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물리 실험 고체의 선 팽창계수 측정 결과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 물리 실험 고체의 선 팽창계수 측정 결과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data 및 결과

3. 결론 및 토의

본문내용


각 회 측정 값
측정 평균값
기존 실험값
오차
알루미늄(Al)
1회
27.86
25.02
24
4.3(%)
2회
22.14
구리(Cu)
1회
21.43
19.23
17
13.1(%)
2회
17.50
철(Fe)
1회
14.64
15.00
12
25.0(%)
2회
15.36
결론 및 토의
이번 실험에서 가장 중점을 둔 것은 정확한 측정이었다.
지난번 실험에서 측정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큰 오차가 나와서 이번 실험에서는 최소한의 오차를 만들고자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역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알루미늄과 구리는 상대오차 범위인 20%안에 들어왔다.
그러나 철 같은 경우 아쉽게도 상대오차 범위에서 약 5%가 멀어진 결과가 나왔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아무래도 물체의 온도 측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물체의 길이가 약 700mm 정도 인데 수증기가 물체를 통과할 때 물체의 전도율에 따라서 온도계가 설치되어 있는 곳 까지 온도 전달이 다르기 때문이다. 마이크로미터 측정기는 수증기가 들어오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온도계는 약 350mm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증기가 들어올 때 온도계가 움직이지도 않는데 마이크로미터 측정기가 먼저 움직이는 것을 목격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온도에 의한 열전도의 오차까지 포함 시켜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찾아본다면 수증기의 유입이 아닌 뜨거운 물이 물체에 들어 왔다는 것이다. 수증기보다 액체의 열용량은 약 1000배에 가깝다. 그래서 수증기 노즐과 바로 접해있는 물체의 부분에 수증기가 아닌 뜨거운 물이 들어갈 경우 급격한 물체의 온도 변화가 예상된다 그리고 그 부분에 마이크로미터 측정기가 설치 되어있기 때문에 그 효과는 엄청 크게 나타난다. 앞에서 언급했던 온도계보다 마이크로 미터기가 먼저 움직이는 또 다른 이유가 될 것이다.
그리고 오차와는 별 상관이 없는 이야기인데 교수님께서 냉각시만 하지 말고 가열시 에서도 한 번 해보라고 제안 하셨을 때 과연 할 수 있을까 상당히 난감해 했었다. 왜냐면 온도가 너무도 급격하게 올라가기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측정기를 제대로 볼 수 없을뿐더러 온도의 변화도 측정이 용이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결과 및 토의에서 보았듯이 만약 수증기만 물체에 공급하면서 조절을 잘한다면 가열시 에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같다. 만약 이 실험이 한 번 더 주어진다면 가열시 에도 측정해보고 싶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0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