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리주의 비평의 개념과 특성
2. 심리주의 비평의 전개
3. 심리주의 비평의 영역
3.1 고전심리주의 비평
3.2 신심리주의 비평
4. 심리주의 비평의 이론적 근거로서의 프로이트
2. 심리주의 비평의 전개
3. 심리주의 비평의 영역
3.1 고전심리주의 비평
3.2 신심리주의 비평
4. 심리주의 비평의 이론적 근거로서의 프로이트
본문내용
언어가 가진 힘 때문이라는 사실을 현대문학 비평가들에게 새로운 형태로 주지시켰다. 즉, 라깡의 정신분석학적 비평은 고전적인 정신분석비평이 작가, 독자, 텍스트의 상호관계를 중시한 태도를 넘어서서 여기에 언어의 의미와 역할을 다양한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정신분석학적 독법으로서 문학 텍스트의 이해와 문학연구에 공헌했다고 할 수 있다.
4. 심리주의 비평의 이론적 근거로서의 프로이트
프로이트에 의하면 모든 인간정신의 에너지의 원천은 무의식 속에 있다. 무의식은 정상적인 정신작용으로는 이해될 수 없는 힘과 방식으로 모든 인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인간정신은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라는 삼대활동을 가진다. 이드는 전적으로 무의식적 영역에 속하고 자아와 초자아만이 부분적으로 의식의 정신 영역에 놓이게 된다. 이드는 리비도의 저장소이며 모든 정신에너지의 원천이다. 그것은 쾌락원칙에 따라 본능적인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일하며 사회적 질서나 도덕과 같은 가치개념과는 상관없이 움직이는 힘을 가지고 있다. 사회와 개인을 위해서 이드를 통제하는 또 다른 정신적인 힘이 요구된다. 이드를 제어하는 정신적인 힘이 자아이다. 이는 현실원칙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서 이드의 요구와 초자아의 요구 사이에서 중재역을 하게 된다. 초자아는 주로 사회를 보호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는데 사회적 압력을 이드에게 가하는 내적인 검열관인 셈이며 이것은 도덕원칙에 의해 지배받는다. 초자아의 도덕적 기준은 부모를 통해 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는데 자칫 이드와 마찬가지로 현실감각을 상실하고 비합리적인 행동을 유발 시킬 수 있다. 프로이트의 문학에 대한 기여는 어떠한 특정의 방법론에 근거해 있다기 보다는 인간정신에 대한 전체적 이해에 근거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시를 인간의 정신적 구조 자체에 고유한 것으로 만들었다. 프로이트만이 과학적 시대에 있어서도 여전히 우리는 비유적으로 느끼고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정신분석학, 즉 비유의 이론, 은유와 그 변형인 제유나 환유의 이론을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것이다.
------------------------------------------------------------
參考文獻
1. 이선영,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삼지원, 1983
2. 장갑상, 『영문학 비평과 심리학』,민음사, 1979
3. 장백일, 『문학비평론』,인문당, 1981
4. 심리주의 비평의 이론적 근거로서의 프로이트
프로이트에 의하면 모든 인간정신의 에너지의 원천은 무의식 속에 있다. 무의식은 정상적인 정신작용으로는 이해될 수 없는 힘과 방식으로 모든 인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인간정신은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라는 삼대활동을 가진다. 이드는 전적으로 무의식적 영역에 속하고 자아와 초자아만이 부분적으로 의식의 정신 영역에 놓이게 된다. 이드는 리비도의 저장소이며 모든 정신에너지의 원천이다. 그것은 쾌락원칙에 따라 본능적인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일하며 사회적 질서나 도덕과 같은 가치개념과는 상관없이 움직이는 힘을 가지고 있다. 사회와 개인을 위해서 이드를 통제하는 또 다른 정신적인 힘이 요구된다. 이드를 제어하는 정신적인 힘이 자아이다. 이는 현실원칙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서 이드의 요구와 초자아의 요구 사이에서 중재역을 하게 된다. 초자아는 주로 사회를 보호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는데 사회적 압력을 이드에게 가하는 내적인 검열관인 셈이며 이것은 도덕원칙에 의해 지배받는다. 초자아의 도덕적 기준은 부모를 통해 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는데 자칫 이드와 마찬가지로 현실감각을 상실하고 비합리적인 행동을 유발 시킬 수 있다. 프로이트의 문학에 대한 기여는 어떠한 특정의 방법론에 근거해 있다기 보다는 인간정신에 대한 전체적 이해에 근거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시를 인간의 정신적 구조 자체에 고유한 것으로 만들었다. 프로이트만이 과학적 시대에 있어서도 여전히 우리는 비유적으로 느끼고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정신분석학, 즉 비유의 이론, 은유와 그 변형인 제유나 환유의 이론을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것이다.
------------------------------------------------------------
參考文獻
1. 이선영,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삼지원, 1983
2. 장갑상, 『영문학 비평과 심리학』,민음사, 1979
3. 장백일, 『문학비평론』,인문당, 198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