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프로이트와 오토 비교 · 분석
A. 프로이트가 본 종교
1. 종교의 기원
2. 종교에 대한 이해
3. 공헌점
4. 비판점
B. 오토가 본 종교
1. 종교에 대한 이해
2. 공헌점
3. 한계점
III. 우리의 상황에서 그들의 종교연구가 주는 의미
IV. 교회사역에의 적용과 그 한계
V. 결론
<참고문헌>
II. 프로이트와 오토 비교 · 분석
A. 프로이트가 본 종교
1. 종교의 기원
2. 종교에 대한 이해
3. 공헌점
4. 비판점
B. 오토가 본 종교
1. 종교에 대한 이해
2. 공헌점
3. 한계점
III. 우리의 상황에서 그들의 종교연구가 주는 의미
IV. 교회사역에의 적용과 그 한계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히려 온전한 내적 체험이 아닌 단순한 감상주의적인 종교로 전락하거나 교리적인 신앙으로 굳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장년층도 중요하지만 주일학교 시절부터 이러한 어려움이 생기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와 노력이 필요하다. 내가 맡고 있는 부서는 영아부·유치부인데 너무 어린 아이들이지만 건강한 신앙을 형성할 수 있는 바탕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들에게 하나님이라는 존재를 초자아적인 하나님이 아니라, 나의 Id속에도, 그림자 가운데도 역사하시고 그런 모습도 나 자신의 한 부분임을 인정하고 사랑하시는 하나님임을 알려주어야 할 것 같다. 그렇다면 하나님도 사랑하신 그 모습을 내가 인정하지 못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 부족하고 잘못되었다면 고치고 바로 잡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지만 무턱대고 덮어놓고 이건 나와 상관없는 것이다 라는 생각은 옳지 않은 것이다. 그런 생각과 사고들이 종교를 하나의 억압적이고 하나님을 저 멀리 계신 우리의 심판자 같은 존재로 느끼게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본다. 건강한 종교, 건강한 신앙생활을 위해 설교를 통해, 관계를 통해 모든 것을 통하여 그림자를 포용할 수 있는 교회 분위기의 정착도 아울러 필요할 듯 하다.
또한, 특유한 체험의 영역, 바로 종교 체험이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요구되어지고 있다. 물론 이러한 체험은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치우치는 감상주의적인 종교도 아니고 영적 탐미주의도 아니다. 진정한 한국교회의 올바른 영성운동이 이루어지고 건강한 신앙생활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편향되지 않도록, 또한 거기에 매몰되지 않고 균형을 잡아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지도가 필요하다. 앞으로 교회에 지도자의 위치에 서게 될 우리들이 더 고민해보아야 할 과제이며 지도자가 되기 전에 우리 자신부터 철저히 점검하는 준비도 필요하다고 본다.
V. 결론
만약 프로이트가 종교에 대해 비판적이라고 하여 무시했다면 그의 사상이 주는 새로운 통찰을 얻지 못하였을 것이다. 물론 그가 종교가 가지고 있는 모성적인 면, 긍정적인 면을 보았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많이 남지만 말이다. 하지만 무신론자 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종교에 대해 이렇게까지 연구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가지고 있는 종교에 대한 남다른 열정이 아니였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오토 역시 영적으로 많이 침체해 있는 한국교회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줌으로 더 성숙하고 건강한 종교 생활을 영위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두 학자 모두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지만 깨달음이 생길수록 해결해야 할 문제는 더 커지는 듯한 느낌이다. 프로이트가 말한, 오토가 말한 것은 사실상 이론에 불과하다. 직접 교회사역에서,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그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더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동반되지 못한다면 여전히 제자리걸음일 뿐이다. 그런데 그 연구와 노력의 몫은 한국교회를 이끌어갈, 지도자의 자리에 서게 될 우리의 것이다. 종교란 무엇일까..? 감히 종교를 과학적으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순 없겠지만 정말 종교가 무엇이며 참 신앙, 참 진리가 무엇인지의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 계속되는 고민과 노력으로 점점 참 진리이신 주님가까이 서게 되길 소망하며 그로 인해 건강하고 성숙한 신앙을 소유하고 균형 잡힌 교회의 성장이 일어날 수 있기를 소망해본다.
