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전시소설 연구 : 북한소설 북한문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전시하 북한 문단의 정황과 창작방법론

3. 전.후방 인민들의 대중적 영웅주의를 통한 애국주의의 구현

4. 맺음말

*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표현한 대목을 발견할 수 있음도 기존에 가진 북한소설을 이해하는 것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 기간이 정치적 권력으로부터 비교적 상대적 자율성을 확보한 시기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또 애국이나 구국을 위한 투쟁을 명분으로 내세우면서도 지극히 개인적인 복수심에서 전투 열의를 보여주는 작품들이 의외로 많다. 이는 바로 보복과 복수에서 반복되는 가운데 민족의 비극을 만든 한국전쟁의 구체성의 일면들이라 주목할 가치가 높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지나갈 것은 북한의 전시소설에 드러난 애국주의가 해방기와 그 문학사적 연계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북한의 전시소설은 유일사상이 정립되기 이전 카프 문학의 전통을 잇고 있는 사회주의 문학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단행본>
권영민 편집, 『북한의 문학』, 을유문화사, 1989
김윤식 편, 『한국현대 현실주의 비평선집』, 나남, 1989
-----, 『북한문학사론』, 새미, 1995
김재용,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4
-----, 『민족문학운동의 역사와 이론』2, 한길사, 1996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 문학사 인식』, 창작과 비평사, 1991
박태상, 『북한문학의 현상』, 깊은샘. 1999
신영덕, 『한국 전쟁기 종군작가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윤재근.박상천, 『북한의 현대문학』Ⅱ, 고려원, 1989
이명재편, 『북한문학의 이념과 실체』, 국학자료원, 1998
이선영, 김병민, 김재용 편, 『현대문학 비평자료집』(이북편) 전 8권, 태학사, 1993-1994
이재인, 『북한문학의 이해』, 열린원, 1995
조건상 편, 『한국전후문학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3
최동호, 『남북한 현대문학사』, 나남, 1995
최연홍, 『북한의 문학』, 남북문제연구소, 1994
<논문 및 평론>
송희복, 「남북한 문학사 비교연구」, 『동원논집』2, 1989
신경득, 「전란초기 조선 전쟁영웅소설의 영웅유형」, 『배달말』24, 1999
-----, 「인민해방공간의 종군문학연구」, 『건국어문학』, 1997
김춘선, 「북한문학의 전개양상을 통해 본 제 특징」, 『현대소설연구』 11호, 1999
김현종, 「해방기의 북한소설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조남현, 「전시소설의 재해석」, 『문학정신』, 1988.12
Abstract
Study on novels of North Korea in wartime
Lee Eun Ja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examine themes of wartime novels of North Korea from 1950 to 1953. During the wartime all the North Korean novels represented the noble patriotism of North Korean people.
The true stories of fighting heroes in the early wartime showed well the patriotism, which the Chosun Labor Party of North Korea wanted to show. Although the stories were not well-formed novels, they played important roles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novels of North Korea in wartime. As time passed by, the novels began to show the patriotism of common but brave soldiers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not only that of heroes. And the fighting stories of all the northern people, a driving soldier, a kitchen soldier, a boy, a woman,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showed their devotion to the war. This appears in the novels showing not only the battle field itself at the front but also the lives of the people in rear. The wartime novels of North Korea, whether they are stories about battle things at the front or in rear, about a soldier or not, showed the patriotism, that is, how they fight for the sake of their country.
By the way, one thing we should focus on, is that the novels showed the patriotism as a whole but we can find emotional and sentimental stories in the patriotism. For example, ardent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or homesickness of a soldier can be seen in the novels. In addition, apart from the ideological conflicts or political affairs, the national homogeniety can be seen in some parts of the novels. These parts are unexpected to be in people's mind about the North Korean novels. It seems that the wartime is a period in which an author can feel free in writing from political government.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1.09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1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