횐경친화 주거단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횐경친화 주거단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까지 안전한 생태적 공간이 되어야 한다. 단지내에 조성가능한 비오톱의 종류는 잠자리 연못, 어류연못, Birb Bath, 인공산, 습지, 하천, 토양, 음수대, 다공질공간 등의 다양한 유형이 있다.
47. 각 단지별로 생물지속성 지표종(깃대종)을 설정하고, 이들이 서식가능한 환경을 조성한다.
단지별로 가장 선호되는 생물지속성 지표를 설정하여 이들 생물이 생존할 수 있도록 서식처 및 주변환경을 개선한다. 생물지속성 지표종(깃대종)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정주지 개발노력은 주민들이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자발적인 참여와 노력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조류에는 까치, 포유류에는 다람쥐, 양서·파충류에는 개구리, 곤충류에는 잠자리 등이 가장 선호도가 높은 생물종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곤충류의 잠자리가 단지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면 서식처로서 연못이 있는 잠자리 비오톱과 잠자리 먹이사슬이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48. 조류 및 소동물의 서식처와 먹이와 수분을 위해 식이수종, 은신처가 될 수 있도록 식재와 음수대를 설치한다.
단지내 생물들이 서식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먹이와 수분, 은신처의 환경을 조성한다.
(4) 토양자원이용
49. 토양의 표토를 최대한 보전하여 단지 생태계 회복을 도모한다.
정주지에서의 토양은 고층·고밀화 되어가는 주거지의 접지성 추구나 양호한 생육환경을 위한 비옥도, 빗물을 자연적으로 흡수하는 투수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하며 건폐되거나 포장되지 않은 나대지의 토양으로 가치가 있다. 따라서 개발시 발생하는 표토는 미생물들이 서식과 양호한 식물생장을 위한 비옥한 토양의 보전을 위해 최대한 보전하여 단지 생태계 회복을 도모한다.
50. 오염된 토양을 개량하고 토양비옥도를 증진시킨다.
점차 산성비나 농약 등의 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되는 토양을 관리하거나 식물 및 미생물생육에 적합하도록 개량하여 토양비옥도를 증진시킨다.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계획원리 수립 및 계획목표 설정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개발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계획요소 및 계획원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도출하였다. 먼저 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약 80여개의 계획원리를 도출하였다(해외 사례분석 대상지는 아래 참고).
이를 기초로 기 수행 연구 결과 중 전통 정주지에서 도출된 약 20여개의 계획원리와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 모델 등의 관련 연구결과에서 도출되는 약 80여개의 계획원리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주택연구소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과 토론에 의해 최종적으로 80여개의 지속가능한 정주지 계획원리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된 80여개의 계획원리는 전문가 설문조사와 인터뷰 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최종 중요 계획원리로 정리되었다.
* 해외사례 분석 대상지
: Ecolonia(Netherland), Fredensgade in Kolding(Denmark), Egebjerggard(Denmark), Auf dem Schafbruhl in Tubingen(Germany), kosiedlung in Kiel-Hassee(Germany), Setagaya-ku Fukasawa(Japan)
1) 대한주택공사에서 본 연구진들이 수행해 온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모델개발연구 (1996)"과 본 연구의 1.2차년도 연구결과인 "지속가능성 정주지 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 연구(I.II)(1997.1998)"의 연구에서 정리된 결과이다.
(1) 토지이용 및 교통부분의 계획원리 및 계획목표
. 기존 자연자원을 보존할 수 있도록 적정 밀도로 개발한다.
. 중심지로의 접근성을 높여 차량수요를 최소화한다.
. 환경오염저감 및 에너지절약을 위하여 주거지 내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도로 네트워크를 조성한다.
. 생태자원의 보호를 위하여 자연지형 및 자원을 최대한 보존한다.
. 에너지 소비 및 공해발생이 적은 공공교통에의 접근성을 높인다.
. 단지간 구획도로의 폭은 최소화하여 보행친화적인 환경으로 조성한다.
. 정보통신망 구축으로 각종 정보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계획목표 ▶
주거단지를 적정밀도로 계획
보행자 및 자전거전용도로 네트워크 조성
대중교통체계 확립 및 접근성 제고
정보인프라 구축
중심지로의 접근성 제고
기존 지형 보존 및 복원
보행친화적 환경조성
(2) 에너지 및 자원부분의 계획원리 및 계획목표
. 단지 내 에너지소비량을 최소화하여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최소화한다.
. 환경오염을 저감하고 자원 및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자연에너지(태양, 풍력, 지열 등)을 적극 이용한다.
. 에너지 효율이 높은 난방시스템을 계획한다.
. 주택 건설시 에너지 절약형 설비기기 사용을 의무화한다.
. 수자원 절약을 위하여 우수재활용, 중수이용시설을 계획한다.
. 적극적인 우수침투를 고려하여 투수성 포장면적을 확대한다.
. 생활쓰레기의 재활용을 위하여 퇴비화장치 및 컴포스터를 설치한다.
. 건설폐기물 발생의 최소화를 위하여 재활용을 확대한다.
계획목표 ▶
온실가스 배출저감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순환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에너지 및 자원절약을 위한 난방방식
생활쓰레기 재활용
(3) 생태환경부분의 계획원리 및 계획목표
. 단지 내 녹지공간의 면적을 최대한 확충한다.
. 단지 내 생물서식공간(육상, 수상비오톱)을 적극적으로 조성한다.
. 생물서식공간으로의 접근성을 도모한다.
. 실개천, 녹도, 보행자전용도로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그린네트워크를 조성한다.
. 단지 외부 생태와의 연결을 위해 에코코리더를 조성한다.
계획목표 ▶
녹지공간면적 확충
생태자원으로의 접근성 제고
생물서식지 조성
그린네트워크 및 에코코리더 조성
(4) 실내환경부분의 계획원리 및 계획목표
. 태양에너지를 적극 활용하는 에너지절약형 주동배치를 한다.
. 건강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하여 유해 건축재료의 사용을 억제한다.
. 자연친화적인 실내환경을 조성한다.
. 거주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평면계획을 한다.계획목표 ▶
실내 에너지소비 저감
실내 녹지공간 조성
유해물질 사용억제
거주자 요구수용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1.14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