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가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가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초가란 무엇인가?

2. 초가집의 재료

3. 지붕의 이용

4. 지붕의 형태

5. 초가의 종류

6. 초가집의 기본요소

7. 초가집의 구조방식

8. 초가집의 역사

9. 지방별 초가집 특징

본문내용

대청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③ 중부지방
중부 지방의 초가는 주로 ㄱ자형과 ㄴ자형, ㅁ자형의 구조가 많다. 일부지역에 있어서는 一자형도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 산간 지방에서는 田자형 주거도 가끔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주거의 평면 형태는 기후적으로 북부와 남부의 중간 지역에 해당함으로 양 지역의 평면형태가 절충된 형태로 지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중부형 초가는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도 일부 지역이 중부형에 속한다. 중 지방형은 특히 개성을 줌심으로 한 황해도와 경기도 충청도 일부의 중부 지방에 분포된 것으로 평안지방형에 대청과 방이 ㄱ자로 붙은 것이 다르다. 중부 지방형에는 부엌과 안방이 남행이 됨으로써 일조, 일사에 유리하다. 서울 지방에서는 중부 지방형처럼 ㄱ자형으로 생겼으나 부엌이 꺽인 부분에 오고 대청과 건너방이 앞쪽에 나오게 된다. 방위상 대부분 부엌이 동서로 면하게 되어 중부 지방형에서 남향에 면하던 바와는 다르다.
④ 서부지방
서부지방은 전라남북도 지방과 충청도 일부지방으로서 남부지방 一자형 3칸 초가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서부 해안 지방의 간잡이는 네 칸 또는 다섯 칸잡이 집이 많이 지어졌다. 네칸 집의 평면은 집 중앙에 주로 마루방을 두고 양쪽에 건너 방과 큰방을 두는 형식인데 이때 부엌은 왼편 머리 칸에 두고 머릿퇴를 달아 모방이나 정지방을 만들어 사용한 집도 있다. 그리고 툇마루로 된 다섯 칸잡이 집에서는 주로 부엌을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큰방과 건너방을 두었으며, 지붕의 줄매기는 서해안 지방에서 가끔 볼 수 있는 마름모 매기의 기법과 일자매기를 주로 했다.
⑤ 제주지방
제주도는 특이한 기후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 섬으로서 주택의 평면 형태는 남부나 서부 지방의 형태와 비슷한 -자형과 북부 지방의 田자형 초가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제주도 지방형은 중앙에 대청인 상방을 두고 좌우에 자녀들 방인 작은 구들과 부모의 방인 큰 구들을 두고 큰 구들 북쪽에 고광을 두어 물품을 보관한다.
부엌인 정지는 일반적으로 작은 구들 앞쪽에 두는데 취사용 아궁이가 바로 연결되지 않은 것은 기후적 배려임을 알 수 있다. 상방과 큰 구들 앞에는 낭간이라는 툇마루가 붙어 있다.
그리고 따뜻한 지방이면서도 폐쇄적인 공간 구성의 평면 형태가 엿보이지만 각방의 출입문은 대청(삼방)에서 각각 연결되고 있는 것이 타 지방과 비교되는 점이며, 일부 방에는 온돌이 되어 있지 않는 것이 특색이다. 이는 부엌에 부뚜막 시설이 되어있지 않고 밥짓기와 난방 시설이 구분되어 밥짓는 솥은 독립된 돌(화덕)위에 걸쳐 굴뚝 없이 바로 불을 지펴 밥을 짓도록 함으로서 구들과 전혀 상관없이 시설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붕의 재료는 주로 억새풀의 일종인 새풀로 지붕을 이었으며 강한 해풍을 막기 위해 지붕의 일자매기를 육지보다 촘촘히 매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책제목
출판사
한국의 전통 초가
재원출판사
우리건축 틈으로 본다
대한교과서
2000년대에는 황토 집에서 건강하게 삽시다
자작나무
우리 옛집 이야기
연화당
내 손으로 짓는 황토집
컬쳐라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2.07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4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