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L과 NA 마케팅전략의 차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제품 개발단계 및 도입기
2. 성장기 초,중반
3. 성장기 중,후반 및 성숙기

II. TTL 의 마케팅 전략
1. 새로운 브랜드-TTL-창조의 필요성
2. 표적 소비자
3. 제품(Product)
4. 서비스
5. 가격(Product)
6. 판매촉진(Promotion)
7. 유통(Place)

III.NA의 마케팅전략
1. 새로운 브랜드-NA-창조의 필요성
2. 표적 소비자
3. 제품(Product)
4. 가격(Price)
5. 판매촉진(Promotion)
6. 유통(Place)

IV. TTL과 NA의 마케팅 전략의 차이점
1. 브랜드를 만들게 된 동기와 당시 상황
2. 표적 소비자
3. 제품(Product)
4. 가격(Price)
5. 판매촉진(Promotion)
6. 유통(Place)

V.결론

본문내용

게 구체적인 의미
TTL은 애매모호한 의미의 브랜드이고, NA는 구체적인 의미의 브랜드라는 차이가 있 다.
(3)서비스
1)무선인터넷 서비스
2001년 6월 이전까지는 TTL만이 TTL고객전용 서비스인 TTL.n.TOP을 서비스 했으 나, 2001년 6월에는 NA도 NA고객전용 서비스인 NA모바일을 개통해, 차이점이 없어졌 다.
2)요금할인 서비스
둘 모두 젊은 층이 주로 사용하는 음식점이나 놀이시설에 대해 요금을 할인하는 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TTL은 단순한 요금 '할인' 만을 제공하는 데 반해, NA는 요금을 할인해 주는 '세이브샵' 뿐만이 아니라, 완전히 무료로 해주는 '프리샵' 서비스를 제공, 기존의 TTL이 나 카이 등의 서비스와 차별화 했다. 이 서비스는 상당한 수요를 불러일으켜, NA는 열 흘만에 10만여 가입자를 확보하고, 6개월만에 가입자 100만을 돌파했다.
TTL역시 6개월만에 가입자 100만을 돌파했으나, 이는 보조금지급이 가능할 때의 것이 었고, NA의 경우는 보조금지급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이런 정도의 성공을 거둔 것으로, 차별화된 서비스와 파격적인 혜택의 지급으로 이루어진 성과이다.
이런 것들은 NA가 TTL보다 나중에 나온 브랜드이므로, 보다 세심한 준비를 한 결과라 할 수 있어, 단순한 비교를 할 수는 없다. 또, SK Telecom의 경우, 2001년 6월말까지 시 장점유율을 50%이하로 떨어뜨려야 하는 입장이었으므로, TTL의 서비스를 강화할 수 없 는 상황이었다. 2001년 6월 말 현재, SK Telecom은 이런 결과로 신세대계층에서 떨어진 시장점유율을 새로운 브랜드로 만회하고자 하는 계획이 있다. 따라서, 요금할인 서비스에 서의 TTL과 NA의 차이는 양 회사가 처한 입장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TTL : 현상유지 혹은, Demarketing 전략
NA : 공격적인 marketing 전략
3)문화공간 제공 서비스
TTL과 NA모두 각자 TTL Zone과 Nazit 등, 자사의 고객만을 위한 문화공간이 있으며, 이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역시 거의 비슷하다. 인터넷에도 공간을 설치, 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는데, 세부적인 방식은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특별한 마케팅 전략의 차이는 없 다.
4.가격(Price)
타겟 고객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시장세분화한 결과가 거의 같다. 따라서, 둘 모두 거 의 비슷한 형태의 요금제로 거의 차이가 없으며, 요금제 하나하나의 방식이나 가격, 부가 되는 서비스 역시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굳이 차이가 있다면, NA가 TTL보다 좀 더 세심한 형태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5.판매촉진(Promotion)
(1)광고
1)광고목표
