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ulse oximetry>
<심전도>
<심율동전환기>
<nebulizer>
Emergency Kit
․심폐소생술과 간호
인공호흡기
․Shock환자간호
<심전도>
<심율동전환기>
<nebulizer>
Emergency Kit
․심폐소생술과 간호
인공호흡기
․Shock환자간호
본문내용
(1) 기도개방 유지, 산소 투여(6-10 리터/분 per mask, nasal prong)
(2) 정맥선 개방 유지(I-V line) : D5W, Ringer Lactate sol, 0.9% NaCl
(3) Epinephrine : 0.3-0.5ml of 1:1000 SQ or IM
(4) antihistamin제 : Benadryl 25-50 mg IM/IV,
(5) Cortisosteroid제 : Dexamethason
(6) Cardiac Monitoring, EKG
(7) 활력 증후 : 5분 간격
2) 저혈량 쇼크(hypovolemic shock)
(1) 기도개방 유지, 산소 투여 (6-10리터/분 nasal prong, mask, intubation).
(2) 체위 : 다리 올림 (Never Trendelenburg position, Lithotomy position).
(3) Cardiac monitoring, 12-lead EKG
(4) I-V line 개방 유지 : start IV fluid(수액)
(5) 출혈 부위 압박 가함 -출혈정지 위함
(6) 혈액 검사: CBC, BUN, sugar, coagulation, type & cross-match if blood loss (7) 활력증후 : 15분 간격
(8) 유치 도뇨관 삽입: 소변량/ SG/PH 1시간 간격
(9) 중심정맥압 sets 준비
(10) 안전: 손상 방지 위해 padding on bed side-rail
(11) 오한 방지 위해 -가벼운 bed-sheet로 덮어줌
3) Septic shock
(1) 기도개방 유지, 산소 투여, 심폐기능 유지
(2) cardiac monitorin, EKG
(3) 처방에 의해 steroid 제 투여
(4) I-V line 개방 유지: 혈류량 부족시 수액요법 제공
(5) 혈액 배양 검사: 20분 간격으로 3회
(6) 유치도뇨관의 삽입 및 소변량/비중/산도 점검 every 1hour.
(7) protect patient from injury
4) Cardiogenic shock
(1) 심페소생술(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f cardiac arrest has occurred).
(2) 100 % 산소를 지속적으로 투여
(3) 처방에 의한 디지털리스 및 부정맥 교정을 위한 약물 투여
(4) 이뇨제 투여
(5) 혈압상승제 투여
(6) 심전도 부착
(7) 유치도뇨관 삽입 및 소변량/비중/산도 점검
(8) Swan Ganze catheter 준비
(9) 수분, 전해질, BUN, 소변검사, 응고검사, 동맥혈 가스 분석(ABGA)
(10) 손상으로부터 환자를 보호
5) Neurogenic shock
(1) 환자의 체위: 머리의 위치는 심장의 위치 또는 심장의 위치와 유사한 수준
(2) 환자의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나 열을 가하지는 않는다.
(3) 환자가 손상당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동맥혈 가스분석(ABGA:목적, 방법, 정상치 및 임상적 의의)
·중심정맥압 측정(CVP: 목적, 방법, 정상치 및 임상적 의의)
1.목적
전신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을 말하며 말초정맥을 통하 여 카테터를 우심방내에 삽입한 후 그곳에서의 압력을 측정한다. 중심정맥압은 심장의 수축력을 의미하며 특히 우심방의 기능 상태를 직접 반영한다.
① 우심실의 기능을 알 수 있다.
② 혈액양과 심장능력 간의 관계를 반영한다.
③ 쇽의 상태나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다.
④ 울혈성 심부전의 초기진단에 사용한다.
⑤ 투약이나 수액요업의 한 과정으로써 순환계의 능력을 직접 평가할 수 있다.
⑥ 혈액검사나 phlebotomy시 혈액을 뺄 수 있다.
⑦ 심장내 전극삽입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2.방법
-준비물품
·정맥압 Tray, 정맥절개 Tray, 수액/수액세트와 CVP압력계
·Heparine flush system/압력백(transducer 사용시)
·IV pole, Arm board(전박 압박시)
·멸균드레싱/반창고
·가운, 마스크, 캡과 멸균장갑
·ECG monitoring
·Carpenter's Level(0 point를 설정하기 위해)
-절차(CVP 측정)
① 편안한 체위를 위해준다. 이는 계속되는 판독을 위한 기본체위이다.