<참고문헌>
박찬국, 『에리히 프롬과의 대화』, (철학과 현실사, 2001)
프로이트, 『문명 속의 불만』, (열린 책들, 1998)
최재락,『프로이드의 종교이해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 신학과 선교, 1998년(통권 23집)
Rudolf Otto, 길희성 역,『성스러움의 의미』, (분도출판사,1987)
또한, 특유한 체험의 영역, 바로 종교 체험이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요구되어지고 있다. 물론 이러한 체험은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치우치는 감상주의적인 종교도 아니고 영적 탐미주의도 아니다. 진정한 한국교회의 올바른 영성운동이 이루어지고 건강한 신앙생활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편향되지 않도록, 또한 거기에 매몰되지 않고 균형을 잡아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지도가 필요하다. 앞으로 교회에 지도자의 위치에 서게 될 우리들이 더 고민해보아야 할 과제이며 지도자가 되기 전에 우리 자신부터 철저히 점검하는 준비도 필요하다고 본다.
V. 결론
만약 프로이트가 종교에 대해 비판적이라고 하여 무시했다면 그의 사상이 주는 새로운 통찰을 얻지 못하였을 것이다. 물론 그가 종교가 가지고 있는 모성적인 면, 긍정적인 면을 보았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많이 남지만 말이다. 하지만 무신론자 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종교에 대해 이렇게까지 연구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가지고 있는 종교에 대한 남다른 열정이 아니였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오토 역시 영적으로 많이 침체해 있는 한국교회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줌으로 더 성숙하고 건강한 종교 생활을 영위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두 학자 모두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지만 깨달음이 생길수록 해결해야 할 문제는 더 커지는 듯한 느낌이다. 프로이트가 말한, 오토가 말한 것은 사실상 이론에 불과하다. 직접 교회사역에서,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그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더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동반되지 못한다면 여전히 제자리걸음일 뿐이다. 그런데 그 연구와 노력의 몫은 한국교회를 이끌어갈, 지도자의 자리에 서게 될 우리의 것이다. 종교란 무엇일까..? 감히 종교를 과학적으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순 없겠지만 정말 종교가 무엇이며 참 신앙, 참 진리가 무엇인지의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 계속되는 고민과 노력으로 점점 참 진리이신 주님가까이 서게 되길 소망하며 그로 인해 건강하고 성숙한 신앙을 소유하고 균형 잡힌 교회의 성장이 일어날 수 있기를 소망해본다.
<참고문헌>
박찬국, 『에리히 프롬과의 대화』, (철학과 현실사, 2001)
프로이트, 『문명 속의 불만』, (열린 책들, 1998)
최재락,『프로이드의 종교이해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 신학과 선교, 1998년(통권 23집)
Rudolf Otto, 길희성 역,『성스러움의 의미』, (분도출판사,1987)
키워드
추천자료
- 프로이드와 발레작품에 나타나는 심리분석
- 프로이드 에릭슨 비교
- 정신분석치료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 성격특성이론과 정신분석적 접근의 차이성 고찰
- 프로이드 정신분석
- [정신건강A]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 - 심리성적 발달단계, 정신분석...
- 성격이론들을 비교 설명 - 참고문헌 포함
- 정신분석과_기독교상담
- 정신건강1공통) 성격이론 3가지를 비교하여 설명, 성격측정 검사 3가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 ...
- 성격이론 비교
- 방통대 과제 - 유아발달(발달이론 피아제 비고츠키) 발달의 이론적 배경을 3가지 이상을 설명...
- [현대인의 정신건강과제] 정신분석이론과 행동분석이론에 대해 조사·정리하고, 각 이론의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