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지역사회복지의 기능과 활동
1. 지역사회복지활동의 범위
2. 지역사회복지기관의 구분
3. 직접서비스기관의 기능

2.직접 서비스기관-지역사회복지관
1. 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1) 사회복지관의 공통점
2) 사회복지관 사업수행의 특성
3) 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4) 사회복지관 환경의 변화
5) 사회복지관의 기본 방향
2. 사회복지관의 역사
1) 형성기(1906-1944) : 인보관 및 사회관 시기
2) 형성기(1945-1979) : 사회복지관 시기
3) 확대기(1983-현재) : 종합사회복지관 시기
3. 사회복지관의 현황(2002.5)
1) 지역별 사회복지관 현황
2) 지역별·유형별 사회복지관 현황
4. 각국의 사회복지관 비교
1) 공통적 내용
⑴ 기능과 역할
⑵ 서비스 대상
⑶ 서비스 내용
2) 외국 사회복지관과의 차이점
⑴ 기능과 역할
⑵ 서비스 대상 및 내용
⑶ 조직과 인력
⑷ 재정
5. 사회복지관 관련 이슈
1) 주민참여
⑴ 주민참여의 단계(S.R.Arnstein)
⑵ 사회복지관의 주민참여 형태
⑶ 주민참여 실천 방법
2) 민간자원 동원
⑴ 공공자원 지원 현황 및 문제점
⑵ 민간자원의 개발
⑶ 사회마케팅의 개념과 등장배경
⑷ 민간자원 동원 활성화 방안
3) 서비스의 질 강화
⑴ 문제의 제기
⑵ 총체적 품질경영(TQM-total quality management)
⑶ ISO 인증(예 - 두송종합사회복지관)
4) 평가
⑴ 평가의 필요성
⑵ 평가의 문제점
⑶ 개선방안
5) 사회복지사 노동조합 건설
⑴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문제
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노동조건 열악
②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비민주적, 비전문적 운영
③ 재정의 취약성
④ 담당공무원의 비전문성 및 관료적, 권위주의적 태도
⑵ 노동조합 결성의 장해요인
① 복지노동자에 대한 : 윤리성, 전문성, 비생산적 노동
② 사회복지시설의 특성상 제한점
③ 시설법인(장) 및 정부의 반대
⑷ 사회복지노동조합 건설의 필요성
⑸ 노동조합 결성의 방향과 전략
① 노동조합 결성의 방향
② 노동조합 결성 전략

본문내용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문제
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노동조건 열악
㉮ 보수
<표 1> 사회복지사, 간호사, 교사의 대졸 초임호봉 (단위: 원)
직종
간호사(1호봉)
교사(9호봉)
사회복지사(1호봉)
기준
2000년
간호사협회
종합병원
대졸간호사
2000년 공무원
보수지급규정
2000년 서울특별시
사회복지관 보수지급규정
초임호봉
697,000
708,000
695,500
547,000
주: 1) 대졸 2급정교사 초임은 9호봉임. 2) 종합병원은 서울시 종합병원을 의미함.
자료: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01: 59.
<표 2> 사회복지사, 간호사, 교사에 지급되는 수당 비교
직종
간호사
교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수당의 종류
상여수당(기말, 정근, 장기근속), 체력단련비, 자녀학비보조수당, 직책수당, 직무수당, 식비, 교통비, 가족수당, 위험수당, 근속수당, 야근수당, 휴일근무수당
상여수당(기말, 정근, 장기근속), 특수업무수당, 가족수당, 자녀학비보조수당, 시간외근무수당, 휴일근무수당, 관리업무수당, 당직근무수당, 수당외보수(가계보조비, 급양비, 교통비보조, 효도휴가비)
상여수당(기말, 정근), 직무수당, 가계보조수당, 복지수당, 효도휴가비, 체력단련비, 교통비
자료: 보건복지부て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01: 60.
<표 3> 사회복지사, 간호사, 교사, 일반기업체 노동자의 연봉 비교 (단위: 원)
직종
간호사
교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상용근로자 5인이상 사업체 통상임금
간호사협회
종합병원
연봉총액
16,000,000
20,442,000
20,102,500
12,442,500
20,610,000
자료: 보건복지부て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01: 61.
㉯ 근로시간
<표 4>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1주일간 근무시간
구분
빈도(명)
백분율
항 목
44시간 이하
1,948
34.3
45-50시간
1,745
30.7
51-60시간
1,282
22.6
61-90시간
494
8.7
91-168시간
207
3.6
합 계
5,676
100.0
자료: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1: 108.
㉰ 노동강도
<표 6> 사회복지사, 간호사, 교사의 업무량 비교
직종
간호사
중등교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1인당
담당대상인원
법적기준
현황
법적기준
현황
법적기준
현황
입원환자
2.5명
-
없음
20명
없음
58.5명
자료: 보건복지부て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01: 57.
㉱ 잡무부담
- 사회복지시설 : 기사, 노무기사 등 관리인력의 채용률이 낮음
- 전문직으로서의 정체감에 혼란 경험, 사회복지실천 업무에 회의를 느끼게 하는 요인
②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비민주적, 비전문적 운영
㉮ 상위관리직의 비전문성
<표 7>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 이상의 전공현황
전공
사회복지학
종교학
관련학문
기 타

