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보육사업의 기능,역할과 나아가야할 방향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본론
1.보육사업의 개념
2.보육사업의 역사
3.보육사업의 종류 및 기능
1)보육사업의 종류
2)보육사업의 기능
4. 보육시설 종사자의 역할
1)보육시설 종사자의 종류
2)시설장의 역할
3)보육교사의 역할
5.외국의 보육제도
1)영국
2)미국
3)일본
4)프랑스
5)이스라엘
6)스웨덴
6.우리나라 보육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1)보육사업의 현황
2)보육사업의 개선방안

III. 결론

본문내용

보육사업의 개념과 역사를 통해 보육사업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역할을 짚어보고 현 보육사업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며 보육사업에 대한 좀더 폭 넓은 이해를 통해 아동 보육과 복지에 관하여 생각해 보자
Ⅱ.본론
1.보육사업의 개념
보육사업은 종전의 탁아사업을 의미하는데 이는 보호에 중점을 두었지만 영유아보육법에 의한 보유사업은 보호와 교육 모두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영유아보육법에의한 정의
♠ 과거-탁아(託兒)사업->보호에 중점
♠ 현재-영유아보육법에 의한 보육사업->보호, 교육에 중점
(*영유아보호법- “보호자가 근무 또는 질병 기타 사정으로 인하여 보호하기 어려운 영아 및 유아를 심신의 보호와 건전한 교육을 통하여 건강한 사회성원으로 육성함과 아울러 보호자의 경제적.사회적 활동을 원활하게 하여 가정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보육사업이란 종래의 보호적 성격을 벗어나 가정의 사정에 의하여 양육상 결함이 있는 아동을 보충적 역할로 건전한 시민으로 성장케 하는 사회봉사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2.보육사업의 역사
1)1945년 이전
● 일본의 총독부 관할 사업사업분야의 통제역할 –법령적 근거 미비
●1921년 태와 기독교사회관에서 빈민아동의 위한 구제사업의 일환으로 시작,
*1926년 부산공생탁아소와 대구탁아소와 2개 시설이 배치된 것을 계기
* 1939 년에는 전국에 관립 1개소, 공립2개소 등 11개소의 1945..공 .사립 보육시설에서 435명의 어린이가 보육을 받을 것으로 기록(보건복지부 1969)
2) 후생시설운영요령 시기(1945~1960)
● 광복이후 1960년까지는 6.25전쟁을 전후한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로서 정부가 보육사업에 대한 뚜렷한 방침을 세우지 못한 시기
●당시 대량으로 발생한 전쟁고아나 기.미아동 요보호아동에 대한 각종 수용보호시설이 주로 외국인 원조에 의하여 여러 곳에 설치되었으나 이때의 탁아사업은 예방적 기능보다는 사후 처리적이고 구호 적인 복지정책이었다.
●이러한 시설들을 합리적으로 지도할 행적적 필요에 따라 정부에서 1952년 10월 [후생시설 운영요령]을 시달하게 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3.10.15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26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