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역사 (개항이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항기의 부산
1) 근대 학교의 설립
① 개성(開成)학교의 개교
②부산 진 일신(日新)여학교의 개교

2. 일제시대의 부산
1) 도시기반 시설 조성
① 전차시설
② 수도시설
③ 항만시설 * 영도대교
2) 부산의 독립운동
① 부산의 3.1 운동
② 부산의 독립운동과 독립운동 단체
③ 부산의 항일투사

3. 광복 이후의 부산
1) 주요사건
① 부산의 4.19
② 부마항쟁

본문내용

산진구, 동래구)가 설치되었다.
1963년 1월을 기하여 정부 직할시로 승격으로 제3차 행정구역이 확장되어 동래군의 구포읍과 사상, 북면, 기장읍, 송정리를 편입하여 6구, 7출장소(대연, 사상, 사하, 북면, 수영, 구포, 해운대) 136동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부산은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여 1960년 중반 부산의 인구는 광복 당시보다 무려 5배 증가한 150만명에 시역이 373.23㎢로 확장됨으로써 대도시 특유의 기능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1978년에는 제4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낙동강 삼각주의 대부분 지역인 김해군 대저읍, 가락면, 명지면 등이 시역으로 편입되면서 면적은 432.32㎢로 늘어났고, 1989년에는 제5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인구 400만을 수용하는 세계적 도시로 발전하여 국제도시의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그 시역은 경남 김해군 가락면과 녹산면 그리고 창원군 천가면 등으로 확대되어 면적 525.95㎢로 거대도시의 면모를 보여주게 되었다.
아울러 행정구역도 1975년에는 남구, 1978년에는 북구, 1980년에는 해운대구, 1983년에는 사하구, 1988년에는 금정구, 1989년에는 강서구가 설치되어 12구로 늘어났다. 한편, 1995년 1월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3월 제6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기존의 동래구를 분구하여 연제구를, 남구를 분구하여 수영구를, 북구를 분구하여 사상구를 신설하였다. 또한 양산 동부 5개 읍면인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 등을 편입시켜 기장군에 편제하였고, 진해시 웅동 2동 일부를 강서구 녹산동에 편입되면서 면적은 749.17㎢로 확장되었다. 1998년 1월 현재 면적은 750.90㎢로서 전국의 0.75%를 차지하고 있다.
1) 주요사건
① 부산의 4.19
부산의 시위는 1960년 3월 25일 부산 동성중학, 데레사여고, 경남공고, 혜화여고 등의 시위를 필두로 연일 이어졌다. 이러한 가운데 널리 알려진 대로 4월 11일 2차 유혈시위가 발생했다. 그리하여 4월 18일에는 동래고등학교생 등 부산 각지에서는 부정선거 규탄데모를 대대적으로 전개했다. 4월 19일 부산 동아대생을 비롯한 경남공고생 등 2만여명이 시위를 전개했다. 이러한 시위는 전국의 주요도시에서 연일 전개되어 마침내 '승리의 화요일'을 맞았다.
② 부마항쟁
1979년 5월 3일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민주회복'의 기치를 든 김영삼이 총재로 당선된 후 정국은 여야격돌로 더욱 경색되었다. 이어 9월 8일 김영삼에 대한 총재직 정치 가처분 결정. 10월 4일 김영삼의 의원직 박탈 등 일련의 사건이 발생함으로써 유신체제에 대한 야당과 국민의 불만이 크게 고조되었다. 그러한 가운데 10월 13일 신민당 의원 66명 전원이 사퇴서를 제출하였으나 공화당과 유정회
) 유신헌법에 따라 대통령의 추천으로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된 전국구 국회의원들이 구성한 원내교섭단체
합동조정회의에서 '사퇴서 선별수리론'이 제기되어 부산 및 마산 출신 국회의원들과 그 지역의 민심을 크게 자극하였다. 김영삼의 정치적 본거지인 부산에서는 10월 15일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선언문이 배포되고, 16일 5000여 명의 학생들이 시위를 주도, 시민들이 합세하여 대규모 반정부시위가 전개되었다. 시위대는 16,17일 이틀 동안 정치탄압 중단과 유신정권 타도 등을 외치며 파출소, 경찰서, 도청, 세무서, 방송국 등을 파괴하였고, 18일과 19일에는 마산 및 창원 지역으로 시위가 확산되었다. 이에 정부는 18일 0시 부산 지역에 비상명령을 선포하고 1058명을 연행, 66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했으며, 20일 정오 마산 및 창원 일대에 위수령
) 육군 부대가 한 지역에 계속 주둔하면서 그 지역의 경비, 군대의 질서 및 군기 감시와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정된 대통령령
을 발동하고 군을 출동시켜 505명을 연행하고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하였다. 비록 시위는 진정되었으나, 26일 대통령 박정희가 사망함으로써 유신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최해군, <부산에 살으리랏다>, 부산을 가꾸는 모임, 2000
강대민, <부산 역사의 산책>, 한국학연구소, 1997
부산대 민족문화연구소, <부산의 역사와 문화>, 부산대 출판부, 1998
<내고장전통가꾸기>, 부산직할시, 1982
<내고장의 미 찾기-부산 경남편>, 한국이동통신 부산지사, 1998
http://life.metro.busan.kr
부산광역시청
http://www.pusaninfo.net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3.3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