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DMB와 지상파DMB의 분석 및 향후전망(A+레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성DMB와 지상파DMB의 분석 및 향후전망(A+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Ⅱ.본문
1.DMB의 이해
1-1.DMB의 개념정의
1-2.DMB 컨텐츠의 특성
1-3.위성DMB란?
1-4.지상파DMB란?
1-5.위성DMB와 지상파DMB의 비교
2.위성DMB의 개요
2-1.위성DMB 네트워크
2-2.위성DMB의 연혁
2-3.위성DMB의 특성
2-4.위성DMB 서비스 현황
3.지상파DMB의 개요
3-1.지상파DMB 네트워크
3-2.지상파DMB 기술 소개
3-3.지상파DMB의 특성
3-4.지상파DMB 개발현황
4.DMB 시장의 현황
5.DMB폰의 특성 및 유형
6.향후전망

Ⅲ.맺으며

참고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기다리거나 이동통신사를 옮겨야 한다.
(3) 서비스 요금과 서비스의 질에 따른 가이드
서비스 요금은 위성DMB가 가입비 2만원, 월 정액 13000원이고 지상파DMB는 무료이다. 지상파DMB는 한 번 단말기를 사면 원래 내고 있던 이동통신요금 이외에 따로 요금이 추가되지 않는다. 그럼 위성DMB는 요금만큼 서비스의 질이 높은 것인가? 지금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다. 우선 SKT는 방송사업에 이제 진출한 것이 되므로 콘텐츠 면에서 지상파DMB에게 오히려 낮게 평가되고 있다. 더군다나 지상파방송 재송신이 허용되지 않아 그런 평가는 더욱당위성을 갖게 된다.
더 앞을 내다보면 지상파DMB는 광고수익이 가능한 이용자확보 즉 크리티컬 매스 포인트 까지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업계에서는 그때까지 신규프로그램제작이 어렵다는 입장이고 위성DMB는 영상채널이 많고 SKT가 여러 엔터테인먼트사에 지분을 참여하고 있어 앞으로의 콘텐츠 확보에는 전망이 좋다.(이만제, 2005) 그러나 단말기 가격과 가입비 2만원 월 정액 13000원을 내면서 이 전망을 기다리는 것은 무리가 있어보인다.
(4) 앞으로의 가능성
위에서는 시장초기에 DMB구입에 관하여 알아본 것이다. 그러나 시장초기의 구입은 역시 그만큼 위험이 따른다. 앞으로의 전망이 불확실 할 뿐더러 단말기의 기능적 문제도 감수해야 한다. 그럼 DMB폰 선택을 미루고 앞으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어떤것들은 고려해야 할지 알아보자.
- DMB폰 보조금 지급 허용
- 위성DMB와 지상파DMB 겸용 폰 출시
- 위성DMB 공중파 방송 재송신 허용
- 위성DMB와 지상파DMB의 콘텐츠 질
- 지상파DMB 부분유료화
- 지상파DMB의 방송지역 확대
- DMB폰 단말기의 기능적 문제해결 (베터리, 수신률)
- 단말기 수요 증가에 따른 단가 하락
- 지상파DMB와 휴대용인터넷(Wibro)의 연계
6.향후전망
이동수신만 하면 된다는 소비자의 입장에선 하나의 DMB만 존재해도 될 것 같지만,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을 다른 나라에게 뺏기는 것보다는 먼저 선점해서, 보다 많고 다양한 채널을 확보해서 더욱 많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보다 앞선 기술을 먼저 개발하여 국가경쟁력을 키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측면에서도, 지상파 DMB와 위성 DMB 모두 먼저 기술개발에 앞서 나가야할 것이다. 그래서, 현재 유럽의 이동수신 방식인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devices) 또한 정보통신부에서 복수표준으로 '순차적 도입'방침을 주장하고 있다.
서비스 내용면에서 봐도, TV를 보는 사람들도 케이블에서 제공하는 특화된 채널인 뉴스전문채널, 게임전문채널, 만화전문, 스포츠전문, 요리, 여행, 종교 등을 원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방송 3사에서 제공하는 드라마, 오락, 뉴스, 교양프로그램만을 보는 사람도 있다. 즉, 이동하면서, 지상파 DMB의 방송 3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혹은 뉴스전문채널 YTN같은 특화된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며, 위성 DMB의 지상파 DMB에서 하지않는, 보다 특화된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받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이 주어지는 방향으로 기술 발전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위성 DMB폰에 있어 판매 보조금 허용은 시험서비스를 통해 ‘걸음마’를 시작한 위성 DMB의 시장활성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위성 DMB 단말기시장은 보조금이 허용되면 올해 30만∼50만대 이상 판매돼 4800억원의 시장을, 2006년에 120만대를 팔아 1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런 시장활성화는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중인 ‘IT839 전략’의 신성장동력 육성전략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내수시장에서 위성 DMB산업이 조기 안착하면 일본 등 해외시장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것도 보조금의 후방효과로 꼽혔다.
위성 DMB폰에 보조금을 지급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초기 시장활성화다. 방송수신과 통신기능을 단말기 하나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종 첨단 기술이 적용되기 때문에 단말기 가격이 상승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런 비싼 단말기는 십중팔구 소비자로부터 외면당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시장확대는 물건너갈 게 뻔하다. 위성 DMB폰이 대량 판매되기 위해서는 최소 70만원대 이하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Ⅲ.맺으며
위성 DMB와 지상파 DMB는 처음 도입결정 당시에는 경쟁구도를 생각한 것이 아닌 상호보완구도를 생각하였다. 지금도 많은 관련자들이 경쟁구도가 아닌 상호 보완구도로 가야한다고 주장한다. 즉 DMB시장 전체의 파이키우기가 급선무이란 것이다. 하지만 현 상황에서는 위성DMB와 지상파DMB 관련업체들이 DMB사업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전략을 쓰고 있다. 이 가운데 정부는 어느 확실한 선을 긋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DMB가 제대로 서비스 되려면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애당초 무료로 서비스하기로 했던 지상파 DMB는 일부 예비 사업자를 중심으로 유료화 움직임을 보이고 위성 DMB도 지상파 재송신 즉 지금의 유선방송처럼 기존 방송 프로그램을 재방송으로 내보내는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도 있고 이 밖에 배터리 문제도 사실 시급하다. 휴대폰과 같은 조그만 기기로 고화질, 고음질의 멀티미디어 방송을 몇 시간 동안 시청하려면 지금의 배터리로는 감당하기 어렵다. 현재 출시된 위성 DMB폰도 연속 시청시간이 2시간 안팎으로 아직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다.
이에 우리는 소비자로써 DMB선택에 관하여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칫 섣부르게 선택하였다가는 비싼 단말기 가격과 서비스 요금등의 희생을 치르게 될 것이다.
참고자료 및 사이트
송해룡. 2003. 디지털미디어, 서비스 그리고 콘텐츠. 서울: 다락방.
강상현. 2000. 방송의 디지털화와 공영방송의 매체전략. 방송연구
김영석. 2001.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최성진, 2004, 위성 DMB 사업자 선정과 서비스 방향
임은모, 2005, DMB세상 이정도는 알아야한다, 진한엠엔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1.1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9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