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중국의 지식혁명 5.4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대 중국의 지식혁명 5.4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문화운동
1)발달배경
2)전개
3)신문화운동의 영향과 의의

2. 5.4운동
1)5.4운동의 신문화운동과의 차별성
2)발달배경
3)발달원인
4)발달경과
5)5.4운동의 한계
6)5.4운동의 의의
7)5.4운동의 영향

3. 마르크스주의의 확산과 신문화운동의 변모

4. 5.4시기의 민주와 과학사조

5. 관념론의 사조 - 인생관 논쟁

6. 동서문화논쟁

본문내용

인 사이에 논의되었던 것이므로 시대를 움직일 만한 힘은 없었다. 혁명운동은 이들 논쟁과 관련없이 급진화하여 갔다. 다만 이 논쟁 때 원용된 서구의 그대 관념론 철학은 그 뒤 주로 아카데미즘
대학 등 최고의 연구 기관을 지배하는 학문 지상주의. 학문 예술상의 보수적 관료적인 권위주의. 형식뿐이고 내용이 따르지 않은 비현실적인 학문의 경향.
에 수용되었다. 그 중에서도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은 송명이학(宋明理學) 및 불교철학과 결합하여 아카데미즘뿐만 아니라 뒤에 정치적으로도 마르크스주의에 대립하는 보수세력의 유력한 사상 원리로서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6. 東西文化論爭
유교와 전통적 중국문명에 대한 초기의 공격에서 개혁자들은 강력한 반론에는 부딪치지 않았던 것 같다. 반대자들은 대개 후진분자 · 구향신 · 관료나 군벌이었고, 근대적 지식이 있는 사람은 드물었다. 그렇지만 논쟁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그것은 서양학문을 습득하고 중국전통을 재평가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동양문명 대 서양문명의 주요문제에 관한 일련의 논쟁으로 발전했다. 중국의 서양에 대한 반응은 3단계 과정을 거쳤다. 처음 중국지도자들은 중국이 서양에서 배울 것은 물질문명 뿐이라고 결론지었으나, 곧 제도 · 법률상의 변화도 필요함을 인식했다. 5.4시대 무렵엔 철할 · 윤리 · 과학 · 문학 · 예술과 같은 서양기술 · 제도의 기초가 되는 사상 · 원리를 모두 연구해야함이 분명해졌다. 신지식층이 유교와 전통문명을 공격한 것은 이런 인식에 근거한 것이었다. 나이 많은 보수파들은 유교와 전통이 무엇인지 충분히 이해하지도 못했고, 이해력을 가지고 서양문명을 비판할 수도 없었기 때문에, 이런 동향에 대한 초기의 반대는 미약했던 것이다. 그러나 5.4시대 말엽에 동서문명의 검토와 몇 가지 서양철학이론에 기초를 둔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 본격적인 반대가 시작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직후, 전쟁으로 피폐되어 있던 유럽의 지식층은 대개 비관론에 사로잡혀다. 그들은 파괴의 우매함이 물질적 과학문명의 결과로 일어났다고 생각했다. 베르그송 · 오이켄 · 렛셀 같은 많은 서양철학자들은 동양문명, 특히 중국 · 인도의 평화주의에 구제를 기대했다. 1918년말 양계초는 장백리(蔣百里) · 카르슨 장(張-君 ) · 정문강(丁文江)을 포함한 반공식적 성격을 띤 파리강화회의 업저버단을 이끌고 유럽여행을 했다. 양계초와 일행이 유렵의 철학자 지식인을 방문한 동기는 장군매(張君 )에 의하면, 중국에 신사상이 유입됨으로써 받은 충격 때문이었다. 그들은 유럽지식인들로부터 조언을 얻고자 하였다. 유럽인들은 전쟁은 유럽문명 파산의 표현이며, 그들은 자신의 과오를 시정할 지혜를 중국문명에서 배우기를 희망한다고 응답했다. 양계초는 유렵여행에서 돌아온 뒤 서양문명의 물질 편중과 과학지상주의는 세계대전이 증명하는 것과 같이 파산하였으며, 이 파산에서 인류를 구제하는 것은 인간의 정신이나 혼을 중시하는 동양문명이라고 주장하여 인도의 시인 타고르의 중국 방문과 더불어 '퇴조기'의 지식인을 고취시켰다. 양계초의 말을 빌면 다음과 같다.
