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치료의 주요 기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관계놀이치료(Relationship Play Therapy)
1) 이론적 배경
2) 치료자의 역할
3) 치료과정

2. 게임놀이치료
1) 게임의 정의
2) 게임의 종류
3) 게임의 치료적 요소
(1) 게임과 인간발달
(2) 게임의 치료적 요소
(3) 대화게임(communication boardgames)
(4) 자아고양게임(Ego-Enhancing Games)

3. 모래놀이치료
1) 모래놀이치료의 역사
2)모래놀이 치료의 도구
3) 치료과정
4) 치료자의 역할

본문내용

종적인 조망을 하게 되고 자신에게 가장 의미있는 것을 표현하게 된다.
모래놀이작품의 해석은 놀이감 한 개씩의 의미 부여나 하나의 작품만 갖고 해석하는 것은 올바르지 못하다. 계속되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때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래놀이 치료는 모래와 작은 모형들을 매개체로 아동의 무의식과 의식을 연결지으므로 치료가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이 기법은 언어가 별로 필요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림을 이용한 기법보다 아동의 심리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자기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그림이 이차원적이라면 모래놀이는 삼차원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기법에 비해 강한 충돌표출이 가능하고 작품의 기록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문헌
Allen, F. (1934). Theraputic work with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4, 193-202.
Allen, F. (1942). Psychotherapy with children.. New York: Norton.
Axline, V. (1947). Nondirective play therapy for poor readers.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1, 61-69.
Axline, V. (1955). Play therapy procedures and resul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25, 618-626.
Burks, H. (1978). Imagine. Huntington Beach, CA: Arden.
Campell, M. B. (1968). Neurological allergy. Review of allergy, 22, 80-89.
Creative Health Services. (1983). The Self-Esteem Game. South Bend, IN:
Csikszentmihalyi, M. (1976). What the play says about behavior. Ontario Psychologist, 8, 5-11.
Gardner, R. A. (1973). The Talking, Feeling, Doing Game. Cresskill, NJ: Creative Therapeutics.
Hendricks, S. (1971).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process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Doctoral dissertation, North Texas State University. 1971).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2, 3689A.
Kalff, M. (1989). Sandplay. Boston:Sigo.
Loomis, E. A. (1957). The use of checkers in handling certain resistances in child therapy and child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s Psychoanalytical Association, 5, 130-135.
Lowenfeld, M. (1938). The theory and use of play in the psychotherapy of childhood. Journal of Mental Science, 84. 1057-1058.
Moustakas, C. (1955). Emotional adjustment and the play therapy proces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86, 79-99.
Moustakas, C. (1959). Psychotherapy with children: The living relationship. New York: Harper and Row.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Meeks, J. (1970). Children who cheat at games. Journal of Child Psychiatry, 9, 157-174.
Piaget, J. (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ew York: Rutledge.
Rank, o. (1936) Truth and reality and will therapy. New Yirk: Knopf.
Redl, F. (1958). The impact of game ingredients on children's play behavior. Proceeding of the Fourth Conference on Group Processes, 4, 33-81.
Redl, F. and Wineman, D. (1951). Children who hate. New York: Free Press.
Schelling, T. C. (1960). The strategy of conflic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utton-Smith, B. and Roberts, J. M. (1971). The cross-cultural and psychological study of games.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Sociology, 6, 79-87.
Taft, J. (1933). The dynamics of therapy in a controlled relationship. New York: Macmillan.
Zigler, E. and Child, I. L. (1956). Scialization. In G. Lindzey and E. Aronson(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Reading, MA: Addison-Wesley.
Zakich, R. and Monore, S. (1979). Reunion. Placentia, CA: The Ungame company.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8.24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