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학 분류이론과 분류기준표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록학 분류이론과 분류기준표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릿말

2. 기록학적 분류이론 및 방법론

3. 기록물 분류기준표의 체계와 개선 방향

4. 맺음말

본문내용

시간을 통하여 기관의 조직과 업무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했으나, 현실적인 어려움 771개 자료관설치대상 기관의 41,760개 처리과별로 제정고시함에 있어, 제정인원이 20명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1인당 담당기관과 처리과는 평균 35개 기관 2,088개 처리과를 분석해야 했기 때문에, 각 기관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업무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박지태, 「분류기준표 시행에 따른 과제와 전망」,『한국국가기록연구원소식 제16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4
에 의해 기록물의 보존기간 책정 기준이나, 단위사안의 편철기준에 있어서 미약함을 부정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각 기관의 업무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이루어 못한 점을 볼 때 기록물 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에 대한 표준화가 이론적인 측면에 비해서, 현실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일한 성격의 업무라 할지라도 각 기관의 표현 방법상의 차이로 다른 업무로 분류 정리되는 업무가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박지태, 「분류기준표 시행에 따른 과제와 전망」,『한국국가기록연구원소식 제16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4
이로 인하여 단위 업무 및 단위 사안에 대한 정확하고 세부적인 보존기간이 책정되지 못해, 중요 기록물의 보존기간을 낮게 책정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으며, 차후 전문 관리기관의 이관 시에도 각기 다른 보존기간으로 인해 동일한 업무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업무로 편철되고 분리 될 수 있는 문제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함에 있어서는, 전문요원이 각 기관에 배치되어 그 기관의 업무를 분석함으로써, 단위사안에 대한 조사 및 표준화 작업을 이룩하여야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재정부족을 이유로 자료관을 설치하지 않고 있고, 이러한 직렬의 미신설로 인하여 자료관의 전문요원의 경우도 배치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인 실정이 한계로써 나타나고 있다.
종래에 공문서 분류표처럼 무용한 제도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기록학적 측면에서 기록물 분류기준표의 분류체계에 대한 수정과 향후 발전도 중요하지만, 제도의 시행과 더불어 각 기관들의 현실적 대안과 미래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기록관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국정감시 기능 강화와, 중요 역사 기록물의 보존으로, 후대의 기록유산으로써, 민족사의 맥을 보전할 수 있을 것이다.
4. 맺음말
지금까지 기록학적 분류이론을 근거로 제정된 우리나라의 기록물 분류기준표의 분류체계을 살펴보고 현 실정의 한계와 그에 따른 개선방향을 모색해보려 하였다. 하지만 기록학 분류이론에 관한 폭넓은 배경의 고찰 부족과 현실적으로 기록물 분류기준표가 실질적인 효력을 발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본고에서는 분류체계의 이론적인 측면만이 거론되고, 강조된 점에 대해서는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기록물에 관한 기록물 관련 이론들은 대부분의 경우 각국의 실제 업무를 바탕으로 삼고 있고, 그 나라의 사회적 문화적인 배경 또한 그 안에 담겨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외국의 기록물 관리의 이론이 좋다고 할지라도 무분별하게 도입하여 적용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 역시 현재 기록물 분류기준표를 제정하여 그에 따른 기존의 기록물 관리에서 탈피한 새로운 기록물 관리의 장을 열었지만, 아직 초창기에 불과하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 속에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현실에 부합되는 기록물 관리의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산시스템의 설치와 이를 제대로 운용할 수 있는 기록관리교육을 제대로 겸비한 전문 인력이 배치된다면 기록물 분류기준표를 통한 실질적인 기록의 등록, 분류, 평가, 관리 등이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이에 기록물 분류기준표가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의 뒷받침과 함께 전자기록물시대에 걸 맞는 완벽한 기록물 분류기준표가 탄생되어서 기록유산 보전과 국정운영의 투명성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 국내자료 *
곽건홍, 『한국 국가기록 관리의 이론과 실제』, 역사비평사, 2003
김태웅, 「기록물 분류기준표의 제정과 전망」,『기록보존 제12호』,정부기록보존소, 1999
김태웅, 김기웅,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제정과 운영」, 『기록물관리실무자과정 교육교재』, 정부기록보존소,
[Http://www.archives.go.kr/default.asp]
김익한, 「기록물 관리체제론 및 평가분류론의 새로운 흐름」, 『기록보존 제11호』, 1998
김재순, 「국가기록 분류체계의 변천과 개선방향」, 정부기록보존소, 1997
박유진, 「기록물 분류기준표 특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4
박유진, 『기록물 분류기준표 운영에 관한 연구, 공공기관의 조직 및 기능변동에 따른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원 정보 기록관리학과, 2003
박지태, 「분류기준표 시행에 따른 과제와 전망」,『한국국가기록연구원소식 제16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4
방효순, 「출처주의의 새로운 경향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02
이승억, 「한국 공공분야 ‘기록보유(Recordkeeping)'체제의 전망:기록물분류기준표의 제도적 의의와 한계」,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제12회 월례발표회 자료』, 2001
오성진, 『공공기록물 분류체제의 변화연구-경제기획원재정경제부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 석사학위논문, 2004
이원규, 『한국 기록물관리제도의 이해』, 진리탐구, 2002
이원영, 「기록물분류의 원리:문헌분류와의 비교」, 『기록학연구 제2호』, 2000
*기타문헌*
정부기록보존소, 「기록물분류기준표 제정절차와 제정원리」『기록보존 제16호』, 2003
---------, 『기록물 분류기준표 조사서 작성지침』, 2002
---------, 『기록물분류기준표 제도 제정 운영 매뉴얼』, 2003
---------, 『기록물관리법 특별 교육교재』,1999
Lewis J. Bellardo and Lynn Lady Bellardo, A Glossary for Archivists, Manuscirpt Curators, and Records Managers, SAA, 1992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5.05.12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