관장
인원(명)
91
39
18
48
196
비율(%)
46.4
19.9
9.2
24.5
100
부장
인원(명)
50
7
12
26
95
비율(%)
52.6
7.4
12.6
27.4
100
과장
인원(명)
185
6
13
35
239
비율(%)
77.4
2.5
5.4
14.7
100
자료: 보건복지부て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01: 56.
㉯ 중간관리자의 전문지식 활용 미흡
- 중간관리자의 조기 이직 및 퇴직 : 승진과 처우의 문제로 인한 결과
- 법인의 족벌화
- 결과 : 전문지식의 축적 저해, 신규직원들에 대한 슈퍼비전 저하, 기관의 전문성 저해
㉰ 시설운영의 비리
-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투명성 부족
- 친인척에 의한 시설운영의 전횡, 비합리적인 인사, 시설생활자의 인권유린, 이중장부 작성을 통한 착복 등 비민주적 운영
- 시설법인(장)과 해당관청의 유착상태
③ 재정의 취약성
<표 8> 사회복지관 수입현황
구분
총액
국고보조
지방비보조
특별지방비 보조
법인부담금
실비이용료
수입
후원금
기타수입
전체평균
260,958
17,328
75,647
16,959
33,311
93,047
15,610
9,059
비율
100
6.6
29.0
6.5
12.8
35.7
6.0
3.4
자료: 보건복지부て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01: 61.
④ 담당공무원의 비전문성 및 관료적, 권위주의적 태도
- 담당공무원의 비전문성 및 관료적, 권위주의적 태도 : 사회복지시설 운영 전문성 저해
⑵ 노동조합 결성의 장해요인
① 복지노동자에 대한 인식: 윤리성, 전문성, 비생산적 노동
㉮ 윤리성
- 사회복지노동은 노동의 대상이 인간이라는 점에서 높은 윤리성이 요구되는 측면
- 사회복지사에 대해 봉사정신이 요구된다는 의식을 잔존시킴
-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들의 생명, 보건, 안전, 자아실현 등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도록 도움을 제공해주어야 함
㉯ 전문성
- 사회복지 종사자들로 하여금 임금노동자라는 인식을 갖도록 하는데 저해요인으로 작용
㉰ 비생산적 노동을 수행
- 사회복지 종사자는 상품의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생산적 노동자와는 다르다는 인식
- 자본.임금노동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인식
② 사회복지시설의 특성상 제한점
㉮ 한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 수가 너무 적다
㉯ 사회복지시설 상하직원간의 가부장적인 인간관계가 잔존하고 있다
㉰ 사회복지관 종사자 인적구성에 여성근로자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 사회복지시설의 업무량이 너무 과중하다는 점이다
③ 시설법인(장) 및 정부의 반대
- 직장폐쇄, 조합원 부당징계, 전출, 해고 등을 통한 반대
- 홀트아동복지시설, 애바다복지관, 남부장애인복지관 등
- 정부의 반대 : 재정적 부담 감소하기 위해
⑷ 사회복지노동조합 건설의 필요성
⑴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종사자의 노동환경 개선
⑵ 복지행정의 비민주성 개혁
⑶ 사회복지대상자의 복지서비스 신장
⑸ 노동조합 결성의 방향과 전략
① 노동조합 결성의 방향
㉮ 조직대상
㉯ 조직형태
- 기업별 연합체조직
- 직종별 연합체조직
- 산업별 단일조직
② 노동조합 결성 전략
㉮ 노동조합 결성추진을 위한 기초조직 구성
㉯ 사회복지 종사자의 의식제고
㉰ 복지대상자 및 시민의 지지를 이끌어낼 사회복지 개혁대안 마련
㉱ 노동단체, 시민단체, 예비사회복지사와의 연대 강화
  • 가격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2.26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