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응급의료체계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의
2. 특징
3. 구성요소
4. 우리 나라 응급의료체계
5. 응급 의료법
6. 우리 나라 응급의료의 문제점과 대책안

본문내용

의 목숨을 앗아간 삼풍백화점 붕괴(95년 6월) 등 참사가 잇따르면서 ‘총체적 안전 불감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들끓자 95년 7월 재난관리법이 제정됐다.
재난관리법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별로 재난시 업무범위를 정하고 인명구조, 응급조치, 사고대책본부 운영 등 재난대처에 관한 ‘알파와 오메가’를 규정하고 있다. 핵심은 응급의료시스템. 인명을 구조하더라도 제때 응급처지, 병원이송,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목숨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1339 응급정보센터’를 통해 현장 구급대원에게 병원 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재난관리체계의 문제점〓전문가들은 ‘응급의료진의 절대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한다. 서울시 소방방재본부 소속 응급의료 전문의는 고작 1명. 구급관련 자격자 1211명 가운데 재난현장에서 심폐소생술, 약물투여 등 응급처치가 가능한 1급 응급구조사는 141명에 불과하다. 또 3명의 구급대원이 타는 구급차를 제대로 가동하기 위해서는 구급차 1대당 4.5배(상시운영계수)인 13.5명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소방서는 4∼6명으로 운영하고 있다.
신고체계 일원화의 목소리도 높다. 미국은 재난의 유형에 관계없이 911로 전화하면 되지만 우리는 112(범죄) 113(간첩) 119(화재 및 응급환자) 1339(응급정보) 등으로 분산돼 있어 혼란스럽다. 구급대원들은 “미국은 ‘선한 사마리아인의 법’ 등을 통해 응급구조사들의 면책을 보장하지만 우리는 이 같은 법이 없어 모든 책임을 우리만져야 하기 때문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기 쉽다”고 입을 모았다.
▽뉴욕테러에서 배울 점〓용산소방서의 1급 응급구조사 곽창승씨(35)는 구조현장에서 엄격한 통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맨해튼 참사의 경우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차량의 통행을 선별하는 등 엄격한 현장통제가 이뤄졌다. 또 세계무역센터가 6개월에 2, 3차례 불시에 테러대응 훈련을 계속해 온 것도 그나마 사상자를 줄일 수 있었던 비결로 지적된다. 서울시 소방학교의 이승한(李承韓·응급의학 전문의) 교수는 “재난관리는 단순히 구조와 구급으로 끝나지 않는다”며 “이번 뉴욕 참사를 계기로 예방에서 재난현장의 처리까지 국내 재난관리체계를 총체적으로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
역할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응급의료자원 정보 수집
각 의료기관의 가용 병상, 의료 장비, 의료인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간 정보 수집
의료기관 간 의료정보 제공
구급차로의 의료정보 제공
일반인에 대한 의료 정보 제공
주요기능
병원 일반정보
- 의료기관 등급 (1, 2, 3차 기관)
- 소재지(위치) 정보
- 진료과목 현황
- 전문의 현황
- 환자 발생지와의 거리
응급실, 중환자실 및 수술실 정보
- 응급실 병상수
- 가용 병상 현황
- 중환자실 종류별 가용병상수
- 수술방의 숫자 및 가용 현황
응급 의료진 정보
- 당직의사 현황 및 대표자 성명
- 응급의료 요원(전문의) 현황
응급의료 장비보유 현황 정보
- 주요 수술 장비 보유 및 가용 현황
- 주요 검사 장비 보유 및 가용 현황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05.05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