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의 정당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국의 정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총선거에서 다시 승리하여 브라이언 멀로니가 총리에 선출되었고 브라이언 멀로니는 1988년 다시 취임하였다.
1988년 선거는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국민투표의 성격을 띠었는데, 이 협정에 찬성하는 진보보수당이 승리를 거둠으로써 양국은 1989년 이후 10년 동안 관세 및 비관세의 모든 무역장벽을 철폐, 완전한 자유무역을 하게 되었다. 신민주당(新民主黨)은 1961년 8월에 캐나다노동회의와 협동연방당(協同聯邦黨)이 합동한 결과 만들어진 비교적 새로운 정당으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맹하고 있는 사회민주주의 정당이다.
사회신용당(社會信用黨)은 1930년대에 결성된 정당으로 주로 보수적인 농민이나 중간층의 이익을 대표하고 있다. 사회신용당은 1962년 총선거에서 퀘벡주의 프랑스계 주민의 불만에 편승하여 일거에 30석을 획득, 제3당의 지위를 차지하였으나 1963년 당의 분열로 약해져 1979년 선거에서는 6석, 이후 1980, 1984년 선거에서는 의석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2000년 11월 현재 하원 세력분포는 자유당 172석, 개혁당 66석, 퀘벡당 38석, 신민주당 13석, 진보보수당 12석이다.
8.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정당 개념은 흩어져 있는 국민의 관심을 모으게 하여 발전시키는 조직화된 단체이다. 정당은 선거 공약의 보호와 가능성 실현을 위해 연대 결연한다.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정치가였던 토르베커(J. R. Thorbecke)는 자유주의의 아버지로 불린다. 1885년 자유 연합(Liberale Unie)은 여러 자유 선거 조직들을 통합하였다. 자유 연합은 왕가에 대해 회의적이며, 국민의 보호를 우선으로 하였다. 이를 모체로 현재의 자유 민주 연합(VVD:Volkspartij voor Vrijheid en Democratie)이 1948년에 창당되었다.
네덜란드 최초의 기독교 민주 계열 정당은 칼빈 급진 정당(ARP:Anti-Revolutionaire Partij:1878)이었다. 1908년에는 여러 프로테스탄트 연합에 의해 기독교 역사 연합(CHU:Christelijk-historische Unie)이 생겼다. 1897년 로마 카톨릭당이 생겼고, 2차 세계 대전 후 카톨릭 국민당(KVP:Katholieke Volkspartij)으로 개명되었다. 칼빈 급진 정당은 1973년 기독교 쇠퇴에 따른 국민 지지 약화와 유럽 다른 나라의 비기독교 정당에 대항하기 위해 카톨릭 국민당, 기독교 역사 연합과 연립 전선을 세워 기독교 민주 연합(기민당 CDA:Christen-democratisch Appel)을 창당하여 현재 네덜란드의 제1정당이 되었다.
네덜란드는 유럽의 다른 나라에 비하여 사회주의 노동 운동은 늦게 시작되었다. 최초의 사회당은 1881년에 창당된 사회 민주 연합(Social Democratische Bond)이다. 사회 민주 노동당(SDAP:Sociaal-Democratische Arbeidspartij:1894)을 제외한 다른 사회주의 정당들은 1964년 현재의 제2정당인 노동당(PvdA:Partij van de Arbeid)으로 뭉치게 되었다. 드레이스(Dr. W. Drees)는 사회주의 계열로서 1948~1958년까지 수상을 맡았던 주요 인물이다.
1960년대에는 좌익 급진 정당이자 수상의 직접 선거를 주장했던 민주주의자 66당(Democraten 66)이 창당되었다. 전통적인 이데올로기 블록화의 타파를 주장하는 진보적 자유주의자들이 그 구성원이었다.
네덜란드의 가장 오래된 좌익 정당은 1918년 창당된 네덜란드 공산당(CPN:Communistische Partij Nederland)이다. 이와 함께 다른 좌익 정당의 노선에 있는 녹색당(Groen Links)은 좀더 젊은 층의 지지를 얻고 있다. 그 외에도 정통 세력에 반대하여 떨어져 나온 여러 군소 정당이 공존하며 활동하고 있다.
9. 벨기에
벨기에의 정당은 1840년에 성립된 가톨릭당(黨)과 자유당이 반세기에 걸쳐 공립학교제도 등의 문제를 둘러싸고 심한 정쟁(政爭)을 전개하였으나 1884년 가톨릭당이 절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증가하고 있었던 노동자계급을 배후로 1885년 진보적인 노동당이 결성되었다. 1999년 7월 상·하원 정당분포는 상원의 경우 자유진보당(VLD)이 20석, 기독민주당(CVP)이 16석, 사회당(SP)이 16석, 녹색당이 10석을 각각 차지하였고, 하원은 자유진보당이 41석, 기독민주당이 32석, 사회당이 31석, 녹색당이 20석 등을 각각 차지하였다.
10. 스웨덴
20세기 초 스웨덴의 최대 과제는 노르웨이의 분리문제였다. 노르웨이는 국민감정이 덴마크에 가까워 스웨덴과 완전 분리하기를 강력히 요구하였으며, 1905년에는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하였다. 스웨덴 국내에서는 무력저지론도 있었으나 결국은 분리를 승인하였으며, 이 무렵부터 스웨덴의 민주정치는 안정되어 책임내각제가 확립되고 보통선거와 비례대표제도 채택되었다.
또 사회주의운동도 일어났으나 이 나라의 사회주의 정당은 사회의 근본적 변혁보다 사회보장, 농업공동화 등을 목표로 내거는 온건한 것이었으며, 이윽고 최대정당으로 성장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스웨덴은 중립을 지켰으며, 제2차 세계대전 때에도 이웃 국가들이 모두 독일과 소련의 침공을 받은 속에서도 엄정중립을 관철하였다. 1980년대 들어 복지냐 재정재건이냐의 논쟁이 치열해졌고, 1982년 양자택일을 내건 총선에서 복지국가유지(노동기금정책)를 주장한 사회민주노동당이 승리하였다.
사회민주노동당은 공산당의 협력을 얻어 사회당을 결성하고 팔메 정권을 출범시켰다. 그러나 1986년 2월 팔메 총리가 피살됨에 따라 칼손 부총리가 총리직을 승계하였다. 1988년 9월 총선에서도 사회민주노동당-공산당 연합이 재집권하였으나 1991년 10월 총선에서는 사회복지 예산의 감축과 경제활성화를 주장하는 보수당의 승리로 칼 빌트가 총리로 취임하였다. 이로써 비사회주의 연정(聯政)이 출범하였으며, 사회복지예산의 대폭 삭감 및 증세(增稅)를 주내용으로 하는 5년간의 재정계획이 새롭게 시도되었다. 이를 두고 스웨덴식 복지모델의 포기라는 논란이 일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6.1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