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습 순서
2. 학습 방법(방향)
♥ 참고자료
2. 학습 방법(방향)
♥ 참고자료
본문내용
달린 호랑이, 강아지, 고양이, 까치 등을 그린 것을 말한다.
라. 초충도 : 풀이나 벌레의 다양한 종류를 그리며, 조선시대 신사임당의 작품이 남아 있다.
마. 풍속화 : 그 시대의 생활 모습을 재치있고 해학적으로 꾸민 것을 말한다.
바. 기명 절지화 : 그릇, 나뭇가지 등을 그리며, 책거리 그림이 있다.
사. 어해화 : 물고기, 게 등을 그린 것을 말한다.
아. 초상화 : 특정 인물의 외모와 성격을 나타낸다.
5. 수묵화의 재료
가. 붓 : 양모로 된 것이 많고, 끝이 모아지며 탄력이 있어야 한다.
나. 먹 : 입자가 곱게 가리고 윤기가 있으며 향이 좋은 것이어야 한다.
다. 종이 : 화선지처럼 먹을 오래 머금고 있는 부드러운 것이 좋다.
라. 벼루 : 자체에 수분을 가지고 있어야 먹을 갈면 빨리 마르지 않는다.
여기서 문방사우라 함은 붓, 먹, 벼루, 종이를 말한다.
6. 여백과 낙관
여백이란 그려진 대상 이외에 화면의 조화를 생각하여 의도적으로 남겨진 공간을 말한다.
전통 회화에서는 여백의 여운을 통해 무한한 깊이와 공간감을 나타낸다.
낙관은 전통 회화나 서예에 작가가 완성했다고 인정하는 신뢰와 증명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스스로 호나 이름을 쓰고 도장을 찍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서예는 글씨가 끝난 곳에, 전통 회화에서는 화면 여백의 알맞은 곳에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낙관은 여백과 함께 화면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7. 수묵화의 표현 기법
가. 구륵법과 몰골법
대상의 윤곽선을 그리고 그 안에 먹이나 물감을 칠하는 구륵법과 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물체의 형태를 파악하여 먹이나 채색으로 한 붓에 그리는 몰골법이 있다.
[ 좌 : 구륵법 우 : 몰골법 ]
나. 파묵법과 발묵법
파묵법은 먹을 깨뜨린다는 뜻으로 먹이 마르지 않은 축축한 상태에서 겹쳐 그리며 먹의 농담을 이용하여 대상의 입체감을 나타낸다.
발묵법은 먹물을 종이 속에 침투시켜 자연스럽게 번지는 효과를 이용하여 기운을 느끼게 한다.
[ 좌 : 파묵법 우 : 발묵법 ]
♠ 여백(餘白)
그림에서 묘사된 대상 이외의 부분. 특히 동양화에는 옛날부터 여백은 편재되 있는 기(氣) 의 표상으로 여겨졌다. 중국의 초기(10세기) 산수화가들은 '산수(山水)의 기상(氣象)'을 묘사 하고자 여백을 두었다 . 여백은 광(光)과 기(氣)를 의미한다. 북송의 사대부들이 시화일치론(詩畵一致論)을 제창하 였는데 그림 가운데 여백은 시정과 여운을 양성하는 유효한 수단이다. 남송의 마 위앤(馬遠), 시아 꾸에이(夏珪)는 이를 과장하여 '변각경'에 의한 화면의 주요 부 분을 공백으로 처리하여 정형화했다. 여백으로 광대한 공간을 암시하는 수법은 송. 원 시대 의 선종 화가들에게 종교 이념을 표명하는 것으로 구체화됐고 명대의 절파 화풍으로 계승되 었다. 여백은 감필과 병행되어 표현을 억제하는 데 의의를 두며 많은 걸작을 만들어냈다. 또한 묵 죽, 화조화, 인물화에서 여백은 대상의 포치에 대한 구성상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여백은 종종 장식적. 조형적 효과를 내기위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라. 초충도 : 풀이나 벌레의 다양한 종류를 그리며, 조선시대 신사임당의 작품이 남아 있다.
마. 풍속화 : 그 시대의 생활 모습을 재치있고 해학적으로 꾸민 것을 말한다.
바. 기명 절지화 : 그릇, 나뭇가지 등을 그리며, 책거리 그림이 있다.
사. 어해화 : 물고기, 게 등을 그린 것을 말한다.
아. 초상화 : 특정 인물의 외모와 성격을 나타낸다.
