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을 통해 본 성격심리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Ⅰ-Ⅰ. 연구 주제
Ⅰ-Ⅱ. 연구주제의 선정 동기
Ⅰ-Ⅲ. 연구주제의 심리학적 문제와의 관련성
Ⅰ-Ⅳ. 의의

Ⅱ. 본론
Ⅰ. 기존의 혈액형에 따른 분류법.
Ⅱ. 혈액형에 따른 성격분류의 타당성의 검증

Ⅲ. 결론

본문내용

Ⅰ-Ⅰ. 연구 주제

사람들은 혈액형을 통하여 자신 및 타인의 성격을 구분하고 이에 의하여 타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갖고 평가하기도 한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하여 혈액형에 따른 성격 분류 현상이 ‘바넘효과(Banurm effect)’ 때문인지 아니면 실제로 혈액형 분류를 통한 성격 유형이 과학적인 타당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Ⅰ-Ⅱ. 연구주제의 선정 동기

인터넷의 검색란에 심리, 혈액형이라고 치면 무수한 사이트와 웹문서들이 나온다. 이것은 인터넷이나 잡지, 신문 등에 기재되는 소위 심리테스트, 별자리운세, 혈액형 성격분류 등이 얼마나 확산되어 이용되고 있는지를 시사해주고 있다. “네이버”에서 검색해 본 바, “사랑할 때 알아야 할 것들1)”이라는 카페는 혈액형과 별자리를 중심화두로 하는 모임으로 올해 2월 9일에 개설되어 지금은 약 18814명의 회원이 가입한 상태였다. 불과 5개월 사이에 회원수가 약 2만 명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혈액형에 대한 관심은 조원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조원들 대부분은 혈액형에 따른 성격분류를 믿는 경향이 있었으며, 주위의 다른 사람들 역시 혈액형에 의한 성격분류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에 공감을 하였다. “혈액형에 따른 성격 분류는 정말로 타당성이 있으며 신뢰할 만한가?” 만약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다면 “혈액형에 따른 성격구분은 어떠한 근거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일까?" 그리고 타당도와 신뢰성이 떨어진다면 "사람들은 어떠한 이유에서 타당성이 없는 혈액형의 분류법을 신봉하고 있을까?”라는 물음을 던지면서 혈액형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을 멈출 수 없었다. 때문에 우리는 “혈액형 분류법이 과연 과학적 타당성2)이 있을까?”라는 물음을 설문지 방법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결정했다.

Ⅰ-Ⅲ. 연구주제의 심리학적 문제와의 관련성

주제에서 언급했다시피 혈액형 분류는 인간의 성격특성을 나타내는 데 쓰이고 있으며 이는 흡사 성격심리학과 그 맥을 같이하는 듯 보인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은 이 혈액형에 따라 정의된 성격특성이나 행동양식 등을 믿고 있으며 하나의 심리학 분야로서 받아들이고 있다. 설사 혈액형에 의한 성격 구분이 타당성이 없다 하여도 혈액형에 따른 성격 구분은 심리학적 용어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바로 바넘효과3), 콜드리딩(Cold reading)4), 조직에 의한 강화(Communal reinforcement)5), 그리고 선택적 사고(Selective thinking)6)등이 그것이다.

Ⅰ-Ⅳ. 의의

우리가 하려는 바는 아직도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그러나 과학적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은 ‘혈액형 분류법’에 대한 실제적 검증이다. 우리는 혈액형에 따른 성격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해 보는 것을 넘어가 그 결과를 통하여 현상의 원인을 알아보고자한다. 즉, 혈액형에 따른 성격 분류가 타당도가 있다면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타당도가 높게 나오는지를 밝혀낼 것이다. 그러나 만약 혈액형에 따른 성격 분류가 타당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그 원인을 밝혀낼 것이다. 왜냐하면 혈액형에 따른 성격 분류가 단순히 흥밋거리로서 이용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앞에서도 밝혔듯이 아직도 거기에 엄청난 의미를 부여하고 인생의 주요 결정을 그것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많고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행심을 조장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심리학도로서 이러한 잘못된 믿음이 만들어지고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간과할 수 없다. 그래서 혈액형 분류학이 과학적 타당성을 확인해 보겠다.

키워드

혈액형,   심리,   연구,   성격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4.08.12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63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