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유니버설 디자인 부엌개발을 위한 소비자 반응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 연구방법
3. 개발된 부엌가구 디자인의 특성
4. 조사결과
5.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헤드 조명판과 조명판 앞 부착용 몰딩/타공판 문이었다. 작업대 폭이 기존부엌가구에서 55∼60cm인 것을 70cm로 변경한 것과 상부수납장의 높이를 기존보다 낮추어 작업대 상판과 상부수납장 밑면의 간격이 40cm가 되도록 변경한 것에 대해서 수납용량의 증가와 사용상의 편리성을 이유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위로 들어올려 밀어 넣을 수 있는 문짝을 가진 중간벽 수납장과 하나의 큰 볼 형태로 다양한 액세서리를 싱크대 디자인에 대해서는 수납된 물품들을 노출시키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작업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식탁은 다양한 행위를 수용하고 작업보조 지원성을 가진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 모든 특성의 실제적인 수용은 구매비용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기능성보다는 보다 장식적이고 심미적인 측면에서 개발된 교체 가능한 수납장 문짝/인출식 헤드 조명판이나 조명판 앞에 부착한 교체 가능한 몰딩/타공판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이었는데, 이는 아름다운 부엌을 가지고자 하는 욕구는 있으나 우선은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이 더 먼저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것과 비용의 부담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5. 결론 및 제언
(1) 본 연구에서는 작업면적과 부엌가구의 길이에 대한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치수를 제공하였으며, 두 번의 워크샵을 통해 치수변경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부엌의 효율성과 실제적 효용성 관점에서 기존 부엌가구 치수에 대해 보다 본격적이고 적극적으로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수납용량/작업대 폭/여러 액세서리 기능들이 보다 조화롭게 사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2) 시스템 부엌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생활의 질이 상승한 것은 사실이나 설거지도구 수납통이나 쓰레기통 등의 위생적인 부분들은 여전히 부정적인 이미지로 남아있으므로 심리적 측면과 편리성, 위생성을 높일 수 있도록 디자인될 필요가 있다. 특히, 위생적인 측면은 누구나 일반적으로 느끼고 추구하는 부분이나 현재는 비용이 많이 드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으므로 경제적인 여건이 되는 사람들에게만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간의 가장 기본적 욕구인 위생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는 제품의 비용을 높지 않게 하여 대중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 다룰 수 없었던 한계점과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부엌디자인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1) 본 연구에서 진행된 새로운 부엌가구 개념에 대한 반응파악은 실제적으로 제품이 계획되고 만들어지기 전에 시행한다는 측면에서 사용전 평가(Pre-OE: Pre-Occupancy Evaluation)의 일부분이라 할 수 있다. 개발된 부엌가구의 실제모형은 대학 내 실험실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주택에서 느끼는 전체 부엌의 규모감과는 다소 다르게 느껴질 수 있으며, 모형이 목합으로 제작되어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그릇이나 부엌용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없어서 실제 상황과 다를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제 부엌의 살림체제를 그대로 재현하고 실험세팅을 보다 현실적으로 하여 연구를 앞으로 계속적으로 진행시킨다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본 연구는 인간공학 분야의 연구는 아니지만, 주부들의 다양한 생활경험과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부엌가구의 치수변경을 시도하였고, 여러 차례의 워크샵 과정을 통해 기존 부엌가구 치수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기존 부엌가구의 치수변경은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면, 이를 위해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철저히 분석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여성건축기술자회, 조안준 역, 활기차고 상쾌한 식당과 부엌. 산업도서출 . 판공사,1995
2.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한국부엌의 작업대와 수납장의 표준치수 설 정을 위한 연구Ⅰ,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1983
3.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한국부엌의 작업대와 수납장의 표준치수 설 정을 위한 연구Ⅱ,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1984
4.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한국부엌의 작업대와 수납장의 표준치수 설 정을 위한 연구Ⅲ,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85
5. 이연숙 기획·편집, 삶의 질과 환경디자인: 개인·가족·사회를 위한 환 경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1998
6. ______, "삶의 질과 미시적 환경디자인" 삶의 질과 환경디자인: 21세기 환경디자인을 위한 다학제적 학술 심포지움 학술대회자료집, 연세대학 교 생활과학 연구소,1998
7. ______, 새천년과 뉴커뮤니티II: 환경디자인, "새천년의 국가비전과 전략" 대토론회 발표문, 1999
8. 황주희, 유니버설 디자인의 발달사적 관점에서 본 "제1회 국제 유니버설 디자인 대회"의 의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9. Dagwell, Koontz, Residential Kitchen Design: A Research-Based Approach, NY: Van Nostrand Reinhold, 1994
10. DeMerchant, Elizabeth A. and Beamish, Julia O., Universal Design in Residential Spaces, Housing and Society, 22(1&2)6, 1995
11. Krasner, Deborah, Kitchens for Cooks: Planning your perfect kitchen, Penguin Books Ltd, 1994
12. Loberta L. Null,Ph.D., 이연숙 교수연구실 편역, 유니버설 디자인. 태림 문화사, 1999
13...Peterson, Mary Jo, Universal Kitchen & Bathroom Planning. McGraw-Hill, 1998
14. Toseland and Rivas, An Introduction to Group Work Practice, NY: Macimillian, 1984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1.22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