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민중에 대한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객지’의 작가 황석영과 시대 배경

2. 본론
작품의 이해와 견해, 문제점

3. 결론
객지’를 통해 느낀 점

본문내용

로 볼 때 오랫동안 노동판을 전전했던 장씨의 행동과 결말에서 미래를 다짐하는 동혁의 행위는 크게 다르다. 그러나 장씨 생각에는 두 가지가 교차하고 있다. 과거의 실패에서 오는 패배주의와 그럼에도 떨쳐 버릴 수 없는 젊은이들에 대한 기대가 그것이다. 작가는 동혁의 편에서 소설을 전개하고 있으면서도 장씨가 대표하는 현실적인 노동자의 모습을 무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8) "작가는 장씨의 배반을 통해서 순응주의의 모순을, 인부들의 타협을 통해서 그들의 순진성을, 동혁의 외로움을 통해서 지식인의 배반감을, 그리고 이모든 것을 통해서 현실의 모순의 원인을 규명하고 있는 것이다."
라는 평가는 일면적인 데 그친다. 장씨는 단순한 '떡밥'이 아니라 진정 젊은이들의 미래를 걱정하는 관록있는 노동자로 제시되는 것이다. 동혁의 말대로 장씨는 협상을 붙이러온 다른 노동자들과 꼭같다고는 볼 수 없다. 단지 젊은 노동자들을 염려하고 있는 것이며, 새롭게 다가올 사태를 두려워하고 있는
-------------------------------------------------------------
6) 황석영, '객지' 8면
7) 황석영, '객지'15면
8) 김치수, '한국소설은 어디에 와 있는가' <문학과 지성>1972년 가을
것이다. 긍정적 인물이라 볼 수는 없지만 쟁의에 대한 확신을 잃어버린, 조
금의 개선 약속에도 만족해버리는 현실적이고 나약한 노동자의 모습이다.
3. 결론
지금까지 황석영 소설을 산업화에 대응하는 하층민들의 삶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넓게 보면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생긴 인간과 노동의 소외 문제와 닿을 수 있겠다. 노동 현실의 비참함은 그 자체로도 문제이지만, 작가는 산업화가 기존의 긍정적 전통마저 빼앗아버린 사실을 문제 삼는다.
우리는 진실한 소설이라면 그 사회의 고민에서 비껴 갈 수 없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는다. 거꾸로 말하면 그 사회의 고민을 꿰뚫는 문학이 또한 진실한 문학이다. 나아가 문학-객지-는 우리에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어떠하나가(과연 노동문제는 해결되었는가)비추어 주는 시대의 거울같은 역할까지도 담당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
권영민, '한국 현대문학사 1945~1990' 민음사
김동훈, '우리소설 토론해 봅시다.' 새날
민족문학사연구소 현대문학분과, '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
황석영, '객지'
그외 홈페이지 엠파스, 심마니, 야후, 라이코스 의 문학비평...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2.12
  • 저작시기200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