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소형 컴퓨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기술 개요

2.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및 기술수준

3. 향후 국내외 기술개발동향 및 전망

4. 기술의 활용범위

5. 복합기술분야

본문내용

5. 복합기술분야
가. 무선인터넷
무선통신과 인터넷을 결합하여 무선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네트워크 기능이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환경의 추세를 고려할 때 팜-랩탑 컴퓨터의 가장 중요한 응용분야로 성장할 것이다. 현재 무선인터넷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들로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과 ME(Mobile Explorer) 등이 있다. 이들이 각각 WML(Wireless Markup Language)과 HTML을 사용한다. WAP는 클라이언트, WAP 게이트웨이, 웹서버로 모바일 인터넷을 구성한다. 웹서버는 WML을 사용하여 기존의 유선 인터넷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되며 클라이언트는 각각의 단말기에 적합한 내부언어로 구현된다. 따라서 이 둘을 연결시키는 부분이 필요한데 WAP 게이트웨이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한다. WAP 게이트웨이는 클라이언트의 WSP(Wireless Session Protocol)을 받아들여서 웹서버에 HTTP를 요청하고 서버가 제공하는 WML로 구성된 HTTP응답을 각 클라이언트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WSP응답을 제공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와 WAP 게이트웨이 사이에서는 WA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WAP 게이트웨이와 웹 서버사이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WAP 게이트웨이가 존재함에 따라서 웹 서버측 개발자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특성에 맞도록 웹페이지를 구성하지 않고 CGI등의 기존 기술을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선 인터넷의 웹페이지들을 쉽게 무선인터넷으로 포팅할 수 있도록 한다. WAP 게이트웨이와 클라이언트 부분은 각각의 휴대폰 서비스 회사나 PDA생산 업체에서 담당하므로 다양한 웹페이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WAP기술은 에릭슨(Ericsson)이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SK텔레콤, 신세기 통신, LG텔레콤 등이 WAP을 채택하고 있다.
WAP과 경쟁하고 있는 ME는 MME(Microsoft Mobile Explorer)라고도 불리는데 ME를 탑재한 터미널을 이용하여 웹서버에 통신하는 방식이다. ME를 지원하는 웹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은 ME 전용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 액세스 태그 컨버터라는 ISAPI(Internet Serv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웹과 ME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 WAP게이트웨이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리포맷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국내에서 ME를 지원하는 사업자는 한국통신프리텔과 한솔엠닷컴이다.
WAP과 ME 모두 무선 인터넷의 표준으로 정착하기 위하여 서로 경쟁하는 단계이며 이외에도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 CLDC(Connected Limited Device Configuration)/MIDP(Mobile Information Device Profile) 기술 등이 등장하고 있다. 모빌 컴퓨팅 능력과 무선 인터넷의 결합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 줄 것이다.
나. 홈네트워킹
홈네트워킹 가정내의 가전기기들은 네트워크로 연결시켜서 고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다. 현재 홈 네트워킹의 주요 용도들은 인터넷 공유, 프린터 공유, 파일 공유, 네트웍 게임 등의 단순한 작업들로 제한되어 있지만 향후 네트웍 연결이 가능한 다양한 기기들이 생겨남에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생겨날 것이다. 홈네트웍은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분류된다. 아래 표2는 홈네트웍을 기술별로 비교하고 있다.
종류
표준
전송속도
최대전송거리
유선
HomePNA
HomePNA v2.0
1-2/10Mbps
150m
USB
USB v1.1
12Mbps
30m
IEEE 1394
IEEE1394
100-400Mbps
72m
이더넷
IEEE802.3
10/100Mbps, 1Gbps
100m(UTP)
전력선
없음
1-2 Mbps
100m
무선
Bluetooth
Bluetooth v1.0
720Kbps
10m
HomeRF
SWAP v1.2
1-2 Mbps
50m
IrDA
IrDA v1.3
최대 4Mbps
1m
무선 LAN
IEEE802.11
5.5-11Mbps
50m
표1. 네트워크 통신기술별 비교
아직 홈네트워킹의 표준은 존재하지 않으며 현재 여러 표준화 협회에서 홈 네트웍 표준화 작업을 추진중이다. 홈 네트워킹을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하드웨어 표준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표준도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개발되고 있는 기술들로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JINI(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마이크로소프트의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루슨트 테크놀로지의 인페르노, IBM의 T SPACE등이 있다. 이 중 지니와 UPnP가 이 분야에서 양대 축을 형성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홈네트워킹은 아직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며 향후 막대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네트워킹의 구축에 의하여 휴대용 소형 컴퓨터들도 네트워크에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무선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직접 통신포트를 연결하지 않고 쉽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모빌 컴퓨팅과 네트워크의 융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훨씬 높은 가치의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6. 참고자료
가.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정보시대 (1999.01. - 1999.12.)
나.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소프트뱅크 미디어 (2000.1. - 2001.5.)
다. http://palm.oslab1.com
라. http://www.microsoft.com/windowsce
마. http://www.palm.com
바. http://www.palm.com/devzone/index.html
사. http://jtel.co.kr
아. http://www.computers.com
자. http://www.itstock.com
차. http://www.zdnet.co.kr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12.21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2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