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의 말레이시아 현지화 및 인사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삼성SDI 말레이시아 법인,말레이시아 종합생산성 大賞수상(2001년 02월 06일 / 삼성SDI)
최우수기업상,환경대상,품질대상과 함께 4대국가대상
국가대상 3年 연속 수상은 삼성SDI 말련법인이 최초
말련 상공부 계량평가/질적평가에서 최고점수 받아
해외진출 한국기업의 모범적 사례로 주목

Ⅰ. 서 론

1. 말레이시아의 경제적 환경과 외국인 투자

Ⅱ. 본 론

1. 삼성 SDI에 관하여

2. 삼성sedm에 관하여

3. 동남아 지역 본사의 현지화 방향

4. sedm의 현지화 전략

Ⅲ. 결 론

1. 현지인 직무성향

본문내용

급까지도 가능한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기본적인 계획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이유로 인해 현지화를 빠르게 그리고 더 진행 시키려고 한다. 그 이유는
① 현지인은 현지 환경에 익숙하다.
② 현지에서의 기업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③ 비용 절감
이런 이유에도 불구하고 현지인 활용을 신중히 해야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현지인이 회사나 상품에 대한 지식이나 본사의 정책과 경영철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본사가 자회사를 통제하는데 이들이 문제점이 될 수 있다고 반박한다. 또 현지인에 의한 관리가 된다 하더라도 현지 법인과 최고 경ㅈ영자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도 대두된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도 많은 일본 기업들은 해외법인의 최고 경여자를 현지인으로 대체하는 데는 많은 주저를 하고 있다.
Ⅲ. 결 론
1. 현지인 직무성향
SEDM은 그 동안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본사에 비해 다소 높은 불량률을 유지하고 있다.물론 설비나 원자재 혹은 생산기술등에 의한 이유도 있겠지만 중요한 이유로 뽑히는것이 직원들의 이직율이다. (표-3) 말레이시아는 높은 인구증가율에도 불구하고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만성적인 초과 노동수요가 발생하여 근로자는 쉽게 전직을 할 수 있다. 또 말레이시아인들은 성향상 다른 직장에서 더 좋은 대우를 받을 경우 미련 없이 직장을 쉽게 옮기기 때문에 인력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회사에 대한 애착심이나 일에 대한 몰입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원인으로는 말레이시아가 지리적으로 동양권에 속해 잇는 나라이지만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영국의 식민 통치 영향으로 형성된 독특한 사고방식에 기인한다고 볼 수있다.
이런 현상으로 인해 삼성이 제시한 대비책으로 현지인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력강화를 위해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그 운동중의 하나로 Survival through cost saving이란 표어를 회사 벽에 붙여 놓는데 이는 원가 절감을 위한 에너지 절약 운동으로서 경기 불황에 대응하기도 하지만, 현지인에게 참여의식을 고취시킬수 있는 잇점을 노리고 있다. 또 kpc(kampain percekjitaran ceria, 활기찬 직장 만들기) 운동을 하고 잇는데 이는 먼저 인사하기, 칭찬하기, 등 종업원들의 긍정적인 사고 방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또한 사내방송을 실시하여 모두가 삼성인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유도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2.16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