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실천윤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실천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윤리적 문제와 윤리적 딜레마

2. 전문가 가치

3. 실천상의 오류와 비윤리적 행위

4. 윤리적 의사결정의 토대

5. 윤리적 의사결정의 원칙

6. 윤리적 사정의 스크리닝

7. 윤리원칙의 서열화

본문내용

. 이것이 만족스런 지침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EPS를 사용한다. EPS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원칙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순서(order of priority)가 분명히 제시되어야 한다. 일단 우선순위의 순서가 확정되면, 높은 순위의 원칙을 충족시키는 것이 낮은 순위의 원칙을 충족시키는 것보다 우선하는 규칙이 적용된다.
---------------------------------------------------------------
** 윤리적 원칙 스크리닝(Ethical Principles Screen: EPS) **
윤리원칙 1 생명보호의 원칙
윤리원칙 2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윤리원칙 3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윤리원칙 4 최소한 손실의 원칙
윤리원칙 5 삶의 질의 원칙
윤리원칙 6 사생활보호와 비밀보장의 원칙
윤리원칙 7 진실성과 정보개방의 원칙
----------------------------------------------------------------
윤리원칙 1 : 인간의 생명보호(protection of life)는 클라이언트를 비롯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다.
윤리원칙 2 : 평등(equality)과 불평등(inequality)의 원칙은 동등한 사람들은 평등하게 처우되어야 하는 권리를 가지며, 동등하지 않은 사람들은 만약 동등하지 않은 이유가 문제가 되고 있는 사안 그 자체에 있다면 불평등하게 처우되어야 한다는 권리를 말한다.
윤리원칙 3 : 실천가는 개인의 자율성(autonomy)과 독립성(independence), 그리고 자유(freedom)를 신장시키는 실천적 결정을 해야 한다. 자유가 비록 매우 중요한 가치이긴 해도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생명의 원리 또는 생존의 원리의 중요성 보다 우선할 수 없다.
윤리원칙 4 : 실천가는 항상 최소한의 손실, 즉 최소한의 영구적인 손상 혹은 가장 쉽게 회복될 수 있는 손실을 초래하는 기회를 선택해야 한다.
윤리원칙 5 : 실천가는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개인들과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회를 선택해야 한다.
윤리원칙 6 : 실천가는 모든 사람들의 사생활보호의 권리를 신장하는 실천적 결정을 해야 한다. 비밀을 누설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은 이 의무를 지킨 직접적인 결과이다.
윤리원칙 7 : 실천가는 클라이언트와 다른 사람들에게 진실을 말하고 모든 관련정보를 충분히 개방하는 것을 허용하는 실천적 결정을 해야 한다.
** 윤리적 딜레마를 벗어 날 수 있는 확실한 지침은 제시하기 어렵지만, 그 문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한 유용한 지침은 있다.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을 찾는 노력을 해야 한다.
- 이 상황이 적용되는 윤리적 원칙과 의무는 무엇인가?
- 이 상황에서 어떤 윤리적 원칙들이 충돌하며 윤리적 딜레마를 가져오는가?
-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할 때 어떤 윤리적 의무가 다른 것보다 중요한가?
-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는 전문가로서의 대안은 무엇인가?
- 전문가로서 뿐 아니라 이 상황에 대한 개인적 의견은 무엇인가?
** 윤리원칙을 적용할 때 고려해야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① 생명이나 신체적 안녕, 혹은 생존 기회를 위협하는가?
② 누군가를 부정의, 불공정, 불공평한 방식으로 다루거나 기본인권을 침해하는가?
③ 누군가의 자기 결정권이나 자율성을 제한하는가?
④ 개인적 고통이나 경제적 곤란을 야기 시키는가?
⑤ 이웃, 지역사회 혹은 사회 전체의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가?
⑥ 사생활과 비밀 보장의 권리를 잃게 하는가?
⑦ 개인, 지역사회의 진실을 왜곡하는가?
위의 원칙들은 실천가가 윤리적 갈등에 빠졌을 때 도움을 받는 해결지침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실천가들이 윤리적 결정의 중요성을 깨닫고 늘 신중하게 사고하고 판단하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다. 실천가가 자기인식을 높이 유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자신의 가치관이 그 존재를 거의 자각할 수 없을 정도로 깊숙이 내면화되어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② 자신의 편견이 무엇인가를 의식하는데 최선을 다한다.
③ 자신의 가치관을 객관적이고 현실적으로 평가하도록 노력한다.
④ 평가 후 변화가 필요한 가치관은 변화시키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사회복지 실천윤리
1. 윤리적 문제와 윤리적 딜레마
2. 전문가 가치
3. 실천상의 오류와 비윤리적 행위
4. 윤리적 의사결정의 토대
5. 윤리적 의사결정의 원칙
6. 윤리적 사정의 스크리닝
7. 윤리원칙의 서열화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2.2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2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