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의 성격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사회과 교육의 성격
2. 시민성 함양에 구성 요소
3. 내가 생각하는 꼭 필요한 구성요소
4. 수업에 있어서 멀티미디어활용
5. 효율적 수업의 조건과 방안

Ⅲ. 결 론

본문내용

다. 어려서부터 미디어가 사실을 전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우리의 생각을 일깨워 주어야 한다. 특히, 신문, 뉴스가 진실이라고 많은 사람들은 알고 있다. 하지만 이들 미디어, 매체 역시 가치관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학생들에게 인지 시켜주기 위한 방법으론 무엇이 있을까!? 비평매체의 활용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예전 MBC에서 “신강균의 사실을...” 이라는 프로가 그 남아 미디어의 뒷면을 볼 수 있는 프로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신강균과 담당PD의 뇌물수수혐의로 폐쇄되었다. 뒤이은 “뉴스플러스 암니옴니”란 프로도 미디어의 양면을, 그리고 각 미디어, 매체들의 가치관을 보여주는 프로로써 학생들이 시청하면 좋은 프로일 것이다. 그리고 KBS에 “시사투나잇”은 정보의 홍수에서 시청자들을 해방시킨다는 목표하에 본질에 더욱더 다가서려 한 프로이다. 이 프로에서 지금은 없어졌지만 나에 애창코너는 “헤딩라인뉴스”였다. 정치패러디로 현 정치를 풍자한 코너이다. 편중된 시각을 일깨워주고, 속이 시원한 코너라고나 할까? 그리고 마지막으로 YTN의 “돌발영상”이다. 프로 이름과 같이 편집작업을 거의 하지 않은 영상으로 미디어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꾸밈없이 보여줘 그 미디어 뒷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정치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프로로, 돌발영상을 뽑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미디어를 통한 교육뿐 만아니라, 직접 미디어를 들어 보는 것에서 미디어교육을 그 정점에 다다를 것이다.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그 효율적 수업을 할 수 있는 바탕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교수님이 말씀하신 그 일상화된, 미디어를 통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려는 것이 습관화 되면 더 이상 효과가 없어질 것이라는 것에 동의한다. 그렇다 좀더 본질적인 방법을 통한 학습자 흥미유발이 우리가 해결해야할 과제가 될 것이다.
이번 멀티미디어 보조 사회과 학습 수업을 통해 교생실습때 필요한 멀티미디어 활용과 멀티미디어를 통한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그리고 수업을 준비할 때 어떻게, 어떤 멀티미디어를 활용해야 할지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고, 이를 교생실습때 활용하여 수업해보았다. 이전 사회과 선생님의 강의식 수업에서, 모둠활동,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을 하니깐 학생들이 즐거웠다고 재밌었다고 말해주었다. 허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내가한 수업이 수업목표를 달성하였는지, 학생들에게 한 달간의 “쇼”가 되지 않았나 하는 걱정도 든다. 앞으로 준비해야 할 것이 많은 것 같다. 마지막으로 한 학기동안 수고하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면 글을 마친다.
※ 참고문헌
1. 스가야 아키코(2002).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 차경수(2000). 현대의 사회과교육. 학문사
3. 차경수(2000). 21세기 사회과 교육과정과 지도법. 학문사
4. 김만곤외 5인저(2002). 사회과 교육의 실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전국사회교사모임 대안사회분과 지음(2004). 주제가 있는 사회 교실. 돌베개
6. 김영채(1998). 사고력: 이론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2.0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