② 우심방 높이에 압력계의 눈금을 0으로 맞춘다.
③ IV수액이 압력계의 약 20~25cm높이까지 차게 한 후 마개를 잠근 후 수액이 환 자에게 흐르도록 마개를 돌린다.
④ 압력계에 있는 수액의 높이의 하강을 관찰한다. 수액이 안정되거나 밑으로 움 직이는 것이 중단될 때의 높이를 기록한다. CVP와 체위를 기록한다.
⑤ CVP catheter는 transducer에 연결할 수 있느며 전기적 감지기는 CVP wave를 판독한다.
⑥ CVP 범위는 5~12cmH2O이다.
⑦ 환자의 상태를 사정한다. 수치의 잦은 변화는 수액량의 결정과 저혈량 또는 고 혈량 상태를 파악하는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⑧ 환자에게 수액이 공급되도록 마개를 돌린다.
-추후관리
·합병증을 관찰한다.
- 카테터 삽입 : 기흉, 혈흉, 공지색전, 혈종과 심장압전
- 카테터 유지 : 감염, 공기색전
·삽입부위를 관찰하며 멸균법을 지킨다.
- 하루에 2번 국소침윤, 정맥염에 대해 관찰한다.
- 드레싱을 교환한다.
- 교활일, 시간을 표시한다.
- 카테터가 제거되면 끝을 박테리아검사를 위해 검사실로 보낸다.
3.정상치 및 임상적 의의
정상 중심정맥압은 보통 5-10cmH₂O이며 5cmH₂O이하의 중심정맥압은 출혈 이나 기타원인으로 순환혈량이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과중한 수액 을 주입했거나 대상자가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이 있을때는 중심정맥압이 상승된다.
15cmH₂O이상의 중심정맥압상승은 우심장의 과부담을 의미하며 이때는 경정 맥의 울혈상태를 눈으로 관찰함으로써 정맥압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숙력되지 못한 간호사가 압력계로 정맥압을 재는 것보다는 경정맥압을 시진으로 측정하는 편이 더 정확할 경우가 있다.
(2) 정맥선 개방 유지(I-V line) : D5W, Ringer Lactate sol, 0.9% NaCl
(3) Epinephrine : 0.3-0.5ml of 1:1000 SQ or IM
(4) antihistamin제 : Benadryl 25-50 mg IM/IV,
(5) Cortisosteroid제 : Dexamethason
(6) Cardiac Monitoring, EKG
(7) 활력 증후 : 5분 간격
2) 저혈량 쇼크(hypovolemic shock)
(1) 기도개방 유지, 산소 투여 (6-10리터/분 nasal prong, mask, intubation).
(2) 체위 : 다리 올림 (Never Trendelenburg position, Lithotomy position).
(3) Cardiac monitoring, 12-lead EKG
(4) I-V line 개방 유지 : start IV fluid(수액)
(5) 출혈 부위 압박 가함 -출혈정지 위함
(6) 혈액 검사: CBC, BUN, sugar, coagulation, type & cross-match if blood loss (7) 활력증후 : 15분 간격
(8) 유치 도뇨관 삽입: 소변량/ SG/PH 1시간 간격
(9) 중심정맥압 sets 준비
(10) 안전: 손상 방지 위해 padding on bed side-rail
(11) 오한 방지 위해 -가벼운 bed-sheet로 덮어줌
3) Septic shock
(1) 기도개방 유지, 산소 투여, 심폐기능 유지
(2) cardiac monitorin, EKG
(3) 처방에 의해 steroid 제 투여
(4) I-V line 개방 유지: 혈류량 부족시 수액요법 제공
(5) 혈액 배양 검사: 20분 간격으로 3회
(6) 유치도뇨관의 삽입 및 소변량/비중/산도 점검 every 1hour.
(7) protect patient from injury
4) Cardiogenic shock
(1) 심페소생술(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f cardiac arrest has occurred).
(2) 100 % 산소를 지속적으로 투여
(3) 처방에 의한 디지털리스 및 부정맥 교정을 위한 약물 투여
(4) 이뇨제 투여
(5) 혈압상승제 투여
(6) 심전도 부착
(7) 유치도뇨관 삽입 및 소변량/비중/산도 점검
(8) Swan Ganze catheter 준비
(9) 수분, 전해질, BUN, 소변검사, 응고검사, 동맥혈 가스 분석(ABGA)
(10) 손상으로부터 환자를 보호
5) Neurogenic shock
(1) 환자의 체위: 머리의 위치는 심장의 위치 또는 심장의 위치와 유사한 수준
(2) 환자의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나 열을 가하지는 않는다.
