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삼일운동)의 전개와 민족사적 의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3.1 운동(삼일운동)의 전개와 민족사적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3.1 운동의 배경
# 세계정세의 변동
*제1차 세계대전
* 민족자결주의
* 파리강화회의
* 신해혁명
* 10월 혁명
# 국내의 상황
* 무단통치
* 각종 식민지 악법을 잇달아 공포
* 토지조사사업
* 고종의 승하

2. 3.1 운동의 전개
# 3.1 운동의 추진
- 천도교
- 기독교
- 학생
* 민족대연합전선의 구축
* 3.1 운동의 준비
# 3.1운동의 전개
* 국내의 만세시위
-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
- 같은 시각 파고다 공원(탑골공원)
- 서울
* 국외의 만세시위
* 3.1 운동의 경과
* 일제의 무력탄압

3. 3.1 운동의 의의
* 민족사적 의의
* 세계사적 의의

[ 보충 설명 ]
* 참고 자료

본문내용

. 따라서 정부에서는 간도를 함경도의 일부로 편성하였고, 이범윤을 간도관리사로 파견하기도 하였습니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을 빼앗은 일본이 중국에게 만주 철도부설권을 얻는 대신 간도를 중국 영토로 넘겨주게 됩니다.
이후 많은 농민들, 독립 운동가들이 국내를 떠나게 되는데 일차적인 지역이 바로 가장 건너기 쉬운 두만강 너머 간도 지역이었습니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무장 독립 투쟁이 가장 활발했던 곳은 국내와 가깝고, 동포들이 많이 살았던 간도입니다. 그러나 계속되는 이주민들과 독립 운동의 확대로 간도 지역 너머까지도 활동 영역이 확대되었기 때문에 독립 운동은 만주를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그 중심지는 간도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헤이그 특사>
1907년(광무 11년)에 고종 황제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 평화 회의에 이상설, 이위종, 이준을 비밀리에 보내 을사조약의 불법성과 일본의 무력적 침략의 부당성을 주장하려던 사건.
1905년에 일제는 강제로 우리 나라와 을사조약을 맺고 외교권을 빼앗았다. 이럴 즈음인 1907년에 네덜란드의 헤이그에서 제2회 만국 평화 회의가 열린다는 정보가 들어와, 4월에 고종 황제는 이상설과 이준에게 회의에 참석할 신임장과 러시아 황제에게 보내는 친서를 가지고 가서 만국 회의에 나가 우리의 실상을 알리도록 하였다. 이들은 러시아로 가서 러시아 황제에게 회의 참석의 주선을 부탁하는 친서를 전하고, 그 곳에서 러시아 공사관 서기였던 이위종과 함께 6월에 헤이그에 도착했다. 이들은 의장인 러시아 대표를 만나 고종의 신임장을 제시하고, 한국의 전권 위원으로 회의에 참석할 것과 일본의 협박으로 강제로 맺은 을사조약의 파기를 회의 의제로 삼아 줄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방해로 회의 참석은 끝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이준은 울분을 참지 못해 그 곳에서 자결하였다. 이 사건의 결과로 일제에 의한 고종의 강제 퇴위, 한·일 신협약의 강요, 구한국 군대의 해산이 잇따랐다.
<신민회>
1907년을 전후하여 일제가 보안법·신문지법 등의 악법을 만들어 반일적 색채를 띤 계몽운동을 탄압함에 따라, 사회계몽운동가들이 국권회복운동을 위해 비밀리에 조직한 단체이다. 안창호(安昌浩)의 발기로 창립된 이 단체의 회원들은 대부분 1896년도에 결성되어 2년 동안 활동하다 와해된 독립협회(獨立協會)의 청년회원들이었다.
중심인물로는 회장 윤치호(尹致昊), 부회장 안창호, 유학자 출신의 장지연(張志淵)·신채호(申采浩)·박은식(朴殷植), 청년장교 출신의 이동휘(李東輝)·이갑(李甲), 평양지방의 자산가인 이종호(李鍾浩)·이승훈(李昇薰), 그리고 안태국(安泰國)·이동녕(李東寧)·이회영(李會榮) 등이었다.
