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성 정체장애자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리성 정체장애자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해리성 정체 장애자(다중인격자)에 의한 범죄의 의의
1)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의 개념
(1)해리성 정체 장애에 대한 의학적 개념
(2)해리성 정체 장애의 발병원인
(3)그 개념에 따른 진단의 범죄학적 접근
2) 해리성 정체 장애자와 그 범죄의 특징
(1)해리성 정체 장애의 특징
(2)부수적 특징 및 장애

2.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의 실태분석 1)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와 발생현황
(1)한국의 발생현황
(2)미국의 발생현황
(3)일본의 발생현황
2)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 - 그 관련사례
(1)한국의 범죄사례
(2)미국의 범죄사례
(3)일본의 범죄사례
(4)영화 속 사례
3) 대응상 문제점
(1)환자 스스로의 문제
(2)장애에 대한 의학적 진단의 불확실성과 그 진단에 따른 법적처벌

3.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의 효율적 대응방안
1) 불안한 현대 사회의 안정 필요
2) 확실한 법률안 확립
3) 연구, 조사와 보호 치료
*해리성 정체 장애의 치료 : 최면 치료

4. 결론
해리성 정체 장애, 병적인 · 범죄학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지각하기도 한다. 전형적으로는, 이차 인격(alter personality)은 원래 인격을 알지만 원래 인격은 이차 인격을 알지 못한다. 추가된 인격들은 어떤 것들은 알지만 다른 것들은 모른다. 어느 시각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전혀 회상할 수가 없다는 것과 소지품을 이상한 장소에서 발견했다거나, 소지품 중에 이상한 물건들을 발견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자신의 행동이 꽤 이상하다(uncharacteristic)는 것을 이야기하고, 아무것도 회상해낼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 다중인격장애에서 일어나는 기억장애의 예들이다. 전형적으로 치료자가 최면 하에서 하나이상의 앞선 인격들을 끌어내는 것이 진단을 확신하게 한다. 이 인격들은 잃어버린 시간과 원래 인격의 기억장애를 설명할 수 있다. 20세기 초. Morton Prince는 장애의 진실성에 대한 신랄한 논쟁을 처음으로 유발시킨 다중인격장애에 대한 유명한 사례를 보고했다. 비판이 어느 정도였는가하면 이런 환자들에게 치료자가 최면을 결어서 실제로 이 장애를 유발시킨다는 시각으로까지, 환자에게 있어서 질병을 위조한다고 주장하는 데에 이르렀다. 다중성(multiplicity)의 본질과 원인에 대한 논쟁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1970년대 초까지 다중인격장애 환자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지만 Corbett Thigen과 Hervey Cleckley의 "Eve"의 예와 같이 발견된 대개의 예는 학술문헌에 보고되었다. 그래서 최근까지도 이 병은 너무나 드문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문헌을 살펴보면, 1970년대 이전 150년 동안보다도 최근 15년 동안에 최소한 세 배 이상이 보고되었다. 이어서 이 장애를 자진 환자를 많이 진단하는 소수의 치료자 집단과 이 장애가 존재하지 않거나 '의원성(iatrogenic)이 라고 주장하는 다수의 치료자 집단이 다시 서로 양분되었다. 각각의 양극단이 발생율을 정확하게 반영하거나 장애의 본질을 완전히 인정하는 것 같지는 않다.
4. 결론
― 해리성 정체 장애.
정신의학적 범죄학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이다
해리성 정체 장애는 영화나 소설에서 자주 다루어질 만큼 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질환이지만, 흔한 질명은 아니다. 또 영화에 나오는 인물들은 매우 심한 경우들이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다중인격 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증세를 감추려하며, 정확한 자신의 증세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오랫동안 여러 진단명으로 불리다가 한참 후에야 “해리성 정체 장애”로 확진되는데, 그러기까지는 평균 7년이 걸린다고 한다. 이렇게 희귀한 질환이지만 해리성 정체 장애, 즉 다중인격적인 이미지는 현대 사회의 여러 면에 나타나고 있다. 의학적인 진단을 피해 그것이 병적인 수준은 아닐지라도, 사회적 심리학적 위치에서 볼 때 한 사람이 갖고 있는 다중적인 이미지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서도 나타나기도 한다. 의학적으로 심하지 않은 해리현상 ‘해리장애’란 정상적인 의식 상태로부터 벗어나 기억을 상실하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이미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에게 중요한 정보를 갑자기 회생시키지 못하는 장애이다. 단순한 건망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상태이며 뇌기능장애 때문 또한 아니다. 어떤 특정한 사건과 관련되어, 심적 자극을 준 부분을 선택적으로 혹은 사건 전체를 기억 못하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지속적인 과거생활을 포함한 전 생애나 그 중 일정기간에 대한 기억 상실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능력은 남아 있다. DSM-Ⅲ-R에서 몽유병은 수면장애로 분류되고 있긴 하지만, 몽유병도 유사해리상태로 보는 경우도 있다.
(출처 : 「이종훈 정신과 클리닉」http://user.chollian.net/~leesim42/)
은 보통 사람들에게도 종종 일어나는데, 대화 도중에 잠깐 다른 생각을 한다거나, 최면에 잘 걸리는 경향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고 한다. 인간의 마음속에 내재한 선과 악. 이것을 극단적으로 본다면, 우리 또한 누구나 다중인격자가 될 수도 있는 일이다.
의학적으로는 해리성 정체 장애의 올바른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를 위해, 범죄학적으로는 해리성 정체 장애 범죄자들의 법적 처벌기준의 확립과 그 범죄의 감소를 위해, 사회학적으로는 해리성 정체 장애 범죄자들에 의해 또 다른 피해자와 범죄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고, 사회의 안정을 위하여 관심을 두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정신 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미국 정신 의학회, 하나의학사, 1995)
▲성격심리학
(Robert M Liebert Lynn Langenbach Liebert, ∑시그마프레스)
▲정신장애 사례연구 ― DMS-Ⅳ를 중심으로 ―
(김청속, 학지사)
▲범죄심리학
(홍성열, 학지사)
▲범죄심리학
(이상현, 박영사)
▲DMS-Ⅲ-R 정신장애의 분류와 진단편람
(이근희, 1989)
▲범죄학
(박병식 주희종, 법률출판사, 1996)
▲다중인격, 24개의 인격을 가진 한 남자의 처절한 투쟁의 기록
(커머론 웨스트 공경희옮김, 도서출판 그린비, 2002)
▲내 안에 살고 있는 타인, 다중인격
(와다 히데키 , 이준석 임태홍 옮김, 학지사, 2004)
▲업5 -영혼과의 대화-
(지자경, 서음 출판사, 2001 )
◇ 참고 논문 ◇
▲다중인격장애자에 의한 범죄행위와 형사면책사유 (권창국)
▲성폭력 장기 후유증의 정신과적 치료 (안동현-한양대 정신과 교수)
◇ 참고 사이트 ◇
▲ 네이버 영화정보
http://movie.naver.com/
▲ 네이버 이미지
http://imagebingo.naver.com/?frm=nt
▲ 김대혁 신경정신과 의원
http://user.chollian.net/~kaplan/
▲ 이종훈 정신과 클리닉
http://user.chollian.net/~leesim42/
▲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http://www.imbc.com/broad/tv/ent/mystery/index.html
▲ 차인표의 블랙박스
http://www.kbs.co.kr/end_program/2tv/sisa/blackbox/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5.05.2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