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여립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일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여립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일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그는 왜 전라도의 신화가 되었는가?

3. 조선호 침몰 직전의 위기에 놓이다!

4. 망할 조짐을 보다!

5. '못난 임금, 잘난 신하' (鄭汝立의 사상1 - 사회변혁사상)

6. 모두가 잘 살수는 없는 것인가? (鄭汝立의 사상 2 — 대동계)

7. 나오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조선조의 광주사태’로 재평가
신정일,지워진 이름鄭汝:조선조의 광주사』, 기축옥사의 재조명, 가람기획(2000)에서는 이를 부제로 이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은 신정일에 의한 독창적인 표현이 아니라 김용덕 교수의 논문에서 사용된 표현을 인용한 것으로 생각 된다되고 있는 기축옥사의 주인공 鄭汝立의 생애와 사상을 추적해 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그러나 역적의 집안으로 낙인 찍힌 까닭에 그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어 ‘鄭汝立’이라는 한 인물을 재구성 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따른다. 그나마 남아있는 자료도 객관적 입장에서의 서술이라기 보다 저자 자신의 개인적인 해석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이를 토대로 鄭汝立을 살려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들을 정리해 봄으로써 기축옥사의 진상과 鄭汝立의 사상의 일부를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의 朝鮮祖政治史硏究에 있어 초석이 될 필수적인 작업이 되리라 확신한다. 역사의 수레는 굴러가고 결국 어느 시점에는 다시 그 자리로 돌아온다. 선조대의 정치상황을 토대로 鄭汝立이라는 한 사람의 의미와 희망을 꿈꾸던 그의 이상 속으로 온몸을 던져보자!
2. 그는 왜 전라도의 신화가 되었는가?
鄭汝立이 왜 전라도의 신화가 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생애와 기축옥사의 전모를 통해 ‘호남 기피 심리(phobia)’를 이해해야 한다. 호남의 恨은 일종의 가치 박탈(value deprivation)이라고 볼 수 있다. 가치 박탈이라 함은 상대적인 것이며 體感的인 것이고 매우 주관적인 것이었다. 이로 인한 호남의 가슴앓이는 이곳의 풍토나 인성과는 전혀 무관한 人災였으며, 이 할큄은 현세에서 풀리지 못하고 끝내 메시아의 출현을 기다릴 수 밖에 없어 신흥 종교라는 표피를 쓰고 등장하게 된다. 갑오농민혁명(古阜)뿐만 아니라 한말의 신흥 종교에 의한 민중 운동들, 이를테면 증산교(古阜), 원불교(裡里) 등 당시의 3대 신흥종교 운동이 모두 전주 반경 100km이내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들이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삶의 고뇌가 심각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복룡,鄭汝의 생애와 사상: 호남 phobia를 읽는 한 도구로서,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1999/7), p. 93. 역사적으로 恨이 많았던 호남인들은 그들의 구세주인 미륵이 이 땅에 오리라고 믿었고 그것은 불교의 내세관에 용해되었다. 호남인들의 생각에 그 미륵이 오리라고 여겨진 곳은 익산의 미륵사와 김제ㆍ완주에 걸쳐있는 母岳山이었다. 그러나 미륵사는 이미 오래 전에 인멸되었고 따라서 그들은 母岳山에 마지막 기대를 걸었다.
위의 논문, pp. 93-94. 뛰어난 인재 鄭汝立의 등장은 이와 맞물려 호남인들에게 희망의 씨앗이 되었다. 鄭汝立의 어떤 면모가 호남인들의 기대에 부흥했는지, 그의 생애를 통해 호남인들의 기대치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鄭汝立은 東萊 楓川公派이며, 全州에서 출생하였고 그의 부친은 益山郡守였던 鄭希曾이다.
燃藜室記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음.洛道,鄭汝立 思想 硏究: 己丑獄事와 關聯하, 명지대 대학원(1998), p. 29. 원래 그의 조상무덤은 金山寺가 있는 母岳山 근처의 帝妃山 서남쪽 1km지점에 위치한 현제 金堤市 金山面 雙龍里 龍巖마을 뒷산에 있었다. 이곳은 풍수지리상으로 蜈蚣의 穴로 君王之地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근처인 鳳南面 花峯里 鳳棲洞 마을에 鄭汝立의 처가가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Wi(1977, 4), p. 266. 최락도, 위논문 재인용 鄭汝立은 이처럼 호남지방의 기대가 한 몸에 담긴 땅에 터를 잡고 비범한 능력을 보이며 두각을 나타내기에 이르렀다.
모반의 고향이라는 이유로 심지어 조상의 묘자리 까지 숯불로 지져진 까닭에 鄭汝立의 성장과정에 관한 자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나마 남아있는 자료도 그가 어릴 때부터 모반의 싹을 지니고 있는 인물이었음을 부각하는 자료들로 이는 조작되거나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그의 출생과 성장에 대한 자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2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50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