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전기 지배층의 성격-관료인가 문벌귀족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귀족제설과 관료제설의 대두
1) 귀족제설의 통설화
2) 관료제설의 문제제기

3. 논쟁의 발전과 심화
1) 귀족제설과 관료제설의 개념문제
2) 귀족제설과 관료제설의 논거문제

4. 논쟁의 새로운 전망 - 문벌사회론과 다원사회론

5. 결론

본문내용

5백년 고려사」, 푸른역사
이처럼 박종기의 다원사회론을 통해서 볼 때 고려사회는 벌집구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사회로서, 골품제원리와 성리학 원리로 각각 움직였던 통일신라와 조선사회 같은 일원론적 사회와는 구별되는 특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5. 결론
지금까지 귀족제설과 관료제설의 논쟁과정과 쟁점검토 그리고 최근에 제기된 새로운 연구경향들을 살펴보았다. 귀족제설과 관료제설간의 쟁점으로 우선 개념으로 문제로, (제한적) 신분제 개방성에 근거하여 성장한 관료와 혈연적 계승으로 기득권을 유지한 귀족의 개념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면서 지배층의 성격과 고려 사회변화의 역동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개념을 지지하는 논거문제로서 지배층의 형성과 재생산의 제도적 접근에서 실력본위의 과거제와 혈연본위의 음서제 중 어느 것이 주도적인 고려사회의 관료선발제도로서 기능했는지에 대한 의견이 오갔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고려사회 지배층성격론에 대한 연구내용은 풍부해졌고 그 이해정도가 심화되면서 지배층들이 변화시킨 고려시대 사회상을 그려볼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해주었다.
하지만 귀족제설과 관료제설의 시비과정을 살펴보면서, 두 가지 정도의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로, 귀족제설과 관료제설간의 상호보완적인 측면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기존 논쟁의 추이를 살펴보면 상호보완적 관점보다 우세한 것이 대립적 관점이었다. 과거와 음서와 같이 사실상 상보적인 관계를 가진 논거가 대립적인 논거로 설정되고 진골·양반과 같은 '사실로서의 개념'이 아닌, '가설로서의 개념'인 귀족과 관료의 논쟁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자의 역사인식과 가치판단의 다양성과 상대성을 인정해주지 않고 논리의 우열을 통해 지배계층의 성격을 규정하는 개념은 하나여야 한다는 연구방향은 문제가 있다는 홍승기의 지적
洪承基, 2001, 「고려귀족제사회론 시비논쟁에서 드러난 역사인식론적 문제」, 『震檀學報』, 91
은 주목할 만하다.
요컨대 고려사회의 성격이나 그 지배세력의 성격을 연구하는 데 있어 설정될 수 있는 관점과 논거는 다양할 수 있다는 점과 그 다양함을 단일한 관점으로 절대시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인정할 요소는 인정해주고 상호상보할 사항은 하나의 관점으로 정리해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로, 박종기의 다원사회론과 같은 고려시대의 다양한 사회성격을 드러내줄 수 있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시도가 필요하다. 지난 연구경향이 사회발전동력 주체로서 엘리트사관에 국한되어 지배층성격변화에 따라 고려시대 사회성격을 재단하였다. 하지만 이는 편향된 연구시각이라 지적할 수 있다.
앞으로의 고려사회 성격론 연구는 "지배세력 성격론=고려 사회성격론"이라는 한정된 범주를 깨고 지배층과 피지배층간의 역관계 속에 이루어진 다양한 문화상 속에서 전근대 한국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고려시대사회상을 구현해 가야한다고 본다.
참 고 문 헌
1. 귀족제설과 관료제설의 대두
안확, 1923, 『조선문명사』, 안동서관, p.28
백남운(하일식 역), 1994, 『조선봉건사회경제사』상 , 이론과 실천
손진태, 1954, 「한국민족사개론」 상, 을유문화사
이병도, 1961, 『한국사(중세편)』, 을유문화사
변태섭, 1961, 「고려조의 문반과 무반」『사학연구』 11 ; 1971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이우성, 1962, 「閑人·白丁의 新解釋」, 『역사학보』 19
박창희, 1973, 「고려시대 관료제에 대한 고찰, 『역사학보』58 ; 1984 「한국사의 시각」,『영신문화사』
김의규, 1973, 「고려관인사회의 성격에 관한 시고」 『역사학보』 58
2. 논쟁의 발전과 심화
변태섭, 1961, 「고려조의 문반과 무반」『사학연구』 11 ; 1971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이기백, 1974 「성종대 정치적 지배세력」, 『한국사』4, 국사편찬위원회 ; 1990, 『고려 귀족사회 의 형성』, 일조각
박창희, 1977, 「고려시대 귀족제사회 설에 대한 재검토」, 『백산학보』 23
박용운, 1977, 「고려 가산관료제설과 귀족제설에 대한 검토」, 『사총』 21·22합
김의규, 1971, 「고려조 음서소고」『유공열박사회갑기념논총』,서울대 출판부
허흥식, 1974, 「고려 과거제도의 검토」,『한국사연구』 10
장동익, 1977, 「고려시대의 관료진출」, 『대구사학』 12·13합집
허흥식, 1979, 「고려의 과거와 문벌과의 비교」 ,『한국사연구』 27
______, 1981, 「고려과거제도사연구」, 일조각
박용운, 1982, 「고려시대 음서제의 실제와 그 기능」 ,『한국사연구』 36∼37
김용선, 1982, 「고려시대의 음서제에 대한 재검토」 ,『진단학보』 53∼54
최재석, 1982, 「고려조의 상속제와 친족조직」 ,『동방학지』 31
______, 1983,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노명호, 1983, 「고려시대의 승음혈족과 귀족층의 음서기회」 『김철준박사회갑기념 사학논총』, 지식산업사
박용운, 1990,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연구』, 일지사
김용선, 1991, 『고려음서제도연구』, 일조각
3. 논쟁의 새로운 전망 - 문벌사회론과 다원사회
박종기, 1994, 「고려사회의 역사적 성격」, 『한국사』5, 한길사, 1994
김용선, 1996, 「고려가문의 구성요건과 가계」, 『한국사연구』 93
박종기, 1998, 「민족사에서 차지하는 고려의 위치」, 『역사비평』, 1998년 겨울
유승원, 1997,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아야 할 것인가」. 『역사비평』 36
박용운, 1998, 「고려사회를 귀족사회임을 다시 논함」, 『한국학보』 제93·94집
박종기, 1999, 『5백년 고려사』, 푸른역사
홍승기, 2001, 「고려귀족제사회론 시비논쟁에서 드러난 역사인식론적 문제」, 『진단학보』, 91
4. 기타문헌
김의규, 1987, 「문벌귀족제와 관료제」, 『한국사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정용숙, 1997, 『고려시대사 강의』, 늘함께
김의규, 1985, 『고려사회의 귀족제설과 관료제설』, 지식산업사
박용운, 1998, 『고려시대사』 상, 일지사
박종기, 2002, 「고려사회성격론」, 『한국전근대사의 주요쟁점』, 역사와 비평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