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흥선대원군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흥선 대원군의 정책
1)국내정책
2)국외정책

Ⅲ . 흥선 대원군에 대한 평가


Ⅳ. 결론

본문내용

목표로 삼고 원정했으나 결국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이 원정은 미국이 포함외교에 의해 해결하려고 하는 정치적 의도가 적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대원군은 국가의 존립을 지켜왔다고 볼 수 있다. 대원군은 신미양요를 국가의 존립(存立)을 위협하는 대사건으로 간주하여 온 국력을 동원하여 양이 격퇴에 진력을 다하였고 그들의 무력적(武力的) 행사(行事)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끝내 국가의 존립을 지킨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조선 원정의 주목적인 조선 개항이 실패로 끝남에 따라 미국 뿐만 아니라 모든 유럽 열강(列强)의 위신이 실추되었다는 인상을 조선인에게 심어주었으며, 조선과의 통상(通常) 교역관계(交易關係) 수립(樹立)의 좌절로 인하여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미국의 대외무역팽창정책(對外貿易膨脹定策) 또한 좌절되고 말았던 것이다. 최경자, 前揭書, p.45 13~17
그러나 신미양요로 인한 조선의 피해는 어마어마했다. 신미양요로 인해 희생된 조선군 전사자는 총 350명으로 집계되었고 부상당하여 포로가 된 수는 약 20명이었으나 미군의 사상자는 전사 3명, 부상 10명 뿐이었다. 이처럼 수치화 된 결과로 본다면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였던 미군의 보복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성공을 거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서구세력이 군사 종교 경제적으로 국내에 침투하여 현존하였으니 조선에는 자문화와 자국에 대한 위기의식이 더욱 고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왕조의 대응은 서양제국에게 문호를 개방하고, 외교관계를 설정하고, 신문명을 흡수 토착화하여 그것을 조선의 방식대로의 발전을 꾀하고, 국가의 안위를 도모하는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외교정책을 취하던가, 아니면 철저한 쇄국으로 침입의 기회를 노리고 있는 외부 세력을 경계하고 외세의 침입을 봉쇄하여 저지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을 뿐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원군이 철저한 쇄국정책을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은 한말의 위기상황 속에서 조성된 화이의식(和易意識) 화이의식(和易意識): 주변 국가에 대한 한족(漢族)의 전통적인 우월주의 의식.
으로, 양미(洋美)와 양화(洋貨)와의 접촉을 의식적으로 배격했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정책결정의 계층이 유교윤리에서 생성된 보수적 정치 문화로 깊게 물들여져 있었기 때문에 정통화된 배외 쇄국주의를 혁신정책으로 변모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했을 지도 모른다.
Ⅳ. 결론
흥선 대원군은 봉건국가와 근대사회의 과도기인 19세기 중엽 집권하면서 안동김씨 일파의 세도아래 무너져 가는 왕권과 왕실을 다시 굳건히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민란을 예방하고 진압하였으며 복고주의적이지만 조선방식대로의 개혁정치를 펼쳤다. 또한 제국주의 열강의 무력침략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아 그 나름의 방법대로 그 책임을 다하였다.
물론, 그의 성공적인 정책만을 부각시킨다거나 그에 대한 분석을 할 때 긍정적인 측면에서만 바라보는 것도 문제가 있다. 그의 왕권강화의 의지는 무리한 경복궁 중건에서 볼 수 있듯이 미래를 향한 발전이 아닌 과거로의 회귀(回歸)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였으며, 그는 국가의 존립을 위해 국가의 존재 원인이자 국가의 근본인 백성들을 고통과 경제난에 시달리게 만드는 등의 모순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흥선 대원군은 흔히 그에 대해 정의내리는 말이자 그가 시행하였던 정책들 중 가장 큰 과업으로 평가되는 지나친 쇄국정책으로 조선의 근대화를 늦추게 만든 장본인이다. 따라서 시대의 낙오자, 업적지향적 정치가, 위정자 등이 주로 흥선 대원군 앞에 붙는 수식어들이다.
그러나 대원군은 제국주의 국가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억지로 조선의 문을 개방하고 침략하여 식민지화하려는 그들의 의도를 간파하였기에 쇄국양이 정책을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그가 정치적, 경제적으로 혼란스러웠던 국가체계를 재정비하여 조선을 이끌고 나가야 하는 막대한 임무를 지니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그에 대한 지나친 비판을 삼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사 료
黃 玹, 『梅泉野錄』 卷一上, 서울, 亞細亞文化史『黃玹全集』(下) 1978
國史編纂委員會編, 『高宗實錄』
2. 서 적
학원출판공사, 최신학생대백과사전, 1998
이선근, 「韓國史」(최근세편), 을유문화사, 1969
유홍렬, 「한국 천주교회사」, 카톨릭출판부, 1962
李瑄根 「大院君의 政治」 『韓國史』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75
3. 논 문
안외순, 「대원군집정기(1864~1873) 정치적 지배세력에 대한 연구-중앙당상관의 구성과 성격을 중심으로」(이화여대 1989년도 석사학위청구논문), 1990
최경자,「興宣 大院君의 鎖國政策에 대한 一硏究」1987
채상식, 「興宣 大院君의 政治改革과 天主敎禁壓,」1986
김원모, 「미국의 조선원정과 제 1차 韓 美戰爭(1871)」(단국대 동양학8, 1978)
논 문 개 요
19세기 후반 조선사회는 전통적 지배체제가 무너져가고 있었으며 서구열강은 수호 통상을 요구하며 조선을 엿보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집권한 흥선 대원군 이하응은 왕권강화와 외적으로부터 조선의 수호를 목표로 자신의 개혁정치를 추진해 나아갔다.
그는 중앙에서는 자신 이전의 안동 김씨 일파의 세도정치로 무너진 왕과 왕실의 권위를 다시 높이 세워야했고, 백성들을 괴롭히는 탐욕스러운 관리들이 비일비재한 지방도 다시 강력해진 국왕의 힘으로 태평하게 해야 했다.
그는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인사를 쇄신하고 왕권에 도전적이었으며 백성들을 핍박하는 배경이 되었던 대부분의 서원을 철폐하였고, 행정과 군사의 구심점으로 기능하여 왕권을 약화시키고 있었던 비변사를 폐지하였다. 또한, 경복궁을 중건하고 환곡제를 폐지하고 사창제를 실시하는 등의 정책들을 실시하였다.
그는 국외정책으로는 서세동진의 거센 물결이 들어올 경우 민족의 생존권마저 흔들리게 될 것이라는 위기의식 속에서, 국가와 민족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쇄국정책을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게다가 천주교의 전파로 인하여 주자학적인 기존 신념 체계가 흔들리게 되었고 프랑스와 미국의 원정으로 일어난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에서의 대원군의 승리는 더욱 쇄국의 정책을 감행해 나갈 수 있게 하였던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4.09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5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