TTL : 신제품이었으므로, TTL에 대한 호기심 유발과 관심의 극대화가 목표였다.
NA : 기존 시장을 선도하고 있던 TTL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것이 목표였다.
2)예산책정
TTL : 신제품이었으므로, 목표과업법을 채택했다.
NA : 시장에 침투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므로, 이 목적에 알맞은 목표과업법과 경쟁사 기준법을 채택했다.
TTL은 NA나 카이 등과 같은 경쟁 브랜드가 나오기 전까지는 목표과업법을 사용했으 나, 경쟁브랜드가 나온 이후, 경쟁사기준법을 가미했다.
3)전략수립
가. 메시지 전략
TTL : 핵심 컨셉은 '자유' . N세대를 타겟으로 한 첫 제품이었으므로, N세대에 소구할 수 있는 보편적인 메시지 전략을 사용했다.
NA : 핵심 컨셉은 '공짜' . TTL과의 차별성을 강조할 필요성 때문에, TTL에서 제공 하던 '할인' 서비스와 차별화된 '공짜'를 강조하는 메시지 전략을 사용했다.
나. 메시지 집행
TTL
NA
광고모델
철저한 무명모델을 사용
모델이 유명해 진 뒤에도 모델을 철저히 비밀에 붙여 신비감 유지
무명모델과 유명모델을 번갈아 사용
모델의 신비감유지와는 거리가 멈
광고의 일관성
광고는 일관된 분위기와 모델, 메시지를 나타냄0
모델은 바뀌기도 했으나 분위기나 메시지는 일관됨
광고기법
티저광고(teaser)
-애매모호하고 신비스러움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
엽기적 유머광고
-엽기가 유행하던 신세대에 소구함
복고광고
-신선한 코믹함으로 차별성 부각
-위축된 경기에 부합됨
-신세대에게 신선한 관심을 유발
다. 광고매체 선정
둘 다 TV 나 신문, 잡지에 주력한 공통점이 있으나, TTL은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 부 착하는 방식을 NA보다 많이 사용한 차이점이 있었다.
(2)이벤트 및 행사
대체적으로 비슷한 방식의 이벤트와 행사를 가졌다. 놀이공원 무료 입장이라든가, 페스티 벌 개최, 여름철 해변에서의 축제개최나 겨울철 스키장입장권 무료 제공 등 비슷한 이벤 트가 많았다. NA는 무료 법률상담이나, 축구와 관련된 이벤트 개최등 후발 브랜드로서 TTL과 차이를 부각시키고자 하는 이벤트도 꽤 있었다.
6.유통(Place)
TTL과 NA모두, 기존의 011과 016 의 유통망을 사용했다. 이런 관점에서 봤을 때는 차이점이 없다.
V.결론
NA는 TTL의 성공을 토대로 하여 창조된 브랜드이다. 따라서, NA는 TTL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모두 같은 방식으로 제공하는 마케팅 전략을 택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NA역시 TTL과 비슷한 제품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또한 NA는 TTL보다 조금 더 나은 서비스를 추가로(TTL이 제공하는 것은 물론 다 제공하며) 제공함으로써-프리샵 서비스등-자사의 제품에 차별성을 두는데 성공했다. 또한, TTL이 N세대 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여 이루어진 TTL의 '낡은' 소비자 인식을, '공짜'를 부각한 광고로 차별화하여, 결과적으로 TTL보다 우월한 위치를 점하게 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는 2001년 6월말까지 시장점유율을 낮춰야 하는 SK Telecom의 입장 때문에 보다 쉽게 이루어진 결과로 볼 수 있다.
정리하자면, TTL의 종합적인 마케팅전략은 N세대라는 새로운 세분시장에 진출하면서 새로운 가치, 문화창조에 중점을 둔 것이었고, NA의 종합적인 마케팅전략은 TTL이 개척한 시장에 성공적으로 침투하기 위한 TTL모방+
alpha
전략 및 공격적인 마케팅전략이었다.
  • 가격1,7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10.2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9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