5. 수묵화의 재료
가. 붓 : 양모로 된 것이 많고, 끝이 모아지며 탄력이 있어야 한다.
나. 먹 : 입자가 곱게 가리고 윤기가 있으며 향이 좋은 것이어야 한다.
다. 종이 : 화선지처럼 먹을 오래 머금고 있는 부드러운 것이 좋다.
라. 벼루 : 자체에 수분을 가지고 있어야 먹을 갈면 빨리 마르지 않는다.
여기서 문방사우라 함은 붓, 먹, 벼루, 종이를 말한다.
6. 여백과 낙관
여백이란 그려진 대상 이외에 화면의 조화를 생각하여 의도적으로 남겨진 공간을 말한다.
전통 회화에서는 여백의 여운을 통해 무한한 깊이와 공간감을 나타낸다.
낙관은 전통 회화나 서예에 작가가 완성했다고 인정하는 신뢰와 증명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스스로 호나 이름을 쓰고 도장을 찍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서예는 글씨가 끝난 곳에, 전통 회화에서는 화면 여백의 알맞은 곳에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낙관은 여백과 함께 화면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7. 수묵화의 표현 기법
가. 구륵법과 몰골법
대상의 윤곽선을 그리고 그 안에 먹이나 물감을 칠하는 구륵법과 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물체의 형태를 파악하여 먹이나 채색으로 한 붓에 그리는 몰골법이 있다.
[ 좌 : 구륵법 우 : 몰골법 ]
나. 파묵법과 발묵법
파묵법은 먹을 깨뜨린다는 뜻으로 먹이 마르지 않은 축축한 상태에서 겹쳐 그리며 먹의 농담을 이용하여 대상의 입체감을 나타낸다.
발묵법은 먹물을 종이 속에 침투시켜 자연스럽게 번지는 효과를 이용하여 기운을 느끼게 한다.
[ 좌 : 파묵법 우 : 발묵법 ]
♠ 여백(餘白)
그림에서 묘사된 대상 이외의 부분. 특히 동양화에는 옛날부터 여백은 편재되 있는 기(氣) 의 표상으로 여겨졌다. 중국의 초기(10세기) 산수화가들은 '산수(山水)의 기상(氣象)'을 묘사 하고자 여백을 두었다 . 여백은 광(光)과 기(氣)를 의미한다. 북송의 사대부들이 시화일치론(詩畵一致論)을 제창하 였는데 그림 가운데 여백은 시정과 여운을 양성하는 유효한 수단이다. 남송의 마 위앤(馬遠), 시아 꾸에이(夏珪)는 이를 과장하여 '변각경'에 의한 화면의 주요 부 분을 공백으로 처리하여 정형화했다. 여백으로 광대한 공간을 암시하는 수법은 송. 원 시대 의 선종 화가들에게 종교 이념을 표명하는 것으로 구체화됐고 명대의 절파 화풍으로 계승되 었다. 여백은 감필과 병행되어 표현을 억제하는 데 의의를 두며 많은 걸작을 만들어냈다. 또한 묵 죽, 화조화, 인물화에서 여백은 대상의 포치에 대한 구성상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여백은 종종 장식적. 조형적 효과를 내기위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키워드
추천자료
- 체육과(체육교육) 교육과정개정중점과 목표,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내용, 초등학교 체육...
- 수산 해운계(수해양계) 고등학교의 교과성격과 교과목표, 수산 해운계(수해양계) 고등학교의 ...
-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정의와 특징,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선...
- [초등체육]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교수학습자료,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교수학습방...
-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 도덕성개념,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 교육과정변천, 초등학교 ...
-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의미와 성격,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선택중심교육과정, 공업계 고등...
- [마인드맵][마인드맵 법칙][마인드맵 전략]마인드맵의 정의, 마인드맵의 필요성, 마인드맵의 ...
-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 특성과 목표,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 실태와 내용, 국어과(...
- 미술과(미술과학습, 미술교육)의 특성과 목적, 미술과(미술과학습, 미술교육)의 교육 중점, ...
- 체육과(체육학습, 체육교육)의 의의와 성격, 체육과(체육학습, 체육교육)의 목적과 가치, 체...
- [기술가정과]기술가정과의 특징, 기술가정과의 목표, 기술가정과의 기본방향, 기술가정과의 ...
-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성격과 내용,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지도상유의점, 미...
- 미술과(미술교육, 미술학습)의 성격과 기능, 미술과(미술교육, 미술학습)의 내용구성, 미술과...
-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 특성과 목표,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 내용, 미술과(미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