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Ⅱ.작가 막심 고리키(Maksim Gor`kii 1868∼1936)
Ⅲ. 희곡 『밑바닥(일명:밤 주막 Na dne)』에 대해서
1. 『밑바닥(일명:밤 주막)』의 이야기 전개
2. 인물 분석
Ⅳ. 맺으며
Ⅱ.작가 막심 고리키(Maksim Gor`kii 1868∼1936)
Ⅲ. 희곡 『밑바닥(일명:밤 주막 Na dne)』에 대해서
1. 『밑바닥(일명:밤 주막)』의 이야기 전개
2. 인물 분석
Ⅳ. 맺으며
본문내용
이다.
나. 떠돌이 철학자 루까
이곳 사람들에게 쓸데없는 희망을 불어넣어 주는 허풍선이 선동가이다. 그 것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은 누구보다 잘 알면서 사람들을 환상에 빠트리고 슬그머니 빠지는 무책임한 인물이다. 루까 자신은 그의 거짓말이 사람들에게 일시적으로는 희망을 주지만 이들이 그 희망이 헛된 것임을 깨닫는 순간 그들의 삶은 전보다 더욱 견디기 어려운 것이 되고 만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우리주변에 그럴싸한 말로 접근하는 인물들이 생각난다. 결정적인 순간에는 "나 몰라"라 하는 무책임한 사기꾼들이..
다. 사기 도박사 사틴
도박사여서 그럴까, 극중 인물 중에서 사틴이 유일하게 이러한 루까의 거짓말에 넘어가지 않은 인물이다. 그의 삶의 태도는 시종일관 변함 없다. 인생을 보는 관점이나 방법에 있어서 루까와는 대조적인 인물이다. 따라서 이 점이 극에서의 주요한 극적 갈등을 이루는 계기가 되고, 이상적인 인생관을 가진 인물로서 고리키가 그리지 않나 싶다.
Ⅳ. 맺으며
『밑바닥(일명:밤 주막)』은 전체적으로 어둡고 무거운 느낌이 든다. 고리키의 작품이어서 그럴까 그의 필명의 뜻처럼 비참하고, 처절하다. 일반적인 문학작품이 희망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밑바닥(일명:밤 주막)』은 너무나 절망적이다. 이것이 "처절미학"일까. 너무나 생소하여 쉽게 말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모습이 진정우리의 모습일 것이다. 다만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모습이기에 생소한 것일 것이다. 하여튼 『밑바닥(일명:밤 주막)』은 너무나도 많은 화두를 제시한 작품이었다.
나. 떠돌이 철학자 루까
이곳 사람들에게 쓸데없는 희망을 불어넣어 주는 허풍선이 선동가이다. 그 것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은 누구보다 잘 알면서 사람들을 환상에 빠트리고 슬그머니 빠지는 무책임한 인물이다. 루까 자신은 그의 거짓말이 사람들에게 일시적으로는 희망을 주지만 이들이 그 희망이 헛된 것임을 깨닫는 순간 그들의 삶은 전보다 더욱 견디기 어려운 것이 되고 만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우리주변에 그럴싸한 말로 접근하는 인물들이 생각난다. 결정적인 순간에는 "나 몰라"라 하는 무책임한 사기꾼들이..
다. 사기 도박사 사틴
도박사여서 그럴까, 극중 인물 중에서 사틴이 유일하게 이러한 루까의 거짓말에 넘어가지 않은 인물이다. 그의 삶의 태도는 시종일관 변함 없다. 인생을 보는 관점이나 방법에 있어서 루까와는 대조적인 인물이다. 따라서 이 점이 극에서의 주요한 극적 갈등을 이루는 계기가 되고, 이상적인 인생관을 가진 인물로서 고리키가 그리지 않나 싶다.
Ⅳ. 맺으며
『밑바닥(일명:밤 주막)』은 전체적으로 어둡고 무거운 느낌이 든다. 고리키의 작품이어서 그럴까 그의 필명의 뜻처럼 비참하고, 처절하다. 일반적인 문학작품이 희망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밑바닥(일명:밤 주막)』은 너무나 절망적이다. 이것이 "처절미학"일까. 너무나 생소하여 쉽게 말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모습이 진정우리의 모습일 것이다. 다만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모습이기에 생소한 것일 것이다. 하여튼 『밑바닥(일명:밤 주막)』은 너무나도 많은 화두를 제시한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