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추진 성과와 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논의의 흐름과 틀

Ⅲ. 제주지역의 환경과 특성: 잠재역량 분석

IV. 제주지역 정보화 현상분석과 진단 : 성과와 한계

V. 제주지역 정보화추진의 방향과 과제

VI. 맺 는 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예산은 중앙정부에서 담당해야 하지만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실행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I. 맺 는 말
이 글에서는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정보화추진노력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제주지역도 정보화 흐름을 지역개발 및 발전의 수단으로 채택하여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지역특성에 상응하는 정보화추진에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 정보화추진의 공감대가 미약한 것으로 보여진다. 즉 광역자치단체인 제주도의 정보화정책조정 및 통합을 위한 리더십이 미흡한 것으로 지적된다. 또한 지능적인 정보화 섬을 지향하는 제주지역 내에서 지역간 정보화 격차현상이 드러났으며 이러한 점은 제주지역의 정보화 추진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로 제시된다. 이제 정보화의 성숙, 고도화에 따라 지식화의 흐름이 새롭게 진행 중에 있기에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에서 보다 정교한 노력이 요구되지만, 분명한 점은 제주지역사회에서는 기존 사회에서 지녔던 가치와 문제해결방식의 전환이 요구된다는 사실이다. 즉 지역경쟁력 창출을 지원하고 각 주체들의 지식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치창출과 혁신을 도모해야 한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과 역할도 탈바꿈되어야 한다. 지식사회에서 정부지원과 안내를 필요로 하는 지역기업이나 주민들이 지능적으로 변화하고 있건만, 유독 지방정부가 과거의 구조와 역할의 관성을 유지하려 한다면 지역경쟁력은 구호에 머무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심지어 지역거버넌스의 구성체로서 존재의미도 잃게 될 수 있음을 명념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과학기술부·과학기술정책평가원(1999). 「지방과학기술연감」.
기영석(2001). 「지식정보화사회의 정보통신산업 입지정책 연구」. 정보통신부 일반정책연구지정공모사업.
김성태(1997). "정보화정책의 이해와 지역사회의 정보화정책의 추진방향", 한국정책학회, 「충청남도 정보화선언 및 심포지움」.
남제주군(2001). 「남제주군 지역정보화기본계획」.
북제주군(2001). 「북제주군 지역정보화기본계획」.
서귀포시(2001). 「서귀포시 지역정보화기본계획」.
송근원·이기식(1997). "지역정보화사업의 평가와 전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창간호(12월). 부산경남울산제주행정학회.
제주도(2001). 「지역정보화촉진협의회 회의자료-추진실적 및 시행계획-」.
(2001). 「제주도 정보화기본계획」.
(2001). 「2001년 지역정보화 시행계획」.
최흥석(1997). "지역정보화 정책의 추진체계와 방향 : 중앙과 지방간 역할분담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지방화 세계화 정보화시대의 정책과제와 한국의 대응전략」. 1997년도 하계학술대회프로시딩.
행정자치부·지역정보화지원재단(2001). 「2000 기초자치단체 정보화수준 측정」.
한세억(2002). "지역정보화의 진화와 전망: 생활정보화", 「한국지역정보화학회보」. 제5권 제2호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한세억(2001), 「제주첨단지식산업단지구축전략 모색을 위한 국제세미나」.
한국인터넷정보센터(2001). 「인터넷이용실태 조사보고서」
한국정보문화센터(1993). 「일본동경도의 지역정보화계획」.
황성돈·정충식(2002). 「전자정부의 이해」. 다산출판사.
Anttiroiko, Ari-Veikko, 2000. Building Regional Capacity for Information Age, Public Administration Working Group Meeting, Issue Paper.
Bryson, John M.(1988). Strategic Planning for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San Francisco ; Josey Ball Publishers).
Bryson, John M. and William D. Roering(1988). "Initiation of Strategic Planning by Government," PAR, November/December.
Certo, Samuel C. and J. Paul Peter(1988). Strategic Management : Concept and Applications(Random House, New York).
Gabris, G.T(1992). Strategic Planning in Manicipal Government : A Tool for Expanding Cooperation Decision Making Between Elected and Appointed Officials, Public Productivity and Management Review, Vol. 16. No.1.
Goodwin, M. and Painter, J(1996). Local Governance: the Crises of Fordism and the Changing Geographies of Regulation.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British Geographers. 21: 635-48.
Handy(2001). Elephant and the Flea, 이종인(2001). 코끼리와 벼룩, 생각의 나무.
Jones Lang LaSalle·제주도·건설교통부(2000). 「제주도 국제자유도시 개발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Kemp, Jr. E.J, R.J. Funk and D.C. Eadie(1993). Change in Chewable Bites: Applying Strategic Management at EEOC, PAR, Vol. 53. No.2.
Wheeland, Craig M.(1993). City Wide Strategic Planning : An Evaluation of Rock Hill's Empowering the vision, PAR, Vol.53. No.1.
목차
Ⅰ. 서 론
Ⅱ. 논의의 흐름과 틀
Ⅲ. 제주지역의 환경과 특성: 잠재역량 분석
IV. 제주지역 정보화 현상분석과 진단 : 성과와 한계
V. 제주지역 정보화추진의 방향과 과제
VI. 맺 는 말
참 고 문 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04.07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