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옥 소설의 모더니즘적 특성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체 생산의 미적 전략

Ⅲ. 화해 불가능한 자기 음성의 세계와 환멸

Ⅳ. 1960년대의 세력장 : 문화혁명의 과정으로서의 모더니즘

Ⅴ. 결론

본문내용

) 이경덕, 앞의 글, 55쪽.
Ⅴ. 결론
전후세대와 신세대의 논쟁에서 신세대가 주장한 핵심은 언어와 문학에 있었다. 그러므로 4·19세대의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핵심을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1960년대의 문학을 곧바로 이들의 문학으로 환치해서는 곤란하다. 1960년대는 이들의 문학이 부상하기 시작했으며, 기성 세대들은 여전히 창작 활동을 했으며, 일부 기성 세대와 전후세대들은 분단과 6·25에 대한 거시적인 시각을 갖기에 이른다. 또한 외세와 민중의 삶에 대한 관심과 이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가 이루어진다.
1960년대 초반을 연 김승옥은 『산문시대』를 통해 등장한다. 1960년대 벽두에 집단적으로 등장한 『산문시대』는 집단의식을 보여준다. 이 땅에 새로운 문학을 심겠다고 농부와 탕자의 역할을 선언한 그들은 문학의 상상력과 질서의 근원을 체험·현실에 찾은 전후세대를 비판하고, 문학이 '언어로 된 하나의 질서'임 표나게 내세웠던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문학은 4·19와 5·16의 긍정성과 부정성, 1960년대에 가속화되는 근대화를 떠나서는 논의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이들 문학의 정체는 역사와 문학의 길항 관계 속에서 포착되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사를 역사의 거시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제임슨의 논의는 이런 맥락에서 참고할 만하다.
이 글에서는 1960년대 모더니즘을 알맹이 없는 단순한 포즈나 환상의 차원에서 바라보는 관점이나, 주관성을 과도하게 강조함으로써 모더니즘의 거시적 차원의 역사성을 간과하는 관점들을 넘어섬으로써, 김승옥을 중심으로 한 196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감수성의 혁명이라 일컬어지는 김승옥 소설의 이미지는 전후세대의 관념적 경향에 대한 부정과 체험의 명확한 인식의 불가능성, 그리고 문학의 예술적 자율성 획득을 지향하는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인물의 자기 세계의 확보는 사소한 것에 대한 유희적 조작을 보여주는데 그것은 문체의 차원에서는 에피소드의 나열, 응집성이 배제된 문단의 배열 등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삶의 파편화와 개인의 단자화가 작품으로 형상화되는 과정이자 그것에 대한 문제 의식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특성은 플롯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서울, 964년 겨울> 이러한 양가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자기 세계를 주장하는 인물들은 화해 불가능한 자기음성의 세계를 보여주는 바 그것은 인물들의 적대적인 모순을 드러낸다. 이러한 자기 세계의 이면에는 4·19를 통한 역사의 진보에 대한 가능성과 5·16을 통한 그 좌절을 동시에 본 인텔리의 의식을 나타내는 환멸이 놓여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고 등장한 1960년대 김승옥의 소설은 모더니즘의 이데올로기와 수량화되어 가는 세계 속에서의 감정의 장소를 동시에 지님으로써 리얼리즘 계열의 소설과 함께 1960년대 문학의 세력장을 형성하였다.
앞으로의 과제는 1960년대 모더니즘 문학 전반의 성격을 구명하고, 그것이 1960년대 문학의 세력장 속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관계는 무엇인지를 구명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산문시대』 1∼5호.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 1·2·3, 문학동네, 1995.
강진호, 「1960년대 리얼리즘 소설고」, 『현대소설연구』 6, 1997.6.
공종구, 「김승옥 소설의 근대성」, 『현대소설연구』 9, 1998.12.
김병익, 「60년대 문학의 가능성」,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민음사, 1982.
김윤식, 「60년대 문학의 특질」, 『운명과 형식』, 솔, 1992.
김윤식, 「앓는 세대의 문학」, 『현대문학』, 1969.10.
김주연, 「새시대 문학의 성립 : 인식의 출발로서의 60년대」, 『김주연평론문학선』, 문학사상사, 1992.
김 현, 「60년대 문학의 배경과 성과」, 『분석과 해석/보이는 심연과 안보이는 역사 전망 : 김현 문학전집 7』, 문학과지성사, 1992.
김 현, 「구원의 문학과 개인주의」, 『사회와 윤리 : 김현소설론집』, 일지사, 1974.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196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3.
민족문학사연구소 현대문학분과, 『1960년대 문학연구』, 깊은샘, 1998.
박태순·김동춘, 『1960년대의 사회운동』, 까치, 1991.
오민석, 「프레드릭 제임슨의 해석론 연구」, 경희대박사학위논문, 1997.
유종호, 「감수성의 혁명 : 김승옥」, 『비순수의 선언』, 민음사, 1995.
이경덕, 「Fredric Jameson의 역사주의적 상상력」, 연세대박사학위논문, 1996.
이종오 외, 『1950년대 한국사회와 4·19 혁명』, 태암, 1991.
이진경, 「들뢰즈 :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탈주의 공간을 위하여』, 푸른숲, 1997.
차혜영, 「자율적 주체의 개인주의와 모더니즘적 글쓰기」, 『60년대 문학연구』, 깊은샘, 1998.
최혜실, 『한국연대소설의 이론』, 국학자료원, 1994.
최인자, 「<무진기행>의 '자기반성' 서사 전략」, 『국어교육연구』 제5집, 1998.
하정일, 「주체성의 복원과 성찰의 서사」, 『1960년대 문학연구』, 깊은샘, 1998.
한국민중사연구회, 『한국민중사2』, 풀빛, 1986.
한국사회사연구회, 『현대 한국 자본주의와 계급문제』, 문학과지성사, 1988.
한국사회사연구회, 『현대 한국의 자본 축적과 민중 생활』, 문학과지성사, 1989.
한상규, 「환멸의 낭만주의 : 김승옥론」, 『196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3.
가라타니 코오진·송태욱 역, 『탐구1』, 새물결, 1998.
Jameson, F., The Political Unconscious :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London : Methuen, 1981.
Kermode, F., The Sense of an Ending : Studies in the Theory of Fiction, 조초희 역, 『종말의식과 인간적 시간』, 문학과지성사, 1993.
Bakhtin, M. M., The Dialogical Imagination, 전승희 외 역,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88.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1.04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