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가 구곡가 어부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육가 구곡가 어부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ꊱ 서론

ꊲ 육가, 구곡가, 어부가의 개념과 특성
- 향유층과 사상의 차이를 중심으로

ꊳ 육가, 구곡가, 어부가의 공통점

ꊴ 육가, 구곡가, 어부가의 차이점

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지에 이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악장가사 <어부가>를 본 후로 그 동안 부르던 한시를 모두 버리고 <어부가>를 산개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그가 노래를 통해 얻고자 한 것은 성정의 호활(浩闊)함 이었는데 <어부가>가 적합하다고 인식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개작한 <어부가>에서 보여준 세계는 홍진이나 부귀공명과 대척되는 강호의 소활함에 역점을 두었고, 두 세계 사이의 갈등을 어느 정도 표출하고 있다. 강호와 현실이 빚어내는 갈등의 과정이 노정되어 개인적 심회를 완곡하게 표현하고 있다. 또한 서정자아가 강호생활로부터 얻는 감흥에 중심을 두어, 만물의 천리에 조응하는 자아의 순선한 내면을 강조하지 않는다. 인욕을 벗어 던진 공간이 강호이지만, 이 강호가 흥기하는 생활의 여유와 풍류에 더 관심을 집중한다고 할 수 있다.
5 결론
조선 전기는 유교적 악론이 수용되어 사대부 시가의 공효로 정립되는 과정에 있었다. 그러나 공효로 인정하는 것과 생활의 당위나 원칙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사실 개인에 따라 혹은 시기적 흐름에 따라 별개의 문제였다고 할 수 있다. 즉 유교적 악론은 국가의 이념으로 수립하였으되 한 번에 저변화 되거나 내면화되는 것도 아니었고, 모든 사대부들이 생활의 당위로 절감했던 것도 아니었다는 점이다.
16세기에는 사대부들의 시조와 가사작품이 많이 창작되었다. 그야말로 사대부적인 색채의 노래들이 형성되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강호자연이 사대부 시가의 세계로 정립되었으며, 사대부적 풍류가 묘사되거나, 오륜가류 노래가 창작되었다.
이황의 <도산십이곡>, 이이의 <고산구곡가>는 성정미학의 전범을 보여주어 유교적 악론의 원칙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유교적 이념의 세계를 직설하여 삶의 좌표를 제시하거나, 자연에서 이치를 찾고 유학자로서의 생활 자세를 긍정하며, 세계와 완전한 동화를 이루어 서정자아의 갈등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세계와 나 사이의 갈등이나 모순을 의도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서정자아의 정감 표현이 극도로 배제되어 있는 상태의 순선한 성정을 지향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이현보의 <어부가>는 강호와 속세라는 대립 구도 속에서 강호를 선택한 자부심을 그리면서도 속세에 대한 미련과 갈등을 노출하여 심리적 완충이나 정감의 정화로서 노래를 표현하는 경향이 강하다. 정감 정화와 양성정을 절충하여 희로애락의 심리적 진폭을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심리적 갈등의 해소가 강호 자연 생활의 흥취를 강조하는 속에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사대부들은 음악이 자신들이 준수하는 도학적 이념과 그 탐구의 차원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에 놓이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성정미학을 보여준 사림들의 시가는 아주 특별한 위상을 지니고, 전범의 역할을 했다. 사대부 시가의 대부분은 이현보가 보여준 정감 분출과 흥취 고조에 가까웠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육가계 시조, 구곡가계 시조, 어부가계 시조를 통해 조선 전기의 시조와 향유층인 사대부의 인식을 살피면서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분명한 것은 그들의 시가에 대한 고민과 연구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와 지금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길진숙,「조선 전기 시가예술론의 형성과 전개」, 소명출판, 2002.
이민홍,「朝鮮朝 詩歌의 理念과 美意識」,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3.
이이,『栗谷全書』,『한국문집총간』44·15, 1988.
이현보,『壟巖集』,『한국문집총간』21.
이형대,「한국 고전시가와 인물형상의 동아시아적 변전」, 소명출판, 2002.
이황,『退溪集』券四十三, 陶山十二曲跋.
조동일,「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4.
최재남,「서정시가의 인식과 미학」, 보고사, 2003.

키워드

육가,   어부가,   구곡가,   이이,   이황,   사대부시가,   조선,   사림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5.17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