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 소설 연구 - <표본실의 청개구리>, <만세전>, <삼대>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염상섭 소설 연구 - <표본실의 청개구리>, <만세전>, <삼대>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표본실의 청개구리>
- 작품 분석
- 1인칭 고백체 양식과 서간체
<만세전>
- 만세전의 특징
- 작품 분석
- 인물 분석
<삼대>
- 인물 유형
- 작품 분석

3. 결 론

본문내용

둘 사이에 애련이란 감정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둘째로 덕기의 입을 빌어 보여주고 있는 작가의 태도는 시대 정신보다 개인의 성격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삼대>가 가족사적인 소설이라 하기도 어렵지만, 朝父, 父, 孫에 걸치는 삼대의 세대적인 갈등을 그린 것이 아님도 확실해 진다. 더구나 같은 세대의 동시대적 의식을 그린 것도 아니다. 다름 아닌 운명론적 성격을 그리므로 현실 개혁의 의지는 사실상 승인되지 않게 되며, 현상유지의 보수주의 인간의 일상적 주거, 가치 중립성에 멈추게 된다.
'검거선풍'부터 작품의 끝까지가 <삼대>의 대단원을 구성한다. 사건이 해결되고 그 뒷수습을 한 덕기는 필순의 아버지 죽음을 생각한다. 자기 아버지인 조상훈이 홍경애의 아버지 유언-가족을 부탁한다-을 들었듯이 덕기도 필순의 아버지에게 같은 부탁을 들은 것이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필순 부친의 유언이 덕기의 인격을 믿음으로써 나온 것이냐, 덕기의 돈에서 나온 것이냐는 덕기도 확인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또한 덕기모가 필순을 두고 '제이 경애'라고 한 것도 수긍할 수도 안 할 수도 없었다는 점이다. 이른바 '돈의 자율성'에 자신을 지탱하고 있는 덕기로서는 모든 것이 불확실하고 애매하다. 즉 나름대로의 성격, 나름대로의 '도의적 이념'에 충실할 것이고, 이러한 특면은 조의관도 조상훈도 조덕기도 결국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들 모두는 가치 중립적이고 보수주의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3. 결 론
그의 초기 작품인 <표본실의 청개구리>나 <임야>, <제야>가 모두 인생의 어둡고 추악한 면을 적나라하게 묘사함으로써 현실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그 현장에서 물러서지 않고 다시 인생을 진지하게 들여다보고 거기 담겨져 있는 고민을 자기의 것으로 받아들인다. 자기를 지키기 위해서 부조리를 개조하고 불의와 투쟁하는 근대시민이 아니라 허무감 속에서 자기 파멸을 일으킨 일종의 정신 분열증 환자를 묘사한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대체로 우리 문학의 리얼리즘, 또는 자연주의를 정착시킨 문제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것은 염상섭이 <나의 자연주의>에서 "사실주의에서 한 걸음도 물러나지 않았고 문예사상에 있어 자연주의에서 한 걸음 앞선 것은 벌써 오랜 일이었다"고 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지만 다른 한 측면에서는 "한 인간이 어떻게 그가 속한 시대 속에서 한 인간으로 성장해 나가느냐 하는 것을 탐구하겠다는 태도를 당대의 유행 어휘로 표현한 것이 사실주의, 자연주의라는 진술"이라는 견해도 있다.
)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앞의 책
또한 이 작품은 러시아 및 북유럽의 우울한 문학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이라는 평가도 있는데 이는 염상섭 자신의 도스토예프스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술회 때문이기도 하다.
) 백철, 「국문학 전사」, 신구문화사, 1960, p.156-158
초기 작품 중의 하나인 <만세전>은 망국 민족의 일분자로서 무관심한 채 전원시나 읊조리고 인생이나 문학을 관념적으로 생각하고 허황된 꿈에 젖어 있던 주인공 이인화가, 처의 죽음을 계기로 민족이 처해 있는 현실에 부딪치면서 비로소 자기 내부에서 일어나는 의식의 갈등을 그려낸 것이다. 그가 발견한 현실이란 바로 무덤이다. 일제의 악랄한 수탈로 인해 처참해진 농촌의 모습이나, 생활의 터전을 잃은 농민들이 헐값으로 노예처럼 팔려 가는 사실들과 식민지 치하에서 점점 변모되어 가는 형형색색의 인간군상들--자기부친, 형님, 갓장수, 김의관 등-이 보이는 행태들, 피지배자로서 받는 불평등과 부자유가 바로 이인화가 처한 민족의 암담한 현실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20년대 민족문학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인정될 수 있는 그의 문학은 후반에 이르러서는 매우 다듬어진 형태로 나타난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1931년 조선일보에 연재된 장편소설 <삼대>이다. 이 작품의 우수성은 동시대에 살고 있는 인물 삼대를 통해서 전통적인 가치관에 살고 있는 사람, 신식 문물에 휩쓸린 사람, 온건스런 개화 세대, 급진적인 개화파 등을 날카로운 비판의 눈으로 객관화하는 데 있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서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각 계층이 그들의 민족 의식을 어떻게 보여주어야 하느냐 하는 자각을 일깨워 준, 겨레로서의 지적 증언을 하고 있다. 즉, 스스로의 반성이 없이는 겨레의 자주 독립은 요원한 것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염상섭의 초기에 다루고 있는 것은 주로 식민지 치하의 조국의 어두운 현실이었다. <표본실의 청개구리>에서 표현된 칠성판 위의 개구리의 모습과도 같은 동포들의 몰골, <만세전>에서 표현된 구더기 끓는 묘사와도 같은 분위시 등 현실 의식이 강하게 표출되어 있다.
그러나 중기에 저어들면서부터는 제법 냉철한 사실주의적 경향을 띤 객관적 묘사를 문학적인 기교로 하여 장편 <삼대>에서는 '나'의 고민이 아닌 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그 시대의 번민하는 인간상을 부조시켜 뛰어난 리얼리즘의 작품으로 완성시켰다.
<표본실의 청개구리>에서 정신과민성 분열 증세에 빠져 좌절한 '나', 폐쇄적 고립된 사고 속에서 자아의식에 머물렀던 '나'가 그 벽을 뚫고 바깥 세상으로 나왔을 때 <만세전>의 '나'가 된다. 현실에 대한 자각은 있지만 어떻게 해 볼 수 없어 수수방관하는 '나', 결국 일본으로 되돌아가 버리는 '나'는 수평적 사회 인식에서 한 걸음도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러던 '나'가 <삼대>의 덕기에 와서는 수직적 인식 과정을 더 보탬으로써 자아를 확대 심화라고 현실에 대한 인식이 분명해진다. 이 변화를 통해 보면 일제 치하에서의 자아인식이 차츰 심화·확대되어 사회적 자아, 민족적 자아로 변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염상섭의 병적 낭만주의에서 리얼리즘으로의 변이가 갖는 의미를 대변해 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7
·김미영, <염상섭 소설미학의 성립과정 연구>, 서울대
·유영윤, <염상섭과 박태원 비교 연구>, 건국대
·이수미, <염상섭의 소설 연구>, 연세대
·정성길, <삼대와 태평천하의 비교 연구>, 동국대
·조영미, <염상섭 해방 이후 단편소설 연구>, 홍익대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2.24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