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주의당 선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산주의당 선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공산주의당 선언」의 주요 내용
3. 「공산주의당 선언」의 문제들
4.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오류성'을 수정하는 중요한 이론적 기초가 될 수 있으며, 이탈리아의 '잉그리오 좌파'와 '마니페스토 그룹', 계속해서 개최되고 있는 세계사회포럼과 같이 새로운 연대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⑶ 마지막으로 제기할 수 있는 문제는 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의 관련성이다. 그는 『공산당 선언』에서 부인 공유제와 부르주아 사회의 매춘 등을 거론하면서 여성에 대한 억압이 사적 소유에서 기반하고 있다고 암시한다. 즉 생산도구로서의 여성의 지위를 폐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부르주아의 가족은 자본의 소멸과 함께 소멸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현실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과 중국에서 부르주아적 가족 형태는 계속 유지되었고, 가족 내에서 여성에 대한 노동 착취 역시 존재해왔다. 또한 여성이 가지고 있는 성욕과 재생산 능력에 대한 끊임없는 통제는 전체 역사를 통해 계속해서 이루어졌다.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트에게는 가족이 없다고 선언하였으나, 실제로 프롤레타리아트 역시 부르주아의 가족모델을 추구하였고, 이를 통해 여성에 대한 억압을 재생산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자본주의 생산관계의 문제와 여성에 대한 억압이 다른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공산주의가 "개인의 자유로운 발전이 만인의 자유로운 발전"을 지향한다면 여성의 고유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생각되어야 한다. 과거 서구 공산당처럼 모든 문제를 자본주의 문제로 환원시키려는 시도는 인간 해방의 중요한 측면을 간과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 결론
지금까지 「공산주의당 선언」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마르크스주의의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검토한 세 가지 문제 이외에도 수많은 문제들이 「공산주의당 선언」에서, 그리고 마르크스의 여타 저작들에서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마르크스주의가 실천과 떨어질 수 없는 관계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이 둘 간의 관계를 면밀히 살핌으로써 이전의 마르크스주의의 한계들과 실천적 오류들을 교정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요새처럼 마르크스주의의 이론적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고, 대학에서도 그다지 많이 읽히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마르크스주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드러내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마르크스주의를 "문제 있는 것", "실패한 이론"등의 수사를 통해 간과하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마르크스주의의 문제점과 실패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과연 마르크스주의를 간과할 수 있게 해줄 만큼 치명적인 것인지 알아봄으로써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논의와 토론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공산주의당 선언」은 마르크스의 주장을 잘 드러내고 있는 만큼 우리에게 많은 토론거리를 던져주고 있는 글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공산주의당 선언」,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 선집 1, 2001, 박종철출판사
「독일 이데올로기」, 같은 책.
「알튀세르를 위한 강의」, 윤소영, 1996, 공감.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과 평의회 마르크스주의」, 윤소영, 2003, 공감.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2.23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