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군(獨立軍)과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립군(獨立軍)과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민족주의 노선의 독립군의 활동

III. 동북항일연군의 활동

IV. 결 론

본문내용

지 않고 진정한 공산주의 유격대로 살아남았다는 점은 칭송할 만한 일일수도 있다. 하지만 그의 항일무장투쟁의 왜곡된 역사들로 인하여 독립군들의 업적과 활동상의 공적들이 그의영웅화, 우상화의 불순한 작업들로 인해 훼손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동령현성 전투는 그의 본성의 단면을 보여준다. 김일성이 이청천 장군에게 모략질을 하여 스파이로 몰고 가게 했던 사건.
사실 유격대가 무슨 전 쟁이 될 수 있는가?
김일성의 본명이 김성주라는 점과 각종 학자들의 가짜 김일성 주장 등은 그의 진위여부조차도 명확하지 않으며, 아울러 그의 빨치산 활동들이 김일성 전기에서의 신격화가 되어 공상주의도 사회주의도 아닌 김일성 독재 정권을 수립하는데 악용되어진 이후의 행적들을 볼 때, 개인의 독재국가를 성립시키기 위한 한 중국공산주의자의 항일 운동이 아니였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우리는 수십 만 명의 죄 없는 양민과 군인들이 죽어간 6.25전쟁을 기억할 것이다. 이러한 비극적인 민족간의 전쟁을 일으킨 장본인이 김일성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덧붙여 국권은 잃는 것을 쉬울지 모르나 다시 되찾기까지의 과정은 독립군의 활동에서도 보았듯이 어려운 일이다.
우리는 국민의 정신을 파괴시키고 체제를 위협하려는 각종 불순한 세력들에 의한 체제위협선전이 난무하고 있는 와중에서 건강한 선진 민주주의 시민의 자세를 갖춰야 한다.
* 참고문헌
서대숙「북한의 지도자 김일성」
서대숙「김일성과 김정일」
이명영「金日成列傳」
허동찬「金日成評傳」
박성수「獨立運動史의 諸問題」
국사편찬위원회「한민족의 독립운동사」열강과 한국독립운동.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5.12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