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주 문화를 통해 살펴본 대륙문화, 반도문화, 섬나라 민족의 국민성 비교(한,중,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식․주 문화를 통해 살펴본 대륙문화, 반도문화, 섬나라 민족의 국민성 비교(한,중,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의복문화 비교
중국- 장삼(長衫)과 치포우
한국- 한복
일본- 기모노

2.식문화 비교
Ⅰ. 숭늉ㆍ열탕ㆍ오차 비교
Ⅱ. 고추장ㆍ짜차이ㆍ우메보시 비교
한국- 매운맛의 문화
중국- 짠맛의 문화
일본- 신맛의 문화
Ⅲ. 3국의 젓가락 문화

3.주거문화
중국- 의자
한국- 온돌
일본-다다미

4.참고문헌

본문내용

받아들이는 신중한 자세를 지켜나간다. 절개 없는 섬나라 문화의 소산인 와리바시와 옹고집인 대륙의 대나무 젓가락, 그 사이에 중용을 아는 금속제 젓가락이 있다.
일본
일본인들은 주로 와리바시(나무젓가락)라고 불리는 일회용 젓가락을 많이 쓴다. 물론 대나무나 금속제 젓가락을 쓰지 않는 건 아니지만, 생선회 따위의 일본 전통요리를 먹는데는 대개 자신의 발명품인 와리바시를 애용한다. 사용 직전에 사용자가 짜개서 사용하므로 말 그대로 '와리바시(짜개는 젓가락)'이다. 그리고 그것은 싱그러운 목향이 풍기는 생나무로 만든 것을 으뜸으로 친다. 일본요리의 훌륭한 향기만으로도 충분할 텐데, 그것을 집는 젓가락의 향기까지 동시에 느끼려는 발상이 그야말로 일본인답다. 와리바시의 가장 큰 특징은 일회성에 있다. 한 번 쓰고 나면 곧 버린다. 위생적이고 쓰기에도 편하다. 만약 사용 중에 떨어뜨렸거나 부러졌다면 그대로 버리고 새것으로 바꾸면 된다. 물론 설거지를 할 필요도 없다.
이 와리바시의 편리한 도구의 이면에는 일본인들의 인스턴트식 사고가 집약되어 있다. 단 한 번의 만남, 단 한 번의 아름다움, 단 한 번의 편리함... 일본인은 그 단편적인 미를 으뜸으로 여긴다. 한꺼번에 활짝 피었다가 한꺼번에 우수수 지는, 사쿠라꽃의 순간적인 아름다움을 즐기는 민족이 바로 일본인들이 아니던가?
주거문화
중국- 의자
황하유역에서 문명의 꽃을 피운 중국인들은 황토와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풀과 나무를 이용하여 원시적인 형태의 집을 짓고 살았다. 이후 문명이 발달하면서 건축 재료와 건축 기술이 진보되는 한편, 중국인들의 독특한 의식과 사상이 그들의 건축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중국의 주택을 발전시켜 왔다. 각 지역은 이러한 지형, 기후조건, 건축 재료에 알맞게 특색 있는 주택으로 발전을 한다. 중국 전통가옥의 전형은 사합원(四合院)이다. 이런 집들은 보통 크고 작은 방들이 가운데 정원을 둘러싸고 있으며, 방과 정원 사이에는 방들을 연결하는 중랑이 있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이것이 중국인들의 가장 전형적인 주거형태로 사합원이라고 한다.
중국주택의 공간구조는 둘러쌈의 구성, 중층적(重層的) 구성, 축적(軸的) 구성, 위계적 구성, 기하학과 자연의 공존 등의 특징으로 요약되는데, 여기에는 특히 음양오행사상, 유가사상과 도가사상, 풍수사상 등 중국인 고유의 정신세계가 결정적으로 작용했으며 위계적 질서와 혈연적인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중국 특유의 사회구조 및 가족제도 또한 중요하게 작용했다.
중국인들은 실내에서 의자를 사용하는 문화를 만들어냈다. 의자는 온도를 고정시켜 앉을 수도 있고, 수시로 의자를 자기 뜻대로 옮겨서 사용할 수 도 있다. 또 의자를 여러 개 병합시키면 잠잘 수 있는 침상이 된다. 그래서 낮에는 의자, 밤에는 침대가 되었다. 이렇듯 중국인의 성격은 어딘가 극단적이기보다는 예로부터 존중해왔던 중용(中庸)의 성격이다.