(3) 환자가 손상당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동맥혈 가스분석(ABGA:목적, 방법, 정상치 및 임상적 의의)
·중심정맥압 측정(CVP: 목적, 방법, 정상치 및 임상적 의의)
1.목적
전신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을 말하며 말초정맥을 통하 여 카테터를 우심방내에 삽입한 후 그곳에서의 압력을 측정한다. 중심정맥압은 심장의 수축력을 의미하며 특히 우심방의 기능 상태를 직접 반영한다.
① 우심실의 기능을 알 수 있다.
② 혈액양과 심장능력 간의 관계를 반영한다.
③ 쇽의 상태나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다.
④ 울혈성 심부전의 초기진단에 사용한다.
⑤ 투약이나 수액요업의 한 과정으로써 순환계의 능력을 직접 평가할 수 있다.
⑥ 혈액검사나 phlebotomy시 혈액을 뺄 수 있다.
⑦ 심장내 전극삽입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2.방법
-준비물품
·정맥압 Tray, 정맥절개 Tray, 수액/수액세트와 CVP압력계
·Heparine flush system/압력백(transducer 사용시)
·IV pole, Arm board(전박 압박시)
·멸균드레싱/반창고
·가운, 마스크, 캡과 멸균장갑
·ECG monitoring
·Carpenter's Level(0 point를 설정하기 위해)
-절차(CVP 측정)
① 편안한 체위를 위해준다. 이는 계속되는 판독을 위한 기본체위이다.
② 우심방 높이에 압력계의 눈금을 0으로 맞춘다.
③ IV수액이 압력계의 약 20~25cm높이까지 차게 한 후 마개를 잠근 후 수액이 환 자에게 흐르도록 마개를 돌린다.
④ 압력계에 있는 수액의 높이의 하강을 관찰한다. 수액이 안정되거나 밑으로 움 직이는 것이 중단될 때의 높이를 기록한다. CVP와 체위를 기록한다.
⑤ CVP catheter는 transducer에 연결할 수 있느며 전기적 감지기는 CVP wave를 판독한다.
⑥ CVP 범위는 5~12cmH2O이다.
⑦ 환자의 상태를 사정한다. 수치의 잦은 변화는 수액량의 결정과 저혈량 또는 고 혈량 상태를 파악하는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⑧ 환자에게 수액이 공급되도록 마개를 돌린다.
-추후관리
·합병증을 관찰한다.
- 카테터 삽입 : 기흉, 혈흉, 공지색전, 혈종과 심장압전
- 카테터 유지 : 감염, 공기색전
·삽입부위를 관찰하며 멸균법을 지킨다.
- 하루에 2번 국소침윤, 정맥염에 대해 관찰한다.
- 드레싱을 교환한다.
- 교활일, 시간을 표시한다.
- 카테터가 제거되면 끝을 박테리아검사를 위해 검사실로 보낸다.
3.정상치 및 임상적 의의
정상 중심정맥압은 보통 5-10cmH₂O이며 5cmH₂O이하의 중심정맥압은 출혈 이나 기타원인으로 순환혈량이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과중한 수액 을 주입했거나 대상자가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이 있을때는 중심정맥압이 상승된다.
15cmH₂O이상의 중심정맥압상승은 우심장의 과부담을 의미하며 이때는 경정 맥의 울혈상태를 눈으로 관찰함으로써 정맥압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숙력되지 못한 간호사가 압력계로 정맥압을 재는 것보다는 경정맥압을 시진으로 측정하는 편이 더 정확할 경우가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공조방식(건축설비)
- 중환자실 CASE STUDY
- 중환자실(icu)실습레포트
- 중환자실 자료
- 내과중환자실 case study(miliary TB)
- 장애인 복지론 에서 나오는 편의시설 및 장애인보조기구에 대해서 발표용으로 부탁해요
- 실과 교육 시설 설비
- 보육시설 운영관리 - 운영관리의 개념과 원리, 운영관리의 영역, 인적 자원관리의 의의, 교직...
- 중환자실(ICU) 책임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수간호사(Head Nurse)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
-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 중환자실 (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 [소방학] 비상콘센트 설비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