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중심의 단기 가족치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결중심의 단기 가족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론 발달과정

Ⅱ. 기본가정, 전제가치, 철학

Ⅲ. 목표설정

Ⅳ. 치료전략

Ⅶ. 현황

Ⅷ. 결론: 평가와 효과 측정

Ⅸ. 사례

Ⅻ. 부록

Ⅼ. 참고문헌

본문내용

98). 엄명용(2001)의 연구에서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신체적 학대를 당한 정도가 큰 아동들은 후기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한편 동일한 가해자가 아내와 아동을 학대하는 것 외에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어 자녀를 학대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양정자와 안정희(19960는 남편에게 구타당하는 부인의 46.9%가 아동을 때린 것으로 나타났다. Straus 등 (1980)의 연구에 따르면, 피해자인 여성의 경우 학대관계를 떠난 이후보다 자신이 학대받는 동안의 아동을 학대한 경우가 8배나 높았다고 항, 가정에서의 폭력이 순환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신성자(2001)의 연구에서는 부부폭력과 자녀폭력이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김연옥과 박인옥(2000)은 아내학대가 있는 가정의 아동이 그렇지 않은 가정의 아동보다 아동학대의 가능성은 높았으며, 아내학대의 정도가 심한 가정의 아동일수록 부모에 의한 신체적 학대와 방임의 정도가 심하였고, 아내학대가 아동의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아내학대의 결과로 학대를 당하는 부인뿐만 아니라 자녀들의 전반적인 삶에 엄청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쉼터 등의 민간차원의 보호 및 상담서비스가 생겨 매맞는 아내에 대한 서비스가 이루어 졌다(김인숙외, 1997). 또한 \" 가정폭력범죄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1998년 7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경찰 및 사법기관이 개입하여 가해자를 피해자 또는 가정주거공간으로부터 격리시키고, 가해자에게 사회봉사 수강명령, 보호관찰, 감호위탁, 치료위탁, 상담위탁, 등의 광범위한 보호처분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매맞는 아내뿐만 아니라 폭력남편에 대한 개임 및 상담분야에서도 임상사회복지사업의 영역이 확대될 전망이다(이은주, 2000:158-159)
학대받는 여성들을 위한 쉼터서비스와 더불어 사회적 서비스의 필요성과 종래의 여성중심에서 가족체계를 유지하려는 가정중심의 정책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학대받는 아내들의 응급서비스를 비롯한 다양한 욕구들에 사회적 서비스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나면서 다시 여성중심의 서비스와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Davis et al., 1994; 박미은, 1996에서 재인용). 특히,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볼 때, 남편의 학대로 인하여 부인들의 우울증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매우 심각하여 임상적 개입이 매우 시급하며, 우울증은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그 치료적 개입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측면이다(김재엽 외, 1999).
3) 구타당하는 남편의 심리 사회적인 특징
구타하는 남편은 폭력적인 가정에서 자랐으며, 자아정체감이 결여되어 있으며 고정적인 성역할에 따르며, 아내보다 언어적 기술이 열등한 경우가 많아 이러한 약점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으로 폭력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정신병리학적 증후가 일반인보다 더 심하고, 알코올에 의존한다. 또한 반사회적인 성격 장애를 지니고 있으며, 여성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강한 남성상을 유지하려 하며(Morrison, 1997), 그들의 남성상이 도전을 받는다고 생각할 때 폭력에 의존하고, 아내에게 강하게 요구를 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요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분노로써 반응하며, 구타가 통제와 권력을 상실할 것을 두려워하여 학대행동을 시도할 수 있다(Anderron et al., 1991). 신성자(1999a; 1999b)의 연구에서도 전통적인 성규범에 기초했을 때 남성상이 높은 남편이 아내에게 성적 신체적 정서적인 폭력을 행사하는 경향이 현저하게 높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그들은 가부장적인 성역할 개념을 지니고 있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며, 분노와 질투를 표현하며, 의사소통의 형태로 폭력에 의존한다(Pagelow, 1984; 김인숙, 1998: 63에서 재인용).
이상에서 구타하는 남편의 특성을 요약해 보면, 폭력적인 가정의 배경, 자아정체감의 결여,고정적인 성역할, 의사소통과 문제해결기술의 결핍, 낮은 자아존중감과 자신감의 결여, 분노나 충동조정의 결여, 고정된 가부장적인 성역할 등을 들 수 있다.
■. 참고문헌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학지사. 2003
* 김성천, 노혜련, 최인숙/ 한국의 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중심적 단기치료기법의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
* 최동애/ 해결중심점 단기가족치료의 임상적 적용 -언어적 개입기법을 중심으로-
* Peter De Jong 외/ 노혜련 외 옮김/ 해결을 위한 면접. 시그마프레스. 2004
* 송성자 저 한국문화와 가족치료 <해결중심접근>
* 송성자 저, 법문사 2001 /한국문화와 가족치료
* <계명대학교 대학원 조기순/ 2004년>부부갈등 요인과 문제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구타당한 아내에 대한 가족치료의 적용>학지사 2003
* 해결중심 면접의 도구들 Bertolino. Schultheis 지음. 김 유순 옮김. 시그마프레스 (주)
* 단기심리치료 Sol L. Garfield 지음. 권석만, 김정욱, 문형춘, 신희천 역. 학지사
* 가족상담 김 유숙 지음. 학지사
* 단기가족치료 해결중심으로 되어가기 죤 윌터, 제인 펠러 지음. 가족치료연구모임 역.
하나의학사
* 가족과 가족치료/ 송성자 저 / 법문사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 박태영 / 학지사
* 해결중심 집단치료 / 린다 멧캐츠 지음. 김 성천, 이소영. 장혜림 번역 / 청목출판사.
* 단기역동 정신치료 어떻게 하는 것인가 ? / 이근후.박영숙. 이영숙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가족상담 및 치료 / 편집부 편저/ (주)예하미디어
* 해결을 위한 면접 / 노혜련, 허남순 역 / 시그마프레스(주)
*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가족치료적용사례/ 황 혜숙, 신 선인 /
대구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http://www.brief-therapy.or.kr/
http://search.koreanstudies.net
http://www.riss4u.net
www.dbpia.co.kr
  • 가격5,000
  • 페이지수85페이지
  • 등록일2005.07.07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2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