비밀결사인 만큼 엄격한 심사를 거쳐 회원을 받아들였으며, 조직은 총본부 산하에 감독부(1도에 1개소), 총감소(總監所:5군 이상을 합함), 군감소(郡監所:1군에 1개소), 반(班)의 종적인 형태로 구성했으며, 당사자 2명 이상은 서로 알지 못하게 했다. 회원은 전국에 걸쳐 800여 명에 이르렀는데, 서북지방의 그리스도교인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고 신흥시민층과 신지식층이 중심을 이루었다. 이러한 조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폭넓은 활동을 전개했다.
1911년 일제가 조작한 105인사건을 계기로 신민회 조직이 드러나고 국내에 남아 있던 세력이 탄압을 받으면서 조직이 무너졌다. 신민회는 신채호가 비판하였듯이 비밀결사이면서도 스스로 비합법적인 반일활동을 회칙으로 부정함으로써 한말 계몽운동의 일반적 한계였던 합법주의와 문화주의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맹점이 있지만, 국권피탈을 전후하여 독립군기지 건설과 무장독립전쟁으로 운동노선을 전환함으로써 이후 만주와 중국에서 일어난 독립군전쟁의 실질적인 밑거름이 되었다.
<일제의 보복만행>
http://www.jeam.go.kr/ (제암리 3.1운동순국기념관) 사이트 참조
<문화통치>
3·1운동 이후 무력만으로는 한국을 지배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깨달은 일제가 그때까지의 무단통치 방식 대신 새로 내세운 식민지 통치 방식이다. 조선총독으로 부임한 사이토 마코토[齊藤實]는 '문화의 발달과 민력(民力)의 충실'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이른바 문화정책을 실시하였다. 그 내용은 종전의 헌병 경찰 제도를 보통 경찰로 바꾸고, 총독의 무관 임명 제한을 철폐하며 언론·집회·출판의 자유를 어느 정도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 밖에 조선인의 관리 임용과 그 처우의 개선, 교육·산업·교통·위생·사회행정의 개선을 통한 국민생활의 안정과 복리의 도모, 지방자치 시행을 위한 조사 연구 착수 및 평의원회의 창립, 조선의 문화·관습 존중 등을 기본정책으로 내세웠다.
이 정책의 시행으로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한국어 신문의 발행과 몇 개 민족단체의 설립이 허가되었다. 그러나 이 정책은 통치 기술의 고도화에 불과한 것이었다. 보통 경찰의 수는 배로 늘었고, 헌병제도는 여전히 남아 민족운동에 대한 감시를 계속하였다. 언론 출판의 허가와 한글 사용의 허락도 총독부의 시정 방침을 널리 알리고 한국인의 움직임을 자세히 알기 위해 취해진 조치였다. 집회·결사의 허용 역시 한국인의 민족운동을 겉으로 드러내게 하여 놓고 통제하려는 목적에서 나온 것이었다. 또, 평의원회는 지방자치제를 실시한다는 명목으로 창립된 것이었지만, 사실은 친일적인 한국인을 식민지 통치 기구의 끝자리에 끌어 넣어 수탈을 더욱 눈가림하고 한국인의 불평을 막아보려는 교묘한 정책에서 나온 것이었다.
일제는 이러한 정책을 통하여 민족 지도자들을 친일파로 변절시키는 등 많은 한국인을 포섭하여 우리 민족을 이간시키고 민족분열을 조장하였다.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불황기에 접어든 일본 자본주의를 위한 새로운 식민지 경제 착취를 도모해 갈 수 있었다. 식민정책은 지배국가의 정치·경제적 사정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는 것이 당연하며, 문화정치란 결국 한국을 지배하던 일제의 경제적 수탈을 강화하기 위한 식민 통치 방식에 불과한 것이었다.
* 참고 자료
-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 (한국근현대사연구회 著)
- 안동의 독립운동사 (김희곤 著)
- 이야기 독립운동사 (박성수 著)
- 보충설명 : 인터넷 백과사전 등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1.0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90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