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라운드 출범 이후 WTO 농업협상의 전망과 대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뉴라운드 출범
1. GATT에서 도하까지
2. 뉴라운드 출범 경과
3. 뉴라운드 출범의 주요내용과 그 의미
4. 농업부문 주요 내용

Ⅱ 향후 농업협상 전망
1. 협상 일정
2. 세부지침안(Modality) 협상
2.1. 시장접근
2.2. 국내보조
2.3. 수출경쟁
2.4. 개도국대우
2.5. 농업의 다원적 기능
2.6. 쌀 재협상

Ⅲ 향후 농업협상 대응과제
1. 시장접근
2. 국내보조
3. 쌀
4. 개도국 지위
5. 농업의 다원적 기능

Ⅳ 맺음말

본문내용

불제 전환, 농가보험 등 농가소득 안전망 구축, 공공비축제 도입, 생산조정하 직접지불제 시행, 최소허용보조의 활용 등 다양한 농업정책들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정책과 협상대응방향이 맞물려서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국민적 공감대 확보가 중요하다. 농업보호정책을 도입, 시행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시민 등을 비롯한 전국민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농업보호 의식은 감성적 접근으로는 더 이상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농업이 식량과 의복의 공급 외에도 다른 주요한 기능을 하는 것을 설명하고 그 기능들이 금전으로 환산할 때 얼마나 되는 지를 이해시키고 동조를 얻어야 한다. 농업생산기반이 붕괴될 경우의 부작용을 홍보하고 어떤 대비책이 필요한 지를 알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협상력 강화를 위한 국내외 비정부기구간의 협력과 대응에 관한 부분은, 다양한 의제를 동시에 다룸으로써 논의의 초점이 분산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생략하였다. 비정부기구의 WTO 농업협상 대응에 대한 정리는 차후의 과제로 남긴다.
) 한국농협의 비정부기구 협력활동은 부록 참고자료 5, 6, 7 을 참조할 것
< 참고문헌 >
권오상, 이성우,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연구 발표회, 2002. 1. 29
김충실, 'AGE에 의한 쌀관세화와 MMA 의 일반균형 효과 비교분석',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 1999. 12. 11
______, '우루과이 라운드(UR)의 국민경제적 효과와 교훈', 농업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2002. 1. 25
김태곤, 일본 쌀관세화 전환의 효과와 문제, 농촌경제연구원, 2001. 12
김홍배, 'WTO 체제하의 학교급식 개선방향', 농협조사월보, 농협중앙회, 2001. 12
농림부 웹사이트(/www.maf.go.kr), '카타르 WTO 각료회의를 다녀와서'
농림부, 'WTO 농업위원회 논의 사항', 국제농업국, 1998/2000
______, 'WTO 농업위원회 논의사항' 1998. 12, 2000. 1
______, '각국의 WTO 농산물협상 제안서', 2000. 11
______, '뉴라운드 논의동향과 대책' 농림해양수산위 보고자료, 2001.10.29
______, '세계무역기구 설립을 위한 마라케쉬협정(국영문)', 1994. 7
______, '제4차 WTO 각료회의 결과', WTO 협상대책 토론회 자료, 2001. 11. 21.
농협중앙회, '농업통상정보' 각호, 2001. 12
송유철, 박지현, '농산물 보호비용과 정책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 12. 30
여영현, '시애틀 각료회의 이후 WTO 농업협상의 전망과 대응', 농협중앙회 1999 연구보고서, 1999. 12
외교통상부, WTO 제4차 각료회의 동향 (1), (2), (3), (4), (5), 외교통상부, 2001. 11
윤석원, '도하 각료회의 이후 WTO 농업협상의 전망과 과제', 한국농업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 2002. 1. 25
이명수, 'WTO 농업협상 동향과 대책', 신유통아침포럼 특강자료, 2002. 1. 16
이용기, '한국 쌀 산업의 국경보호정책: 관세화 유예 최선의 선택인가?', 농업경제연구제42권제3호, 2001. 9
이정환, '한국 쌀농업의 선택: 관세화인가? MMA인가?'
이재옥, '제2차 NTC 컨퍼런스의 논의동향과 향후 과제', 2001. 6. 11.
______, '제4차 WTO 각료회의의 성과와 의미', 2001. 11. 22
______,' WTO 농산물협상의 추이와 과제', 농정연구포럼 발표자료, 2002. 1. 11
임정빈, 'WTO 농업협정의 이행, 차기 협상동향 및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6.
임정빈, '농산물 무역과 WTO 다자간 농업협상', 한국협상학회, 2001. 12. 14
최낙균, 'WTO 도하각료회의의 의의와 향후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11. 15.
한국농어민신문, 농업전문가 대토론회 자료, 2002. 1. 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WTO 농업협상 2단계협상 1,2,3,4차 회의 논의동향
_____ , 'WTO 농산물 품목별 협상대책 연구', 2000. 12
_____ , '우루과이 라운드 농산물 협상 백서', 1994. 11
_____ , '우루과이 라운드 농업협정문 해설', 1994
한꿈통상법연구회, '이차보전 수매제도 및 공공비축에 관한 연구', 2000. 12
한두봉, 'WTO 차기 농산물 협상의 시장개방 효과', 고려대학교 자연자원연구소, 1999. 6.
허무열 외, '수입자율확대조치에 대한 쌀 시장개방의 효과 분석', 농업경제연구제42권제2호, 2001. 6
JA 젠쭈, 'WTO 농업교섭 중점과제에 대하여', 한·일 농협 WTO 대응공조회의 발표자료, 농협중앙회 2002. 1. 14
Dae-seob Lee, Eric J. Wailes, Jim Hansen, `From Minimum Access to Tariffication of Rice Imports in Japan and South Korea', AAEA Conference, August 2-5, 1998
GATT, Punta Del Este Declaration, September 20, 1986
Office of the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2001 Trade Policy Agenda and 2000 Annual Report of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n the Trade Agreements Program, March 30, 2001.
Lori Wallach, Michelle Sforza, Whose Trade Organization?, Public Citizen, 1999
WTO, `Countries, alliances and proposals', Agriculture Negotiations: Backgrounder
____ , Special Studies 6, `Market Access: Unfinished Business, post- Uruguay Round inventory and issues'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64페이지
  • 등록일2002.10.2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