공항·항만·지하철·통신·공업용지 등)에 24조 7,940억 원을 투자, 18.0%를, ③ 자원개발과 환경보전 부문(농업·산림·환경·수자원·에너지·간척 등)에 32조 9970억 원을 투자, 24.0%를, ④ 국민 생활환경 정비 부문(주택·의류·교육·문화·상하수도·택지조성·휴양·위탁 등)에 70조 2,050억 원을 투자, 51.0%를 각각 나타냈다.
2차 개발 10년 동안에 총 137조 7,510억 원을 투자, 동기간 중 총자본 형성 투자의 41.8%를 기록하였다.
(3)3차 국토 종합개발
1992년 1월 확정·공고되어 추진 중인 제3차 개발계획(1992∼2001년)은, ① 지역의 균형개발, ② 국토 이용체제의 확립, ③ 국민복지의 향상, ④ 국토환경의 보전, ⑤ 통일기반의 조성 등에 기조를 두고 있다. 특히, 도시와 농촌에 적합한 개발을 위해 종래의 소극적인 억제정책을 지양하고 수도권집중형 국토골격을 지방분산형으로 개발하는 데 3차 계획의 기본전략과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서해안 중심의 산업거점을 형성하기 위해 아산(牙山:충남), 군장(群長:군산과 장항), 전남의 대불(大佛)·광양(光陽)을 집중 개발, 앞으로 조성될 공업지의 60%를 이 지대에 배치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둘째, 계획기간 중에 540만 호의 주택을 건설하고 90% 수준의 상수도 보급을 달성함으로써 선진형 국민생활의 기반조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2.10.1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