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예술의 정의와 대중 예술 정책의 필요성 및 의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 예술의 정의와 대중 예술 정책의 필요성 및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대중예술의 개념
1. 시대, 장소 그리고 개인에 따라 다양한 대중예술의 개념
2. 관습적으로 대중예술로 받아들여지는 문화산물들
3. 고급예술/대중예술/민속예술의 삼분법
4. 대중예술과 민중예술
5. 문화사적 측면에서 본 대중예술
6. 체계화로서가 아니라 주제화로서의 대중예술
7. 대중성으로 특징 지워지는 대중예술
8. 대중에 의해 소비되는 대중예술

ꊲ 대중 예술 정책의 필요성
1. 산업적 측면
2. 교육적 측면

ꊳ 대중예술 정책의 의의

본문내용

더 완숙한 멋의 깊이를 대중예술에서 요구할 수 있다. 여기에 교육이 개입한다. 대중예술이 우리의 청소년들에게 지나치게 가까이 있다는 이유로 대중예술에 대한 청소년들의 잠재적인 미적 감수성 계발에 소홀하다면 그것은 불행한 일이다. 우리의 미적 교육은 우리의 일상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것과 우리의 일상에서 너무 가까이 있는 것 모두에게 적절한 관심을 배려해야 한다. 대중예술에서 미적인 가능성을 느끼는 우리의 감수성은 교육에 의해 상당한 정도로 넓어지고 깊어질 수 있다.
대중예술 정책의 의의
고전음악이나 오페라가 사회적으로나 학계에서 받는 존경에 비해 대중음악이나 뮤지컬의 문화적 위상은 대체로 보잘것없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전통에 의해 조건 지워진 관습일 뿐이다. 전통이나 관습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변화가 방향을 상실한 혼돈에서 머물지 않아야 한다는 점인데 '예술'이라는 개념은 그렇게 방향을 잡아주는 지향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나 완벽한 예술이란 없다. 모든 예술은 항상 어떤 지향점을 향한 도정에 있는 것이다. 대중음악이나 뮤지컬이 예술이라는 것은 우리가 그 안에서 완벽을 지향하는 가능성을 본다는 의미이다.
여러 교수들의 주장대로 대중예술에 대한 지원은 대중예술도 예술이라는 사회의 공적인 인정을 향한 첫 걸음이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대중예술을 하나의 예술로 보살피려는 공적인 책임감을 일깨울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대중예술정책은 자칫 일상의 삶으로부터 유리되어 허공에 떠 있기 십상인 예술을 땅으로 끌어내리고, 여차하면 지하 깊숙이 숨어버리려는 상업적 문화산업을 땅위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것은 대중예술 전반에 걸친 우리 사회의 대중 문화적 편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대중예술에 대한 공식적인 지원은 대중예술의 질적 가능성에 대한 몇 몇 사람들의 개인적인 확신에서 출발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동시에 그러한 체험을 많은 다른 이들과도 함께 나누고 싶다는 사회적 충동의 표현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 대중예술이 공적으로 예술로서 인정받을 수 잇는 교육의 체계화, 비평의 활성화, 강연회 구상, 잡지의 발간, 우수작품 시상, 진흥기금의 확보 등에 노력을 경주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중문화의 질적 가능성에 대한 공적인 인정은 대중문화와 관련된 대학, 예술원, 비평 전문지, 위원회 등의 제도적 성장과도 관련이 있다.
여기에서, 예로 들고 있는 뮤지컬이나 대중음악에 대한 지원은 단지 하나의 문화적 이벤트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그 이면에는 좀 더 광범위한 문화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하나의 실천이 존재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대중문화 속에서 체험의 질적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공공의 복지로 함께 나누기 위해 제도적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대중예술정책의 실천이 함축되어 있다. 이런 의미에서 대중예술정책은 예술의 지평을 열 수 있으므로 국가적인 차원의 예술정책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1.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 1995)
2. Lewis, G.H (Current Sociology vol.26, no.3, 1978)
3. 임현영 <민중문화와 대중문화> 강현두 편 <한국의 대중문화>에 실린 글(나남, 1987)
4. Marcuse, Herbert (Boston, 1979)
5. Davis, J.M. (London, 1978) 6쪽.
6. 이상일, <한국인, 굿고 놀이> (문음사, 1981)
7. Burke, Peter (New York&London, 1978)
8. Williams, Raymond (Penguin Books, 1976> 107쪽.
9. 중앙일보 1996년 1월 22일 , 단국대 윤호진 교수와의 인터뷰 내용
10. H, Arendt
11. 노먼 제이콥스 (강현두 역) <대중시대의 문화와 예술> (홍성사, 1980)
12. Merriam A.P (Northwestern Univ., 1964)
13. Fiske, John (Unwin Hyman, 1989)
14. 알란 스윈지우드(이강수 역) <대중문화의 원점> (전예원, 1984)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5.1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