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혼모 복지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미혼모의 개념
2. 미혼모 발생원인

Ⅲ. 미혼모 문제의현황
1. 미혼모의 특징
2. 미혼모 문제

Ⅳ. 외국의 미혼모 복지정책
1. 덴마크
2. 독 일
3. 미 국
4. 스웨덴

Ⅴ. 한국의 미혼모 복지정책 및 서비스 분석
1. 법적․제도적 측면
2. 미혼모 복지 재정적 측면
3. 미혼모 복지 행정서비스 측면
4. 사회적 인식 측면

Ⅵ. 한국의 미혼모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개선방향
1. 법적․제도적 개선방안
2. 재정적 개선방안
3. 행정적 개선방안
4. 사회적 측면의 개선방안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각급 학교 교사, 부모나 보호자, 또는 성교육을 담당하게 되는 어른들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변화하는 성의식에 맞는 적절한 성교육을 실시하여 가정과 학교에서 청소년들이 어른들을 통해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어른들은 이들의 심리와 성욕구 및 행동을 이해하고 그들로 하여금 자신과 남을 존중하며, 자신과 남을 돌볼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어야 한다.
Ⅶ. 결 론
미혼모 문제는 더 이상 ‘무분별한 혼전 성행위’라는 도덕적인 잣대로 비판하고 덮어두어서는 안 되는 문제이다.
사회적으로 개방적인 성문화가 형성된 가운데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혼전 성행위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한국 사회 내에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으며, 비단 미혼모 문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의 사회적인 성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혼모와 같이 혼전 성행위를 하더라도 그 전부가 미혼모가 되는 것이 아니며 피임과 임신중절을 통해서 미혼모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미혼모가 되고 안 되고의 여부는 피임이나 임신중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고, 그러한 기회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에 많은 부분 영향을 받는 다고 할 수 있으며, 피임이나 임신에 대한 정보의 부족, 기회 접근가능성이 결여 되어 있을 때 미혼모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혼모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보다는 사회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에서는 당연히 존재하고 있는 미혼부의 책임과 존재는 없는 채 오직 미혼모만의 책임으로 혼자만의 무거운 짐을 지도록 강요하고 있는 현실이며, 미혼모에 대한 편견과 비판이 가득한 사회에서 미혼모는 혼자 그 책임을 진채 사회의 곱지 않은 시선을 감당하며 살아가야 한다.
실질적으로 사회적인 편견 속에서 미혼모들은 신체적인 고통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고통을 겪고 있으며, 사회적인 역할의 상실, 관계와 경제적인 어려움까지 감당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자혼자서 게다가 미혼모라는 낙인이 찍힌 채 아이를 키우는 일도 쉽지 않은 일이지만 아기를 가졌었다는 자체로서도 살아가기 힘든 이 사회이기 때문에 미혼모 문제는 낙태 문제로 자연히 이어지게 되고, 낳은 아기를 몰래 버리는 일까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미혼모 문제는 미혼모 개인만의 문제가 될 수 없으며, 사회적으로 해결해나가야 할 사회전체적인 문제이다.
특히 10대의 미혼모의 증가는 10대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올바른 성인식을 확립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못한 사회의 책임 또한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 미혼모의 문제를 덮어두거나, 여성만이 책임져야할 문제로 간주해서는 안되며 미혼모 또한 중요한 사회복지대상으로서의 인간다운 삶과 출생되어지는 생명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보호가 반드시 필요하다.
미혼모를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미혼모가 경제적인 이유로 자신의 아기를 키우지 못하고 어쩔 수없이 입양을 선택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적인 변화와 경제적 지원, 사회로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지역사회내의 서비스 등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복지적인 정책, 서비스의 개입에 우선하여 미혼모를 벼랑끝으로 내모는 사회적인 편견의식의 뿌리를 뽑는 일이 중요하며, 나아가 한 아이의 어머니로서의 삶을 지지해줄 수 있고, 도와 줄 수 있는 인식이 성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회적인식의 변화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미혼모에 대한 수용은 미혼모가 겪어야할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의 해결을 돕는 첫 단추가 될 것이며 ,1인의 사회복지 대상자로서 적극적인 복지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參 考 文 獻
< 단행본 >
김영모. (1981).『한국사회복지론』. 경문사.
김태진. (1999).『여성복지론』. 사회복지 개발 연구원
장동일. (2001).『한국사회복지법의 이해』.서울:학문사.
< 논 문 >
김주선. (2004). “한국 미혼모 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 행정대학원.
김혜수. (2002). “미혼모 복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단국대 행정법무대학원.
나은주. (2003).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 개입전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 정책과학대학원.
박은하, (2003), “미혼모와 미혼모 정책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대 대학원.
박인선, (1998).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적 접근”. 인터넷,
박인선, (2000). “미혼모의 사회적 문제와 대책” .「제 12회 낙반연 대안마련 가을정기세미나」.
손병주, (1990). “친권포기 미혼모와 아동에 대한 사회복지 서비스”,
안순덕 외, (1984),“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 여성개발원.
이금주, (1991). “한국의 미혼모 사회복지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 행정대학원 ,
이성형, (1990). “미혼모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허남순, (2002), “미혼모 복지의 발전방향”, 한림대,
홍길순, (1986). “미혼모 보호사업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대 사회개발대학원.
홍영수, (1998), “미혼모의 문제와 의료사회사업적 지원”, 사회복지 1998년 가을호
홍혜경. (2003). “한국 미혼모 복지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 행정법무대학원
< 기 타 >
박홍주 외, (1993). "미혼모 정책에 대한 여성학적 비판“,「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연구논집」, 제 25호.
보건복지부, (2001), 『보건복지 통계연보』, 보건복지부.
서울시부녀복지연합회 ,(1996),『한국 미혼모 복지의 현황과 발전방향』, 서울시 부녀복지 연합회.
보건복지부 여성보건복지과,(2002),『모자복지시설현황』,보건복지부.
한국여성개발원,(1984),『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마리아성모원 내부통계 자료 (2000)
한국여성의전화연합 , 2004년 8월 28일 (http://www.dspress.org/news/view.php?id=700)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6.03.22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1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