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tooth]기술과 미래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luetooth]기술과 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Bluetooth 소개
1) Bluetooth 정의
2) Bluetooth 성립배경 및 동향
3) Bluetooth 이름의 유래

본론 1. Bluetooth 사양
1) Bluetooth 규격의 개요
2) Bluetooth 주파수 밴드 및 전력 사용
3) Bluetooth 구조
2. Bluetooth 베이스 밴드 및 링크 관리
1) Bluetooth 망구성
2) Bluetooth 주파수 변조 방식
3) 채널 및 슬롯
4) 물리 링크
5) 패킷의 형태
ⅰ. SCO Packet
ⅱ. ACL Packet
6) 에러 정정
ⅰ. FEC
ⅱ. CRC
7) Bluetooth 클럭
8) 인증과 암호화
9) Bluetooth 연결
ⅰ. Bluetooth 상태
ⅱ. 연결설정
10) Bluetooth 시장 전망

결론 1. Bluetooth 향후 예측
1) Bluetooth 표준화 문제점
2) Bluetooth 사용예

본문내용

장치가 피코넷에 참여하지 않을 때는 대기 상태가 되며 주기적으로 1.28초(2048슬롯)마다 페이징 메시지를 체크한다. 장치가 wake-up할 때마다 그 장치의 정의된 32개의 홉주파수의 집합으로 메세지를 체크한다. 장치의 주소를 알 경우 페이징 메세지에 의해 연결이 설정되고, 주소를 모를 경우 inquiry 메세지가 실행된 후에 페이징 메세지가 보내지게 된다. 수신장치가 inquiry를 수신하면, 장치의 주소와 클럭을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한다. 페이징 장치와 수신 장치가 같은 wake-up캐리어를 선택하면, 수신장치는 억세스 코드를 수신하고 승인신호를 되돌려 보낸 후 페이징 장치는 그 장치의 주소와 현재 클럭을 포함하고 있는 패킷을 전송한다. 수신장치가 이 패킷을 승인한 후에 각각의 장치는 홉 선택을 위하여 페이징 장치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며, 페이징 장치가 마스터로 동작하는 피코넷을 형성한다. 페이징 장치는 각각의 응답을 받은 후에 페이징할 특정한 장치를 선택하고 이때부터는 활성화 상태가 되어 데이타를 전송한다. 피코넷에서 전송할 데이타가 없는 경우에는 저전력 모드가 사용되는데, 그런 저전력 모드로는 PARK, SNIFF, HOLD모드가 있다. HOLD모드에서는 슬레이브가 내부타이머로 동작하게 설정된다. 슬레이브들이 HOLD 모드에서 벗어날 때는 데이터 전송이 즉각적으로 재시작된다. HOLD모드는 온도감지기와 같은 저전력 장치들을 관리하거나 여러 개의 피코넷을 연결할 때 사용된다. SNIFF모드에서는 슬레이브가 자신의 duty cycle을 감소시키므로 느린 속도로 피코넷에 주의를 기울인다. SNIFF 상태에서는 프로그램가능하고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달라진다. PARK모드에서는 피코넷에 여전히 동기화되어 있지만 전송에 참여하지는 않는다. PARK 모드에 있는 장치들은 자신의 MAC address를 포기하고 가끔씩 재동기화 하기 위해 마스터의 전송에 신경을 쓰고 broadcast message를 체크한다. 만일 파워효율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면 SNIFF모드가 좀더 높은 duty cycle을 가지며 그 다음으로 HOLD모드가 낮은 duty cycle을 가지는데 마지막으로 PARK모드가 가장 낮은 duty cycle을 가지게 된다.
10) Bluetooth 시장 전망
Bluetooth 관련 web site의 설문조사 중 Bluetooth를 사용하는 목적에 대한 설문결과를 보면 아래 표와 같다.
질문 : What is the main purpose for you choose a Bluetooth enabled product?
목적
비율(%)
(총 투포수 1,190에 대한)
유선 케이블의 대체
43.6
홈 네트워크
26.8
인터넷
12.3
유행을 따라
5.0
게임
2.7
프린터 공유
2.3
기타
7.3
출처 http://www.bluetooth.net
설문 결과를 볼 때 Bluetooth에서 주장하는 3가지 사용범주인 홈네트워크, 유선 케이블 대체, 인터넷 접속점에 대한 투표가 82.7%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Bluetooth의 여러 가지 응용 중 3가지 응용 범주 내에 해당하는 제품이 주류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다음 표들은 앞으로 매우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Bluetooth의 모듈 및 칩의 제품 가격 변화 예상표, Bluetooth의 시장 전망 표이다.
결론
1. Bluetooth 향후 예측
1) Bluetooth의 표준화 문제점
Bluetooth는 SIG가 결성된지 2년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전세계 2000여개사를 가입시켰고 2005년 20~30억불의 시장을 창출하는 등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Bluetooth가 안고 있는 문제점도 있다. 그래서 Bluetooth 기술이 개발되고 나서 전문가들의 전망과는 다르게 아직까지도 시장의 활성화가 되지 않았다. 큰 이유 중의 하나로 Bluetooth의 표준화 문제를 들 수 있다. Bluetooth의 상용화가 표준화 등의 문제로 지연되고 있다. 2,000여 개에 이르는 Bluetooth SIG 참여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유리한 방향으로 표준을 조절하려고 하는 데다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구현 여부가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시장 형성이 늦어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차세대 PC운영체제인 윈도XP가 Bluetooth를 지원하지 않는다라고 밝히면서 Bluetooth 상용화에 먹구름을 던졌다. 한국 MS 관계자는 Bluetooth 제품의 성능이 검증되지 않은 데다 SIG 참여업체들의 이견으로 서로 다른 표준을 지원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MS가 윈도XP에서 Bluetooth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이 기술을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Bluetooth 제품개발에 주력한 국내외 기업들은 2년 이상을 끌어온 Bluetooth 표준화 문제가 시급히 해결되지 않으면 시장이 채 형성되지도 못하고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Bluetooth 시장 형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모듈 가격이 5달러대 이하로 떨어지는 2004년이 돼서야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1Mbps의 저속, IEEE802.11등과의 간섭 문제, 완벽한 상호 호환성을 이루기 위한 인증문제, 그리고 전자 상거래를 위한 보안 문제 등등 이러한 문제점들은 시간이 지나면 해결이 가능하리라 믿으며, Bluetooth는 이동통신 및 인터넷의 급격한 보급에 편승하여 발전하리라 생각된다.
2) Bluetooth 사용예
Bluetooth로 조만간 실현될 모습을 예견해 보면 그림과 같이 볼 수 있다. 음악을 인터넷을 통해 mp3형태로 다운로드 받는다. 이 때 사용되는 것은 PC가 아니라 휴대폰이고, imt2000 방식으로 데이터를 휴대폰으로 받는다. 휴대폰과 mp3플레이어 혹은 PDA에는 Bluetooth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서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mp3플레이어와 헤드폰간에도 Bluetooth를 사용하여 무선화 할 수 있다. PDA에서는 리얼타임으로 데이터를 수신해 재생중인 곡의 가사나, 아티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06.1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