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통화정책의 목표

2. 중앙은행(한국은행)의 통화정책

3.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운영체계
3.1 인플레이션 타게팅
3.2 운용방식

4.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수단
4.1 재할인정책 : 대출정책
4.2 공개시장조작정책
4.3 지급준비정책

5. 통화정책이 경제(물가)에 미치는 영향

6. 실증분석
6.1 통화정책의 소득변화 효과
6.2 신화폐 수량설 모형
6.3 한국경제의 실증분석

본문내용

율의 영향의 크기에 관한 것이다. 화폐수량설을 주장하는 프리드만을 위시한 통화론자들은 화폐수의 이자율에 대한 반응은 케인스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작다고 믿는다. 그 대신 소득이 화폐수요의 주결정 요인이라고 본다. 즉 화폐수요의 결정요인으로서 케인스는 이자율의 역할을 강조한 반면 프리드만은 소득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폐수요함수가 거시경제에 있어서의 다른 어떤 함수관계보다도 안정적인 것으로 보며 화폐수요에 대한 이자율의 영향은 비교적 작고 화폐수요는 무엇보다도 명목소득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으므로 결국 통화량의 변화는 명목소득(산출량)의 변화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이와 같은 결론은 고전학파 화폐수량설의 결론과 대동소이하므로 신화폐수량설이라고 한다. 이렇게 보면 케인스의 화폐수요이론과 프리드만의 화폐수요이론은 이론 자체로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통화량의 변화가 화폐시장에서 무엇을 결정하느냐 하는 점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케인스는 통화량의 변화가 이자율을 결정한다고 본 반면 프리드만은 주로 소득(명목소득)을 결정한다고 보고 있다.
신화폐수량설에 의하면 통화량의 변화가 명목소득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고전적 화폐수량설에서와 같이 통화량의 변화가 물가 또는 명목소득을 비례적으로 변화시킨다고 보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MV=PY에서 V와 Y가 일정하게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적 화폐수량설과 다르다.
6.3 한국경제의 실증분석
그럼 이제 지금부터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의 모형에 준하여 과연 한국경제역사 속에서 통화증가(M)와 소득증가(Y)가 과연 물가상승(P)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고 또, 각부분별 변수들이 물가에 영향을 얼마나 미쳤는지를 실제 데이터(1981년∼2000년: 한국)를 가지고 분석을 하여보자. 분석도구로서는 SPSS와 MINITAB을 사용하였다.
분석모형
p = + 1m - 2y
p : 소비자 물가지수
m: 통화(M2: 총통화)
y: 1인당 국민소득
연도
소비자 물가지수
1인당국민소득:만원
통화(M2):십억
log M2
1
1981
40.29
119
13,714
4.14
2
1982
34.18
135
17,575
4.24
3
1983
44.66
157
21,005
4.32
4
1984
45.67
177
23,261
4.37
5
1985
46.80
194
26,015
4.42
6
1986
48.09
225
30,396
4.48
7
1987
49.55
263
36,119
4.56
8
1988
53.10
312
42,893
4.63
9
1989
56.12
348
50,793
4.71
10
1990
60.93
417
61,576
4.79
11
1991
66.62
500
73,024
4.86
12
1992
70.76
561
86,491
4.94
13
1993
74.16
627
102,578
5.01
14
1994
78.80
723
118,602
5.07
15
1995
82.33
835
136,951
5.14
16
1996
86.39
916
159,190
5.20
17
1997
90.22
981
189,819
5.28
18
1998
97.00
943
225,829
5.35
19
1999
97.79
1,022
288,939
5.46
20
2000
100
1,104
376,190
5.58
분석 DATA
[자료: 한국은행, 통계청 통계분석자료]
6.3.1 기술통계량 분석
종속변수: 물가
설명변수: 총통화, 1인당국민소득
설명변수의 변환:
{최대값} over {최소값}
>10 (또는 50 또는 100)
===> log변환을 취한다. (예: 총통화 --> log총통화)
= 총통화만 log값을 취한다.
6.3.2 산점도 분석
(1) 물가와 소득을 이용한 산점도 분석.
(2) 다음으로 물가와 총통화의 산점도를 분석
① log를 취하기전
② 총통화에 log를 취한후.
6.3.3 상관분석
6.3.4 회귀분석
R2 결정계수는 총변동중 회귀모형에의해 설명되는 비율로 이 값이 클수록 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유의확률은 0.05보다 작으므로 분석의 결과는 유의하다.
MINITAB의 회귀분석결과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equation is
P(물가) = - 24.431 + 0.0422 Y(소득) + 0.139 logM2 (log총통화)
The regression equation is
p = 46.9 +0.000189 m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소비자물가에 대해 소득과 총통화는 상당히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인당 국민소득 1만원의 변화는 소비자물가지수에 0.0422만큼의 작용을 하고 있으며 총통화의 0.01 logM2의 변화는 소비자물가지수에 0.142만큼의 변화작용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총통화의 한단위(10억의 변화는 소비자 물가지수에 0.000189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지난 20년간의 총통화와 1인당 국민소득의 변화는 물가인상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작은 수치이지만 총통화보다는 국민소득이 물가에 좀더 상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국가의 통화정책은 중앙은행으로부터의 통화량조절로 시작된다. 즉, 통화량의 조절이 이자율을 변화시키고, 이자율의 변화는 기업의 투자를 증가시켜 결국 국민소득의 증대를 가져온다[여러 방향으로 영향을 미침, 그러나 결국 국민소득의 증가(경제성장)와 물가상승을 동반함]. 그러므로 통화량의 증가는 국민소득의 증가를 발생시키고 결론적으로 이에 따른 물가상승은 필연적 결과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이번 모형검증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자료)
손정식, "화폐금융론" 법문사, 2000
김종섭, "통계자료분석방법", 학문사 1998.3
노형진·정한열 "한글 SPSS 10.0", 형설출판사
한국은행 통계자료실, http://www.bok.or.kr/
통계청 통계자료, http://www.nso.go.kr/cgi-bin/sws_777pop.cgi?A_REPORT_ID
=MA&A_CONTENTS=0601&A_LANG=1
  • 가격1,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3.12.2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