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문화적 제국주의 제이론
3 미군정기 교육의 문화적 제국주의 속성
1) 미군정기 대한 교육원조
2) 미군정기 교육의 문화침투적 속성
4 결론
2 문화적 제국주의 제이론
3 미군정기 교육의 문화적 제국주의 속성
1) 미군정기 대한 교육원조
2) 미군정기 교육의 문화침투적 속성
4 결론
본문내용
간이었다. 그리고 이는 무분별한 친미성향의 가치관 및 자문화 열등감 가운데 여실히 드러난다. 미군정 기간은 그들이 탈식민국가의 자립을 돕는 구호적(救護的) 취지가 아닌, 도리어 미국 없이는 스스로 일어설 수 없고, 앞으로도 그 아래 기생하게끔 하는 문화적 제국주의의 의도가 진행된 시간이었다.
따라서 우리는 주체적인 한국교육학 이론의 터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 문화의 전승이라는 보수적 기능과 새로운 문화의 창출이라는 창조적 기능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준상, 김성학 공저(2001).「현대한국교육의 인식」. 한국학술정보.
오현정(1986). “교육과 문화적 식민주의”. 社會學硏究. 제18호.
김동구(1987). “미군정 기간 중 한국에서의 미국 교육사상 수용 과정”. 敎育發展. 제6호.
김윤성(1997). “개신교 선교와 문화 제국주의”. 현상과 인식. 제4호.
정일준(1991). “해방이후 문화 제국주의와 미국 유학생”. 역사비평. 제4호. 역사문제연구소.
이길상(1992). “제국주의 문화침략과 한국교육의 대미 종속화”. 역사비평. 제3호. 역사문제연구소.
이현주(1988). “미디어 제국주의와 문화종속”. 언론과 사회. 제1호.
따라서 우리는 주체적인 한국교육학 이론의 터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 문화의 전승이라는 보수적 기능과 새로운 문화의 창출이라는 창조적 기능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준상, 김성학 공저(2001).「현대한국교육의 인식」. 한국학술정보.
오현정(1986). “교육과 문화적 식민주의”. 社會學硏究. 제18호.
김동구(1987). “미군정 기간 중 한국에서의 미국 교육사상 수용 과정”. 敎育發展. 제6호.
김윤성(1997). “개신교 선교와 문화 제국주의”. 현상과 인식. 제4호.
정일준(1991). “해방이후 문화 제국주의와 미국 유학생”. 역사비평. 제4호. 역사문제연구소.
이길상(1992). “제국주의 문화침략과 한국교육의 대미 종속화”. 역사비평. 제3호. 역사문제연구소.
이현주(1988). “미디어 제국주의와 문화종속”. 언론과 사회. 제1호.
추천자료
- 가부장제와 성의 사회문화적 규정
- 브랜드 이미지와 문화적 상관관계-국내 및 해외 광고사례를 바탕으로
-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에 대한 고찰
- Vygotsky비고스키의 사회문화적 발달이론
- 진로소주의 문화적 차이극복 경영사례
- 조선 전기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고찰
- 조선 후기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고찰
- 정치적, 문화적 환경
- Ch. 11 문화적 가치관
- 광고에 반영된 문화적 요소 비교.PPT자료
- 문화를 보는 문화적 상대주의와 자민족중심주의를 비교, 설명하고 자신의 견해를 서술.
-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관계
-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관계 - 회화의 교류를 중심으로
- 보육과정이 시대 문화적 배경에 따라 관점이 크게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
소개글