한국- 온돌
한국에서는 고층 아파트에서도 현대식 온돌방을 장치하고 따끈한 온돌에 몸을 기대며 산다. 해외에 이민 간 동포들도 늘 침대나 의자 생활속에서도 온돌을 못 잊어, 추운 겨울이면 다리를 포개고 앉아 찬 몸을 지질 수 있는 온돌방의 향수에 젖기 일쑤이다. 일본의 다다미가 지극히 일본적이라면 온돌방은 지극히 한국적이다. 이 양자의 결정적인 차이는 온돌이 따가운 열을 인체에 주지만, 다다미는 그런 열을 제공해 주지 못하는 것이다. 뜨거운 것과 신선한 것, 이 차이가 이 둘의 극명적인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3한 4온'이라는 기후권에 속한 한국은 한겨울 엄동설한의 맹추위를 견디기 위해서는 따끈한 온돌난방이 필요하다.
한국에는 절대적 가치관의 대륙적인 것이 월등 많다. 방 전체를 온돌로 데운다는 발상은 묵직하나 어딘가 둔중하고, 스케일이 커 보인다. 방 전부를 데워야 직성이 풀리는 절대적 가치관이 있는 반면, 유연성이 결핍되어 기능주의가 결여돼 있다. 더울 땐 왕창 달아오르다가도 식으면 그대로 차가와진다. 그래서 극단적이다. 한국인의 성격도 양극으로 치닫는 경우가 많다. 외래문화를 수입함에 있어서 유용성 없이 대륙문화만을 거의 그대로 절대시하여 수용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유용성이라는 기능주의가 탈락돼 있다.
일본-다다미
고온 다습한 관계로 통풍이 잘 되고 습기를 방지할 수 있게 건물이 높게 지어지고, 주로 목재를 사용한 것은 유연성을 이용한 지진의 대비를 위함이다. 지붕의 경사가 급한 것도 多雨, 多雪 때문이다. 방에는 일반적으로 미닫이문(しょうじ)과 미닫이창(ふすま)이 있다. 이 문을 트면 두 개의 작은 방을 큰방으로 쓸 수 있다. 전통가옥에서 현관(玄關), 복도 및 부엌 바닥은 나무인 반면, 그 외의 방들은 골풀로 엮은 자리를 깐 다타미(たたみ) 바닥이다. 다타미방은 낮에는 거실로 밤에는 침실로 쓸 수 있어서 방의 수가 적어도 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하나 정도만 다다미 방일뿐, 대부분의 주택이나 아파트는 니스 칠을 한 나무나 카페트를 사용하고 있다. 집에 들어갈 때에는 신발을 벗고 슬리퍼를 신는다. 다다미방에는 신발을 벗고 들어간다.
たたみ(다다미)는 유까라고 하는 나무로 된 바닥에 접을 수 있는 깔개를 깔았던 것에서 유래하며 '접는다'는 뜻에서 파생되었다. 일본전통가옥의 마루에 까는 짚으로 된 메트리스라 할 수 있는데, 보온과 방습의 효과를 노려 주로 이 위에서 생활한다. 한 장의 크기는 보통 90cm 180cm정도의 장방형으로 규격화하여 판매하며 다다미 2장이 1평 정도의 넓이이다. 일본에서는 방의 넓이를 잴 때 이 다다미를 단위로 하여 몇 장짜리냐에 따라 방의 크기를 가늠한다. 여름에는 통풍이 잘되고 시원해서 좋지만 청소하기가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참고문헌>>
ㆍ『韓·中·日 3국인 여기가 다르다』김문학, 2002, 도서출판 한일문화교류센터
ㆍ『한국인·중국인·일본인』찐원쉐, 2000, 우석출판사
ㆍ http://ksb.gsgm.ms.kr/japan-mh/japan-jtmh.htm
ㆍhttp://www.unionsteel.co.kr/espace/Entertain/chinese_culture/house/house.htm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6.15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