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면극의 형성과 송대잡극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소학지희와 가면극의 관계

3. 한국 가면극과 송잡극 전통의 관련 양상
3.1 극적 형식
3.2 과장의 구성
3.3 등장인물

4. 한국 가면극의 형성시기 추론

5. 마무리

본문내용

관련된 과장은 늦어도 고려 말엽에 이미 상당 수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 양반과장도 유희의 전통을 고려할 때 그리 늦지 않았을 것이다. 물론 이것은 현전하는 대사와 동일한 내용이 성립되었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이러한 과장들이 보여주는 형식적 틀이 이미 완성되었으리란 의미이다. 형식적 틀이 완성되었고 거기에 일정한 편폭의 대사가 등장 인물별로 부여되었다면, 그것은 현전 가면극의 선행 예능이라기 보다는 완성된 가면극의 하나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5. 마무리
이제까지의 논의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로 소학지희와 현전 가면극의 관계를 입증하는 일이었다. 선행연구를 발판삼아 증거를 보강하여 제시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에 인식되던 소학지희의 개념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만약 필자의 의문 제기가 타당성이 없지 않다면 차제에 소학지희를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시금 논의해 보는 것도 무의미하지 않을 것이다.
둘째로 한국 가면극과 송잡극의 전통의 관련 양상을 과장의 구성, 극적 형식, 등장인물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폈고, 그 결과 밀접한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 시점에서 볼 때 이러한 현상이 결코 우연한 혹은 세계적으로 보편적이면서 일상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일로 판단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그것이 일방적인 영향으로 결과라고 할 수 도 없다. 그렇지만 적어도 한 가지, 당시 양국의 배우들이 공연과 관련해 상당 부분 공통적인 특성을 공유했음은 분명하다.
셋째로 가면극의 형성시기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과장의 성립시기를 삼아야 할 것을 제시하면서, 앞의 논의 결과와 여러 가지 정황 증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늦어도 고려 후기에는 가면극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가면극과 관련해 지금까지 제기된 기원설 가운데 풍농굿기원설, 기악기원설, 무굿기원설 등은 현전 가면극과의 역사적 거리를 메우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반면 산대희기원설이나 산대도감극계통설은 직접적으로 관련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경로를 통한 연극사의 소급이 충분히 수행되지 못한 것이 지금의 형편이다. 그런 의미에서 산대희를 현전 가면극과 직접 연결되는 전승 경로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은 적지 않은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가면극의 형성에 대한 여러 학설 가운데 임의적으로 산대희 관련설만 채택하여 논의하였는데, 다른 학설을 배제한 것에 대한 연구사적 분석과 해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먼저 필자는 이 글에서 형성과 기원을 다른 의미로 사용하였음을 밝힌다. 형성을 성립의 의미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형성시기의 문제는 기원설보다 시대적으로 나중의 문제를 다룬다. 또 이 글에서 시도한 시대적 소급이 고려시대에 그치는 것은 연구범위의 한계 때문이다. 그것이 더 이전으로 소급될 개연성은 얼마든지 있다. 그러므로 다른 학설을 배제하는 입장이 아니라 다룰 형편이 못되는 것이다. 예컨대 풍농굿, 기악, 무굿 등은 모두 고려 이전 시기에 등장하는 것이므로 이 글에서 본격적으로 거론하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 차후에 논의의 기회가 있으리라 본다. 한편 산대희 관련설만 임의적으로 채택하였다고 했는데, 정확히 말하면 임의적이 아니라 의도적이다. 그 의도를 좀 더 부각시키기 위해 머리말의 내용을 보강하였다.
이 글에서는 시대적 상한선을 고려와 송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들이 많다. 특히 기원설과 관련해서 더욱 그렇다. 누락된 부분들을 메우려면 필연적으로 고려와 송 이전 시기를 다루지 않을 수 없는데, 그 작업은 후속 논의로 넘긴다.
이밖에도 많은 부분들에 있어서 논의의 미진함이 있을 줄로 안다. 그러한 문제들에 대해서는 논의가 좀 더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길 바랄 뿐이다.

The Origin of the Korean Mask Drama and 'Songjaju(宋雜劇)'
This paper is aimed to make an inference to when the mask drama appeared in Korea. In order to reach this aim, I used a comparative study and took a three step discussion method.
In the first step, I suggest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son dynasty's 'sohakjihee(笑謔之戱)' and the contemporary mask drama. And I have found evidence to support this point.
In the second step, I carried out a comparativ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mask drama and tradition of 'songjaju(宋雜劇)'.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my suggestion. The possible relationship was proved by several aspects. For example, both the korean mask drama and 'songjaju(宋雜劇)' consists of kwajang(科場) or duan(段), a dramatic form of mask drama and characters etc.
In the third step, I tried to investigate the date of origin of the mask drama. Cnsidering several reasons, I concluded that the korean mask drama appeared during the Koryo dynasty at latest.
참고문헌
조선연극사(민학사, 1974)
한국가면극(문화재관리국, 1969)
조선구전문학연구(과학원, 1962)
국문학연구산고(일신사, 1976)
한국문학통사2(지식산업사, 1994)
조선 민속 탈놀이(과학원, 1958)
황해도 탈놀이(열화당, 1993)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05.23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