과학만능의 찬양자들은 과학이 발달하면 곧 황금시대가 출현할 것이라고 기대했었다. 이제 과학은 발달해서 지난 백년간 서양의 물질적 진보는 이 시대이전 3천년간의 업적을 크게 능가했다. 그런데도 우리 인간은 행복을 얻지 못했고, 반대로 과학은 우리에게 재앙을 가져다주었다. 우리는 사막에서 길을 잃은 여행자와 같다. 그들은 앞에 커다란 검은 그림자를 보고 그것이 어디론가 인도해 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필사적으로 거기로 달려갔다. 그러나 멀리 달려간 끝에 그들은 그림자를 찾지 못하고, 낙망의 수렁에 빠졌다. 그 그림자는 무엇인가? "사이언스 선생"이다. 유럽인들은 과학전능의 큰 꿈을 꾸어왔는데, 이제는 과학의 파산을 비난한다. 이것은 현대 세계사상의 주요한 전환점이다. -梁任公近著 ,[歐遊心影錄], 時事新報,1919.3.
周策縱,, [5.4운동], 조병한 옮김, 광민사, 1980. 5, p.304에서 재인용
또 양수명(梁漱溟)은 독자적 철학에 입각하여 서구의 폐단을 구원할 수 있는 것은 만족을 알며 조화를 존중하는 중국문화 혹은 욕망을 부정하고 정신을 중시하는 인도문화라 주장하여 주목을 끌었다. 이러한 동서문화를 정신문명, 서양문화를 물질문명으로 보는 견해는 청말의 '중체서용론(中體西用論)'이 새로운 모습을 띠고 부활한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 5.4문화혁명에서 철저하게 부정된 전통사상이 문화혁명 후 즉시 숨을 돌리고 대두한 것을 의미한다. 동양주의의 주장에 대하여 호적 등 근대주의자가 '전면적 서양화'의 필요성을 주창하고 과학문명의 이입 없이는 중국을 구원할 수 없다고 반론한 것은 인생관 논쟁의 경우와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이 논쟁은 명확한 결말이 나지 않은 채, 그 후 동일한 동양주의의 주장과 동서문화의 우열을 둘러싼 논의를 반복하여 일으키게 된다. 이것은 중국의 전통사상이 얼마나 뿌리 깊게 서구의 근대사상에 저항하였는가를 엿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 어려운 갈등을 통하여 중국은 전통을 부정하면서 전통을 살리려고 하는, 서구의 근대와는 다른 중국의 독자적 '근대화'의 길을 모색하는 피어린 노력을 계속하였다. 이러한 노력 가운데에서 이대교와 노신과 같은 독창적 사색이 전개되었다. 손문도 삼민주의의 실천을 통하여 동일한 노력을 기울여 온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참고문헌
김곡치외, [중국사상사], 조성을 옮김, 이론과 실천, 1986.2, pp.369~389.
후외려, [중국근현대철학사], 양재혁 옮김, 일월서각, 1991.10, pp.226~259.
조영명 엮음, [중국현대사의 재조명], 온누리, 1985, pp.61~74.
주책종, [5.4운동], 조병한 옮김, 광민사, 1980. 5.
쟝 세노 · 프랑소와즈 르 바르비에 · 마리 끌레르 베르제르, [中國現代史], 신영준 옮김, 까치, 1982.6,
pp.74~110.
왕육민 · 여희신, [중국현대철학사], 이승민 옮김, 청년사, 1989.1, pp.36~262.
좌백유 · 야촌호 외, [중국현대사], 오상훈 옮김, 한길사, 1980.3, pp.279~289.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6.19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2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